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우리말 바루기] ‘리터’의 표기법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4면

메이저리그를 즐기려면 ‘피트’와 ‘마일’에 익숙해져야 한다. 미국은 미터법이 자리 잡지 못한 국가다. 여러 차례 시도에도 관습을 이기지 못한 탓이다.

우리의 평수 개념이 끈질긴 생명력을 보이는 것과 마찬가지다. 땅 면적에 ㎡를 쓰라고 법률로 못 박았지만 일상에선 평(약 3.3㎡)이 혼용되는 실정이다.

1963년 계량법에 따라 척(尺)·승(升)·관(貫) 등으로 길이·부피·무게를 재는 척관법 대신 미터법을 쓰도록 했다. 세계적으로 통용되는 미터법은 길이·너비는 미터(m), 부피는 리터(L), 질량은 킬로그램(㎏)을 기본 단위로 하는 십진법을 사용한 도량형법이다. 83년엔 건물·토지 지적에도 ‘평’을 못 쓰게 했다.

2007년엔 법정 단위 사용을 의무화했다. 부동산을 평 대신 ㎡, 금을 돈 대신 g으로 거래하도록 단속에 나섰다.

미터법에 의한 단위의 읽기와 쓰기에도 규칙이 있다. 아직도 많은 사람이 넓이 단위인 ㎡를 ‘평방미터’로, 부피 단위인 ㎥를 ‘입방미터’로 잘못 읽는다. 도량형 표준화에 따라 각각 ‘제곱미터’ ‘세제곱미터’로 읽어야 한다. 건설분야에 뿌리 내린 대표적인 일본어 찌꺼기다. 평방미터를 축약한 ‘평미(平米, へいべい)’, 입방미터를 줄인 ‘입미(立米, りゅうべい)’에서 온 말이다.

미터법을 표기할 때 가장 많이 보이는 오류는 ‘리터’다. 요소수 사태 당시 또 한 번 혼란이 일었다. 필기체 ‘ℓ’은 바른 표기가 아니다. 혼란에 한몫하는 워드 문자표에서 ℓ기호를 삭제하는 작업부터 해야 한다. 정자체 L 또는 l이 국제적으로 공인된 기호다. 소문자 ‘l’이 숫자 ‘1’과 구별이 어렵고 몇몇 국가에서 ℓ로 변칙적으로 쓰자 1979년 이후로는 ‘L’의 사용을 권하고 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