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통가 화산 폭발에 백두산도 혹시?…"현재까지 31번 분화"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난 15일(현지시간) 남태평양 섬나라 통가 인근에서 초대형 해저화산이 폭발하며 핵폭탄이 터진 듯 거대한 버섯구름이 일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지난 15일(현지시간) 남태평양 섬나라 통가 인근에서 초대형 해저화산이 폭발하며 핵폭탄이 터진 듯 거대한 버섯구름이 일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최근 남태평양 통가에서 발생한 해저화산 폭발 이후 한반도 내 활화산인 백두산 폭발 가능성에 또다시 관심이 쏠리고 있다.

31일 기상청에 따르면 백두산 분화는 900년대부터 현재까지 총 31번 있었다. 가장 큰 분화는 고려 때인 946~947년로 규모가 상당해 '천년 분화'라고도 불린다.

당시 분화는 학자마다 의견이 다르지만 화산분출물량이 약 100~170㎦, 화산재가 일본 쿠릴열도까지 도달했던 것으로 추정됐다.

화산폭발지수(VEI)로 따지면 당시 분화는 7에 해당한다. 화산폭발지수는 0부터 8까지 나뉘는데, 한 등급 사이 폭발 규모는 10배 차이가 난다. 기원후 화산폭발지수가 8인 분화는 없었고, 7은 백두산 분화를 비롯해 1812년 탐보라 화산 분화와 1257년 사말라스 화산 분화 등 세 차례다. 다만 일부 중국과 러시아 학자들 사이에서는 당시 화산폭발지수를 한단계 낮은 6으로 보는 시각도 있다.

백두산은 현재 안정기로 평가되지만 1925년 마지막 분화 이후 100년도 채 안 된 상황이라 여전히 경계를 늦출 수 없는 상황이다.

지난 2002~2005년 백두산에서 화산성 지진이 무려 72회 발생했다 중국 학계 분석도 있다. 이는 안정기(월 7회)에 10배에 달하는 수치로, 당시 지진 규모도 1 정도였던 것이 3~4로 높아져 백두산 분화 가능성이 고조된 바 있다.

다만 국내 백두산 화산 권위자인 윤성효 기상청 화산특화연구센터장에 따르면 2006년부터는 화산성 지진이 줄어든 것으로 분석됐다. 윤 센터장은 연합뉴스를 통해 "현재는 백두산 지하 마그마방에서 마그마가 움직이는 데 따른 통상적 수준의 지진만 발생한다"고 말했다.

이 기사 어때요

일각에서는 북한의 핵실험이 백두산을 자극해 분화를 일으킬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하지만 핵실험장 위치(함경북도 풍계리) 등을 고려하면 핵실험으로 규모 7 이상 지진이 발생해야 한다. 2017년 6차 핵실험 때 발생한 지진은 규모 5.6이었다.

현재 백두산은 안정기로 평가돼 당장 분화할 가능성이 낮은 것으로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그러나 분화 시 최악의 경우 피해 규모가 수십조원에 달해 대책 마련 등에 관심을 지속해야 한다는 의견이 잇따른다.

기상청의 '선제적 화산대응 종합대책'(2011)에 따르면 백두산 분화 시 화산재가 고도 25㎞까지 치솟으면 편서풍을 타고 일본을 넘어 태평양까지 날아갈 것으로 분석됐다. 또 한반도로 북풍계열 바람이 불어올 때 백두산이 분화할 경우 화산재가 우리나라로 넘어올 것으로 예상됐다.

윤 교수는 2015년 '화산재해에 따른 사회·경제적 영향 예측 기술 개발' 보고서에서 백두산이 화산폭발지수 5~7 수준으로 분화하고 북동풍이 유입돼 화산재가 남서쪽으로 이동하는 등 '최악의 경우'에 직·간접피해 규모가 11조1895억원에 달할 것으로 분석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