ADVERTISEMENT

강달러에 원화값 내리는데 위안화는 오름세 ‘디커플링’ 왜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2면

가까이 하기에 너무 먼 당신. 오를 때도, 내릴 때도 비슷한 방향성을 보이던 원화와 중국 위안화의 거리가 점점 멀어지고 있다. 위안화당 원화값은 12년10개월 이후 가장 낮은 수준으로 하락했다(환율상승). 원화 약세와 위안화 강세로 ‘디커플링(탈동조화)’ 현상이 심화하고 있는 탓이다.

16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화값은 전날보다 7.1원 오른(환율 하락) 달러당 1235.7원으로 마감했다. 올해 초보다 3.7% 내린 셈이다. 같은 기간 달러 대비 위안화 가치는 0.4% 올랐다. 특히 위안화당 원화값은 16일 194.25원으로 거래를 마쳤다. 위안화 가치가 뛰면서 위안화 대비 원화가치는 2009년 4월 30일(재정환율 197.52원)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달러대비 원, 위안화 변동 추이. 그래픽=김경진 기자 capkim@joongang.co.kr

달러대비 원, 위안화 변동 추이. 그래픽=김경진 기자 capkim@joongang.co.kr

외환시장에서 원화와 위안화는 ‘프록시(Proxy·대리)’ 통화로 여겨진다. 쉽게 말해 두 통화의 가치가 같은 방향으로 움직였다는 의미다. 이런 동조화 현상은 한국 경제가 중국과 긴밀하게 얽혀 있기 때문에 발생한다. 수출 의존형인 한국 경제는 최대 수출 시장인 중국의 경제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한다. 지난 2019년 5월 미국과 중국의 무역 전쟁 당시에도 위안화보다 원화가 더 큰 영향을 받았다. 환거래 위험을 분산(헤지)하는 데 위안화보다 원화가 수월하다는 점도 동조화를 가속했다. 외국인 투자자 입장에서 자본 거래 제약이 많은 위안화보다 자본의 유·출입이 비교적 자유로운 원화 파생상품을 헤지 수단으로 선호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최근에는 상황이 달라졌다. 원화는 약세, 위안화는 강세다. 디커플링의 근본적인 이유는 ‘달러 공급’ 강도 차이에서 비롯된다. 최근 5년간 중국에는 해외 자본이 들어오며 달러 유입이 이뤄졌지만, 반대로 한국에서는 돈이 빠져나갔다. 한 예로 지난해 1~10월 외국인은 국내 주식 54조원어치를 팔아치웠다. 김호정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중국의 경우 지난 2017년 3분기 이후 17분기 연속 외국인의 중국 내 자산 취득 비중이 중국인의 해외 자산 취득보다 컸다”며 “한국은 2017년 4분기 이후 19분기 연속 내국인의 해외자산 취득이 외국인의 한국 자산 취득보다 많아 달러 유출이 더 많았다”고 설명했다.

코로나19 특수로 늘어난 중국의 무역수지 흑자도 위안화 가치 고공행진의 한 이유다. 지난해 중국 수출은 전년보다 30% 늘며, 역대 최대인 6764억 달러(약 814조원)의 무역수지 흑자를 기록했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전쟁도 위안화 강세를 부추겼다. 김유미 키움증권 연구원은 “러시아가 국제은행간통신협회(SWIFT)의 퇴출이란 제재를 피해 위안화 결제망을 활용한다면 위안화 수요가 늘어날 수 있고, 위안화 강세로 이어지고 있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여기에 원자재 가격 급등 속 물가 상승 압력을 낮추기 위해 중국 당국이 위안화 강세를 용인하는 것도 원화와의 디커플링이 심화하는 이유 중 하나로 꼽힌다. 위안화 강세를 바탕으로 물가 압력을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김대영 KB자산운용 글로벌애쿼티실장은 “다시 오미크론이 퍼지고 있어 경기 회복 불확실성이 큰 만큼 중국 당국이 위안화 절하 같은 급진적인 정책을 펼 가능성은 적다”며 “원화와 위안화값이 급격하게 변하진 않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