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못 믿을 신속항원검사…감염자 10명 중 6명 ‘음성’ 판정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2면

코로나19 검사가 신속항원검사와 PCR(유전자증폭) 검사로 이원화된 3일 서울 송파구보건소에서 시민들이 신속항원검사를 하고 있다. [뉴스1]

코로나19 검사가 신속항원검사와 PCR(유전자증폭) 검사로 이원화된 3일 서울 송파구보건소에서 시민들이 신속항원검사를 하고 있다. [뉴스1]

3일부터 60세 이상, 밀접접촉자 등 고위험군이 아니면 신속항원검사를 먼저 받게 된다. 기존 PCR(유전자증폭) 검사보다 콧속 얕은 곳에서 검체를 채취해 진단키트에 넣어 30분 이내에 코로나19 확진 여부를 알 수 있는 검사 방식이다. 다만 정확도가 PCR검사보다 낮다. PCR검사는 채취한 검체 속 바이러스 유전자를 증폭시켜 판단한다. 이 때문에 아주 적은 양의 검체로도 양성·음성 여부를 알 수 있다. 신속항원검사는 증폭 없이 검체 속 바이러스 여부를 따진다. 감염자라도 증상이 미약하거나, 검체를 제대로 채취하지 못하면 음성이 나올 수 있다.

대한진단검사의학회는 감염된 사람이 신속항원검사를 하면 41.5% 확률로 양성이 나오게 된다고 분석했다. 이혁민 세브란스병원 진단검사과 교수는 “일반인이 신속항원검사 키트로 직접 하면 그보다 10~20% 더 떨어진다”고 설명했다. 이 검사에서 가짜 음성을 받은 이들이 나올 수 있고, 이들이 감염 사실을 모르고 추가 전파시킬 수 있지만 방역당국은 이를 감수하겠다는 입장이다.

코로나19 신속항원검사 양성. 그래픽=김은교 kim.eungyo@joongang.co.kr

코로나19 신속항원검사 양성. 그래픽=김은교 kim.eungyo@joongang.co.kr

관련기사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에 따르면 지난달 26일부터 닷새 동안 4개 지역(광주, 전남, 경기도 평택과 안성) 선별진료소에서 자가검사키트로 진행한 신속항원검사는 총 8만4000건이다. 이 중 양성으로 나온 687건에 대해 PCR검사를 했더니 523건(76.1%)이 최종 양성으로 나왔다. 나머지는 가짜 양성이었다. 박영준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 역학조사팀장은 “신속항원검사 양성 건이 PCR검사 음성으로 23.9%가 나온 이유는 검사법에 있어서 정확도의 한계로 이해하면 될 것 같다”고 했다.

정확도가 떨어지는데도 신속항원검사로 검사 체계를 돌린 이유에 대해 정부는 PCR검사 여력에 한계가 있다는 점을 내세운다. 확진자 급증으로 PCR검사가 밀리면 조기 진단과 치료가 필요한 고위험군 환자에게 치명적일 수 있기 때문이다. 문제는 ‘가짜 음성(위음성)’이다. 실제 감염자가 음성으로 나와도 현재는 마땅한 후속 조치가 없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 사회전략반장은 3일 브리핑에서 “(신속항원검사) 음성은 일단 ‘음성으로 인정해 간주한다는 것’”이라며 “이 과정에서 일부 나타나는 소수의 위음성은 감수한다는 의미”라고 말했다.

이혁민 교수는 “(신속항원검사로 놓친 감염자) 두세 명이 다른 사람들을 감염시키고, 이렇게 사회 전반의 감염을 놔두게 되면 결국은 고령층과 고위험군으로 옮아갈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김우주 고려대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신속항원검사는 PCR검사보다 (바이러스가) 1000배, 1만 배는 많아야 양성으로 나오기 때문에 초기, 바이러스 양이 적을 때는 못 잡아낸다”면서 “위음성인 상황에서 방역패스로 24시간을 주게 되면 카페 등 다중시설을 이용하며 바이러스를 퍼뜨릴 수 있다”고 우려했다.

임숙영 방대본 상황총괄단장은 “음성이 나왔다고 다 안심하지 말고 마스크 착용 등 방역수칙을 반드시 준수해 달라”면서 음성이라고 해도 의심이 된다면 재검사받을 것을 권고했다.

정재훈 가천대 의대 예방의학과 교수는 “PCR검사 체계가 버틸 수 있는 한 최대한 PCR검사를 유지하는 것이 좋다”면서 PCR검사 여력에 따라 고위험군의 범위를 조정해 나가는 것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