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집권하면 전 정권 적폐 수사를 당연히 해야 한다”라고 밝혔다. 특히 대장동 재수사를 강조하면서 “1조원 가까운 이익을 김만배 일당에 넘겨주는 데 유동규가 다 했다? 의사 결정자는 시장”이라고 말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가 특검 도입을 수차례 언급했지만 민주당이 국회에서 특검법을 통과시키지 않는 것을 거론하면서다.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후보가 7일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중앙일보와 인터뷰를 갖고 있다. 김상선 기자
윤 후보는 지난 7일 서울 여의도 국민의힘 당사에서 90분 동안 중앙일보와 대선 후보 릴레이 인터뷰를 했다.
尹 "수사 못 하게 총장 짓밟곤 검찰 공화국이라니"
그는 여권에서 윤 후보가 집권하면 측근 검사들을 요직에 기용해 검찰 공화국을 만들 것이란 우려를 제기한다는 질문에 “그건 프레임”이라며 “지금 민주당 정권이 검찰을 이용해 얼마나 많은 범죄를 저질렀느냐”라고 반문했다.
특히 측근으로 알려진 A 검사장에 대해서는 “이 정권의 피해를 보고 거의 독립운동처럼 해온 사람”이라며 “(A 검사장이) 중앙지검장이 되면 안 된다는 얘기는 일제 독립운동가가 정부 중요 직책을 가면 일본이 싫어하기 때문에 안 된다는 논리랑 똑같은 것”이라고 말했다.
- 단도직입적으로 AㆍB 검사장을 검찰총장, 서울중앙지검장에 기용할 거냐.
- “왜 A 검사장을 무서워 하냐. 정권에 피해를 많이 입어서 중앙지검장 하면 안 되는 거냐. 말이 안 되는 얘기죠. 내가 중용하겠다는 얘기가 아니라 검찰 인사가 정상화되면 굉장히 유능하고 워낙 경쟁력 있는 사람들이기 때문에 시스템에 따라 각자 다 중요한 자리에 갈 거라고 판단된다. 그러나 죄지은 사람들이 왜 A 검사장을 두려워하냐. 불법을 저질렀으면 상응하는 책임을 져야 한다. 다만 A검사장이 지휘관이 되더라도 자기에게 그런 짓을 한 사람에 대해 보복은 하지 않을 거고 나 역시 안 했다.”
윤 후보는 이어 “검찰 공화국 같은 소리 하지도 말라. 검찰총장을 수사도 못 하게 직무 배제하고 총장을 무슨 파출소 수사관만도 못하게 짓밟은 사람이 누구냐”라며 “대통령이나 법무부 장관이 눈만 한번 바로 뜨면 밟히는 데가 검찰인데 민주당 정권 사람은 검찰 공화국이란 말을 입에 담을 자격이 없다”고 했다.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후보가 7일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중앙일보와 인터뷰를 갖고 있다. 김상선 기자
文정부 적폐청산 수사 여부? "당연히 해야죠. 해야죠. 돼야죠"
그는 2018년 서울중앙지검장 시절 이끈 적폐청산 수사처럼 집권한다면 전 정권 적폐청산 수사를 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해야죠. 해야죠. 돼야죠”라며 연거푸 3번 강조했다. 다만 “대통령은 관여 안 한다”라고 선을 그었다.
- 문재인 정부 초기처럼 집권 시 전 정권 적폐청산 수사를 할 건가.
- “문재인 정부 초기에 했던 것이 대통령의 지령을 받아서 보복한 건가? 그건 아니다. 저더러 직권남용죄를 남용했다고 하는 사람도 있지만, 공직자에 대해 그것도 반헌법적인 인권침해 부분에 대해서만 적용했다. 원칙대로 한 거다. 그러니까 문재인 정권에서 불법과 비리를 저지를 사람들도 법에 따라 상응하는 처벌을 시스템에 따라 받는 거지 누가, 누구를 보복하나. 그러면 자기 정부 때 한 거는 헌법 원칙에 따라서 한 거고, 다음 정부가 비리와 불법에 대해서 수사하면 보복인가.”
그는 서울중앙지검장 시절 경험담을 소개하며 검찰 수사에 대한 법원의 견제, 사법부 통제 시스템을 강조하기도 했다. 윤 후보는 “양승태 대법원장 시절부터 근무하던 법원 영장판사들이 압수수색영장 40%, 구속영장의 거의 50% 기각하는 등 법원의 견제를 톡톡히 받아가며 (수사)했다”며 “정부가 바뀌어서 검찰이 원칙에 따라 수사를 하더라도 법원이 견제를 많이 하고 사법부 통제를 받으며 진행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만배 일당에 1조 줬는데 유동규가 다 했다?"
