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아이들이 ADHD 검색 시작했다…'코로나 2년' 충격의 뇌폭동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아이들이 주의력결핍 과다행동장애(ADHD)를 검색하기 시작했습니다. 코로나19 직전인 2019년과 비교해 2년 사이 3배 이상이 늘었어요”

코로나19가 아이들에게 미친 영향을 묻는 질문에 서울대병원 김붕년 소아·청소년정신과 교수는 이렇게 답했다. 10대 아이들이 온라인에 올린 각종 게시글 등 4000만 건을 코로나19 발생 전과 후로 나눠 비교 분석해보니 그런 결과가 나왔다는 것이다. 연구에 따르면 아이들은 자신이 ADHD가 아닐까 걱정하는 걸 넘어 치료 받고 싶다는 생각까지 했다고 한다. 무엇이 이토록 아이들을 힘들게 한 걸까? 대한소아청소년정신의학회 이사장이자 이번 연구를 이끈 김 교수를 만나 그 이유를 물었다.

코로나19 2년, 아이들은 자신이 ADHD가 아닌지 의심했다

서울대학병원 김붕년 소아청소년정신과 교수는 코로나19가 10대 아이들의 뇌 발달에도 큰 임팩트를 남겼다고 경고했다. 우상조 기자

서울대학병원 김붕년 소아청소년정신과 교수는 코로나19가 10대 아이들의 뇌 발달에도 큰 임팩트를 남겼다고 경고했다. 우상조 기자

스스로 ADHD를 의심하는 아이들이 늘었다고요?
우리 연구팀이 코로나 시대 초등 고학년부터 고등학생의 온라인 활동 패턴을 분석해보니 ‘아이들 스스로 ADHD를 검색한다’는 특징이 발견됐어요. 코로나 이후 소아·청소년정신과를 찾는 아이들이 왜 늘었는지를 봤는데, 아이들의 ADHD 검색량 증가가 중요한 역할을 했더군요. 물론 아이를 병원으로 데려온 양육자의 역할도 컸겠지요. 중요한 건 ADHD에 대한 관심, 걱정, 검색량, 치료에 대한 욕구가 정신과 방문 횟수와 연결됐다는 거예요. 코로나19 이후 아이들이 스스로 ADHD를 의심하고 병원에 가야겠다고 생각하기 시작했다는 걸 의미하죠.   
무엇이 ADHD에 대한 걱정을 자극한 걸까요?
그 배경을 이해하려면 우선 ‘갓생’이라는 키워드를 알아야 해요.  
갓생이요?  
신을 뜻하는 갓 'God'과 인생을 뜻하는 한자 날 생 '生'을 더한 신조어예요. 신처럼 산다는 거예요. 신처럼 자기 마음대로 산다는 뜻이 아니라, 신처럼 완벽하게 살아간다는 뜻이에요. 쉽게 말해 타의 모범이 되는 삶을 사는 거죠. 아동·청소년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게임·커뮤니티 문서에 등장한 언어를 분석했더니, 요즘 아이들 사이에서 많이 사용되는 단어 중 하나가 ‘갓생’었어요. 코로나19 이후 열심히 살겠다는 의지가 더 커졌다는 의미죠.
‘갓생’과 ADHD에 대한 걱정은 어떻게 연결될까요?
갓생과 가장 밀접한 연관어가 ‘공부’였는데요, 타의 모범이 될 정도로 공부를 잘해야 한다고 생각했다는 얘기예요. 초등학교 고학년만 돼도 ‘공부에 전념해야 한다’, ‘학업에서 두각을 보여야 한다’는 생각이 머릿속을 지배하고 있다는 거죠. 어린 시절부터 세뇌를 받으면서 자동으로 ‘갓생’을 롤모델로 정하고, 그만큼 열심히 살려고 애썼던 거죠. 그런데 코로나19가 그 욕구를 가로막았습니다. 
코로나19가 공부를 잘하고 싶은 욕구를 막았다고요? 
일차적으로 학교에 못 갔죠. 온라인 수업으로 따라가야지 했는데, 집중이 쉽지 않아요. 온라인 수업에 대한 아이들의 평가를 보면 “오래도록 쳐다보기 힘들다”, “무슨 소리 하는지 모르겠다”, “쉽게 멍해진다”, “내용이 금방 지나 가버린다”는 내용이 상당수입니다. 문제는 그 원인을 자신의 탓으로 돌렸다는 거예요. 갓생으로 살아야 하는데, 그렇지 못한 자신을 보면서 자신을 보잘것없다고 평가하고, 자신을 굉장히 미워해요. 그리고는 스스로 해결책을 찾겠다며 ADHD를 검색하기 시작해요. “내가 ADHD 아닐까?” 의심하고, 약물치료 방법을 찾는 겁니다. 수면제를 찾는 아이들도 늘었어요. 아침에 학교에 가지 않으면서 취침 시간대가 점점 늦어지는 수면위상지연(Sleep delayed phase) 증상을 보이는 아이들이 많은데요. ‘제시간에 자야지’라고 마음은 먹는데, 실제로 원하는 시간에 잠들기가 어렵고 고통스럽다는 거예요. 그리고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수면제를 찾고 있는 거고요.  
코로나19 상황이 아이들에게는 굉장한 부담이었겠군요.   
그렇죠. 우선 코로나19 상황은 아이들이 감당할 수 있는 자기통제력 이상의 것을 요구했어요. 일단 활동에 제약을 받았어요. 나가서 뛰어놀고 싶은데 얌전히 집에 앉아만 있어야 한다고 생각해보세요. 아이들의 분노와 짜증이 단순히 자기통제능력의 문제라고 볼 수 있을까요? 아니에요. 이건 아이들에게 불가능한 일이에요. 온라인 수업도 마찬가지입니다. 일반적으로 아이들의 자기통제력을 앉아있는 시간으로 이야기하는데요, 3~6세까지 10~15분, 7세 미취학 아이들은 30분, 초등 1학년 쯤 되면 40분, 이후 점진적으로 늘어납니다. 그런데 온라인 수업은 하루 5~6시간을 앉아있어야 해요. 자기 의지로 쉬는 시간, 수업 시간을 챙겨야 했죠. 아이들에게 능력치 이상의 자기 통제를 강요한 겁니다. 반대로 경험과 자극은 모두 빼앗아갔어요. 활동 공간은 사라졌고, 만날 수 있는 친구는 줄었죠. 남은 건 온라인밖에 없어요. 게임과 SNS가 전부예요. 코로나19 이후 아이들의 온라인 사용량이 이전보다 두 배 가까이 증가했어요. 코로나19 방역으로 갈 데 없는 아이들이 다 온라인으로 모였다고 볼 수 있죠. 이런 환경에서 화와 짜증이 늘었다고 모두 ADHD 환자라고 볼 수는 없습니다. 
실제로 ADHD가 늘었다고 보긴 어렵다는 얘기일까요? 
이번 분석 결과는 ADHD 환자가 늘었다는 얘기가 아닙니다. 소아·청소년 ADHD 환자는 그대로입니다. 그러나 건강한 아이들조차도 ADHD 증상을 보이게 할 만큼 코로나19 상황이 아이들에게 정신적 고통을 안겼다는 겁니다. 더 안타까운 건 10대 아이들은 이미 뇌 안에서 이중 고통(Two Hit Theory)을 겪고 있다는 겁니다. 



