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가상자산시장이 오는 2026년까지 1000조원 규모로 성장한다는 전망이 25일 나왔다.
글로벌 경영전략 컨설팅기업 보스턴컨설팅그룹(BCG) 코리아는 보고서 『자산의 미래2022(Future of Asset 2022): 1000조원 부의 신대륙, 자산 디지털 민주화의 시작』을 내고 2026년 한국 가상자산 시장 규모가 1000조원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해당 보고서는 2026년에는 관련 산업과 기업에서 4만 명의 신규 일자리가 창출되고 5조원의 경제적 생산 가치가 생길 것으로 내다봤다.
또 2030세대 개인 투자자들이 가상자산에 대해 높은 관심을 보이면서 이들의 또 다른 자산으로 자리 잡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러나 보고서는 가상자산 관련 산업의 발전 성숙도는 해외보다 3~5년 뒤처졌으며 시장 발전을 위해서는 새로운 구조를 통한 규제 정책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BCG 분석에 따르면 글로벌 가상자산 시장의 규모는 2021년 말 기준 4300조원 수준이며, 한국 시장도 300조원을 돌파했다. BCG는 2026년까지 한국 가상자산 규모가 1000조원 수준으로 성장할 것으로 봤다.
2020년 글로벌 가상자산 시장 규모를 기준으로 이 중 한국 시장은 약 10%를 차지한다고 보고, 2026년까지 연평균 20%씩 성장한다는 예측이다.
이 같은 규모가 되면 가상자산 유관산업과 기업에서 창출되는 고용 기회는 4만 명, 경제적 생산 가치는 5조원에 이를 것이라는 판단이다.
한국의 2030세대는 이미 가상자산을 재산의 형성과 확장을 이뤄 줄 새로운 대안으로 인식한다고 보고서는 설명했다.
과거의 젊은 세대는 소득을 고금리 예·적금에 모으고 약간의 주식투자와 대출 등을 더해 집을 마련할 수 있었지만 현 시점에서 전통적인 자산 형성 방법만으로는 내 집 한 채 살 수 있는 종자돈 마련이 어렵다는 판단이다. 보고서는 오늘날 젊은 세대가 가상자산에 주목하게 된 이유가 여기에 있다고 봤다.
그러나 대중이 가상자산을 받아들이는 속도에 비해, 한국 가상자산 관련 산업의 성숙도는 높지 않다고 BCG는 진단했다. 보고서는 또 정부 및 감독 당국에 가상자산과 관련된 변화를 장려하고 지원할 것을 제안했다. 미국·일본·싱가포르·스위스 등 각국은 가상자산에 선제적으로 대응하며 규제 틀을 구축해왔다. 반면 한국은 가상자산에 대해 규제 시작 단계에 머물러 있다. 가상자산 대부분의 영역이 불법이라는 입장 아래, 관련 산업을 전면 금지하거나 단순히 개념을 소개 또는 도입하는 단계에 머물러 있다고 전했다.
김윤주 BCG 코리아 MD 파트너는 “앞으로 5년간 가상자산 산업에서 누가 다음 구글과 아마존이 될 것이냐를 두고 국경 없는 치열한 각축전이 벌어질 것”이라며 “여기서 우리나라가 주도권을 잡으려면 민간과 정책 양쪽 모두의 노력이 중요하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