대장동 의혹은 윤 후보가 인터뷰 도중 “특권과 반칙, 부패가 진동했다”며 가장 목소리를 높인 대목이었다. 그는 “권한을 가진 사람, 의사결정을 할 수 있는 사람이 시장인데 그 밑에 도시개발공사의 기획본부장에 불과한 사람이 이 모든 것을 다 책임지고 했고, 1조 가까운 이익을 김만배 일당에게 넘겨주는데 유동규가 다했다? 유동규가 뭔데 다하느냐”고 하면서다.
윤 후보는 이 후보를 포함해 대장동 재수사가 필요한 부분을 조목조목 예를 들기도 했다. 그는 “시장이 눈을 벌겋게 뜨고 있고 하루아침에 도적질한 것도 아니고 몇 년에 걸쳐 이뤄진 사건”이라며 “김만배가 자기(이재명 후보) 공직선거법 사건 무죄를 만드는 데 결정적 역할을 한 권순일 전 대법관에게 로비했다는 의혹이 매우 높은 사람”이라고 지적했다.
또 “(민간 사업자가) 현재까지 가져간 돈이 8500억원이라는 데 그 돈을 추적했느냐. 곽상도 전 의원에게 50억원이 갔다고 다 끝난 거냐”며 “전 민정수석에게 50억원이 갔고 뇌물로 의율 된다는 건 더 많은 진상규명 거리가 있다는 건데 수사를 안 하는 건 말도 안 되는 얘기”라고 했다.
검찰이 민간 사업자들의 배임 액수로 651억만 기소한 것을 놓고도 “이 사람들이 실제 얻은 돈이 얼마인데 그게 범죄 금액에 다 포함돼야 나중에 국가에서 환수할 수 있는 데 651억원만 내놓고 나머지는 다 줄 거냐”라고도 했다.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후보가 7일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중앙일보와 인터뷰를 갖고 있다. 김상선 기자
김만배와 욕하는 사이? "인생 그렇게 살았으면 정권이 벌써 죽였다"
윤 후보는 최근 김만배씨가 “윤석열을 죽일 카드가 있다” “서로 욕하는 사이”라고 언급한 정영학 녹취록 내용이 공개된 데 대해선 “나는 인생을 그렇게 안 산다”며 반박했다. 그러면서 15~16년 전 대검찰청 중앙수사부 연구관 시절 일화를 들기도 했다.
“박영수 전 특검이랑은 좀 가까웠는지 몰라도 15, 16년 전 연구관 시절에 박영수 당시 중수부장이 회식 자리에 불러서 왔다가 시건방져서 검사들한테 욕먹고 쫓겨난 적이 있다”며 “이후 대검 중수부 연구관실에는 발도 들이지 못한 사람이 지금 나하고 욕하는 사이라는 게 말이 되는 소리냐”고 하면서다.
그는 “(퇴임 후) 정치를 시작하기 전에 대검에서 친여 검사들이 모여 내가 지휘한 사건 기록을 다 갖다 놓고 전부 까봤다고 한다”며 “만약 내가 인생을 그렇게 살았으면 이 정권이 벌써 죽였을 것”이라고도 했다.
그는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를 포함해 문재인 정부의 검찰개혁 틀을 유지할 것이라고도 했다. “문 정부 검찰개혁의 문제는 제도·시스템의 문제가 아니라 수사를 얼마나 공정하고 엄정하게 하느냐의 문제”라고 규정했다.
그러면서 “검찰의 주인이자 사건 의뢰인은 인사권자, 정치권력자가 아니라 국민이라는 차원에서 지위고하를 막론하고 권력형 비리를 엄단할 수 있어야 하며, 일반인 사회 약자는 훨씬 더 배려하는 법 집행을 하는 것 두 가지가 검찰 개혁”이라고 했다.
윤 후보는 공수처에 대해서도 ”검찰총장 인사청문회 당시 공직자 수사역량을 강화한다는 범위에서 찬성했다”며 “검사 25명인 시골 지청 수준인 공수처가 검·경의 공직자 내사 첩보와 사건을 모두 가져가서 깔고 앉아 수사를 못 하게 막아 놓은 건 바꿔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공수처의 불법 통신사찰 문제에 관해선 “제도 개선 사항이 아니라 수사로 처벌할 대상”이라고 잘라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