아이들이 겪는 이중 고통이란 무엇일까요? 이 기사 뒤로 코로나 시대, 10대 아이들이 유독 힘들어하는 이유, 양육자에 대한 10대 아이들의 속마음, 그리고 이 아이들을 위해 양육자가 할 수 있는 일에 대한 10여개의 문답이 이어집니다. 전체 기사는 중앙일보가 밀레니얼 양육자를 위해 만든 hello! Parents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기사 전문 보러가기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048268

세 줄 요약

·코로나19 이후 아이들은 삼중 고통에 시달리는 중. 10대 뇌 발달 과정에서 겪는 전두엽의 일시적 기능저하, 호르몬 테스토스테론의 자극으로 인한 정서조절 어려움 속에 코로나19까지 덮쳐. 이 시기 접촉 상실, 집중력 하락, 과도한 자기조절통제 강요가 아이들의 정신적 고통은 더 커져.
·양육자도 큰 도움 안돼. 양육자의 경제적 어려움, 코로나 블루, 가족 간 불화 증가가 양육자에 대한 도움 요청 가로막아. "부담 주기 싫다는 생각"에 고통 감추고, 일탈 자해로 빠지며 위기 가중.
·위기는 기회, 올 여름 코로나19가 독감처럼 되면 양육자는 문화·예술·체육 활동을 통해 정서 자극을 회복시켜야. 평소에는 불안을 자극하는 말을 끊고, 아이의 감정과 선택을 존중하고 수용하라.

중앙일보 hello! Parents와 ‘육아의 신’ 신의진 연세대 소아정신과 교수가 함께 하는 ‘괜찮아 부모상담소’가 시즌 2로 돌아옵니다. 24일부터 매주 목요일 중앙일보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신의진 교수와 직접 만나 상담을 받고 싶다면, helloparents@joongang.co.kr 로 사연을 신청하세요.

관련기사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