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중고령층 퇴사 후 1년 내 정규직 재취업 비율 9.0%에 그쳐"

중앙일보

입력

지난해 12월 8일 서울 송파구 잠실 교통회관 컨벤션홀에서 열린 2021 서울법인택시 취업박람회에서 관계자들이 오가고 있다. 뉴스1

지난해 12월 8일 서울 송파구 잠실 교통회관 컨벤션홀에서 열린 2021 서울법인택시 취업박람회에서 관계자들이 오가고 있다. 뉴스1

중·고령층이 퇴사 후 1년 안에 정규직으로 재취업하는 비율이 9.0%에 그친다는 분석이 나왔다.

전경련 산하 한국경제연구원 보고서

25일 전국경제인연합회 한국경제연구원이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한경연이 한국노동패널을 활용해 분석한 결과 퇴사 시 연령이 55∼74세인 중·고령층의 1년 내 재취업 비율은 45.3%였다.

5년 내 재취업하는 비율은 67.6%로 올랐다. 퇴사 시 연령이 65∼74세인 경우 퇴사자의 절반 이상(55.4%)이 5년 내 재취업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처럼 중·고령층의 재취업 비율은 높았지만 일자리의 질은 낮은 편이었다. 퇴사 후 1년 내 재취업한 일자리를 연령대와 고용 형태별로 분석한 결과 25∼54세는 정규직 재취업률(32.5%)이 비정규직 재취업률(20.8%)보다 높았다.

반면 55∼74세는 정규직 재취업률(9.0%)이 비정규직 재취업률(23.8%)에 못 미쳤다. 55∼74세의 퇴사 후 5년 내 재취업률도 정규직 11.5%, 비정규직 39.4%, 자영업 16.7%로 조사됐다.

2019년 1월 부산시청에서 열린 장년층의 재취업을 돕기 위한 ‘경력직·중장년 미니일자리 박람회’ 모습. [중앙포토]

2019년 1월 부산시청에서 열린 장년층의 재취업을 돕기 위한 ‘경력직·중장년 미니일자리 박람회’ 모습. [중앙포토]

한경연에 다르면 중·고령층의 경우 고학력이고, 남성일수록 정규직 재취업 가능성이 높았다. 또 직업훈련 참여자이거나 퇴사 시 임금근로자로 일했던 사람일수록 재취업 가능성이 컸다.

아울러 부채가 있으면 정규직, 비정규직, 자영업자 등 모든 재취업의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부채가 중고령층이 노동시장에 머물게 하는 요인 중 하나인 것으로 확인됐다.

한경연의 유진성 연구위원은 "고령층을 위한 양질의 일자리를 늘리려면 정규직에 대한 고용 보호를 완화하고, 비정규직에 대한 규제도 완화하는 등 고용의 유연성을 제고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