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카이스트 졸업생의 공연예술 예찬 “정답 없는 세계에 빠졌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6면

 최근 『아무튼, 무대』를 내며 무대와 공연에 대한 애정을 고백한 황정원 작가. [사진 황정원]

최근 『아무튼, 무대』를 내며 무대와 공연에 대한 애정을 고백한 황정원 작가. [사진 황정원]

2006년 대형 컨테이너 6개가 영국 런던의 로열 오페라 하우스(ROH)에서 서울로 출발했다. 모차르트 오페라 ‘돈 조반니’를 ROH 버전으로 공연하기 위해 무대와 세트를 통째로 옮겼다. 컨테이너가 도착한 날 서울 예술의전당 오페라하우스의 백스테이지에 스태프들이 모였다. 메인 무대 세트가 들어있는 컨테이너를 여는 순간, 모두 얼어붙었다. 그 안에는 폐휴지가 가득했다.

‘돈 조반니’ 컨테이너는 엉뚱하게도 중국 변방에서 발견됐다. 개막이 임박해 세트는 반으로 잘라 비행기에 실은 뒤 서울에서 다시 붙였다. 무대는 겨우 올렸지만 사고는 끊이지 않았다. 하루는 주연 가수가 시간을 착각해 나타나지 않았다. 황정원은 “오페라 공연에서 일어날 수 있는 모든 사고가 일어났다”고 썼다. 공연은 무사히, 박수를 받으며 끝났다.

당시 예술의전당 입사 2년 차로 ‘돈 조반니’ 제작에 참여했던 황정원(44)이 소개한 일화다. 그는 최근 『아무튼, 무대』(코난북스)를 내면서 무대에서 아찔했던 당시 순간을 적었다. 8일 중앙일보와 전화 인터뷰에서 그는 “공연은 박물관 전시품과 달리 현재 진행형으로 무대 뒤에서 바쁘게 만들어진다는 점을 책으로 보여주고 싶었다”고 했다. 또 긴박한 과정을 거쳐 만들어지는 공연 예술이 관객을 움직이게 하는 묘미를 예찬했다.

사실 황정원은 갑작스레 무대의 매력에 빠져 20여년을 살아온 경우다. 그는 원래 이과 출신이다. “학교 성적에 맞춰 과학고, 그리고 카이스트에 진학했다”고 했다. 카이스트에서 산업경영학을 공부한 그는 자신은 주변 공학도들과 달리 설명할 수 없는 아름다움에 빠져든다는 걸 깨달았다. 비 내리는 날, 친구들은 빗방울이 떨어지는 각도와 단면적을 계산하는데, 그는 쇼팽 ‘빗방울 전주곡’의 아름다움을 그리워했다.

대학 졸업 후, 한국예술종합학교에서 음악학 석사 학위를 받고 뮤지컬 제작사에 입사했다. 이후 서울 예술의전당으로 옮겨, 음악 공연 기획과 오페라 제작, 교육 사업 등을 맡았다. “정답의 세계에 살다가 정답 없는 예술의 세계로 오면서 완전히 매혹됐다”고 했다. 그는 또 한 번 다른 세상으로 훌쩍 떠났다. 2009년 오스트리아 잘츠부르크로 이주했다. 그곳에서 독일 바이로이트로 통학하며 박사 과정을 밟았다. 지금은 독일 프랑크푸르트 괴테 대학에서 서로 다른 문화 간 오페라 텍스트 변용에 관한 논문을 쓰고, 오페라 번역 작업 등에도 참여한다.

“처음에는 아름다움에 대한 순수한 환상이 있었다. 지금은 그 뒤의 복잡하고 때로는 추한 측면까지 봤는데, 그럼에도 무대에 대한 경외심이 깊어졌다.” 황정원은 이번 책 출간을 계기로 무대, 특히 오페라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는 작업을 꿈꾼다. 궁극적으로는 대본을 쓰고 싶다. 그는 최근 독일 뮌헨에서 열린 한 공연을 통해 무대의 가치를 설명했다. “바이에른 국립극장이 공연에 앞서 베토벤 9번 교향곡 4악장 하이라이트를 연주하며 우크라이나를 위로했다. 객석에서 한두 명씩 일어나더니 전체가 기립했다. 말과 논리보다 무대의 한순간이 사람을 움직인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