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들 갈수록 한·미동맹 중시, 성 소수자에 대해선 왼쪽으로 [본지·정당학회 분석]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5면

2019년 5월 20일 경남 창원시 진해미해군함대지원단(CFAC)에서 열린 '한·미 여군 리더십 심포지엄'에서 참석자들이 한미동맹 강화 의지를 다지고 있다. 올해로 3회째인 이번 심포지엄은 양국 여군 간 리더십 향상 방안과 노하우 공유를 통해 한·미 해군 상호 리더십 향상을 도모하고자 마련됐다. (해군 작전사령부 제공) [뉴스1]

2019년 5월 20일 경남 창원시 진해미해군함대지원단(CFAC)에서 열린 '한·미 여군 리더십 심포지엄'에서 참석자들이 한미동맹 강화 의지를 다지고 있다. 올해로 3회째인 이번 심포지엄은 양국 여군 간 리더십 향상 방안과 노하우 공유를 통해 한·미 해군 상호 리더십 향상을 도모하고자 마련됐다. (해군 작전사령부 제공) [뉴스1]

본지·정당학회, 정책이념 분석

민심은 변한다고들 말한다. 과연 그럴까. 중앙일보와 한국정당학회는 2008년·2012년·2016년에 이어 올해까지 정책이념 조사를 하며 공통질문을 포함했다. ▶유권자 스스로 판단한 이념 성향 ▶한·미 동맹 ▶집회와 시위 ▶경제성장과 복지 등이다.

유권자들은 스스로 중도라고 여기는 경향성은 유지됐다. 0을 가장 진보로, 10을 가장 보수로 봤을 때 국민의 평균 이념은 5.4(2008년)→5.8(2012년)→5.3(2016년)→5.16(2021년)으로 횡보했다. 박경미 전북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대선 과정에서 각 후보 지지자들의 대립은 거세지만, 전반적인 이념 성향엔 큰 변화가 없었다”고 분석했다.
다만 사안별로는 변화가 있었다. ‘한·미 동맹을 강화해야 한다’는 쪽으로 이동했다(4.7→5.1→5.6→5.65). 집회와 시위를 두고도 보수적인 변화(5.4→6.1→5.8→6.52)가 두드러진다. 불법시위에는 엄격 대처해야 한다는 답변이 2016년 49.1%였는데 이번엔 65.2%였다. 코로나19 영향으로 인해 집회에 대한 우려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경제성장과 복지 관련 질문은 2008년과 2012년, 올해 던졌는데 5.0에서 5.9, 5.57로 이동했다.
성소수자에 대한 시각은 2016년에 비해 진보적으로 바뀌었다(5.2→4.26). ‘법적·제도적으로 인정하고 존중해야 한다’는 가장 진보적 답변이 16.5%에서 24.4%로 증가한 사이 ‘절대 용인 안 된다’는 가장 보수적 답변은 20.6%에서 14.9%로 줄었다. 비정규직 문제는 시장 자율에 맡겨야 한다(3.8→5.6)는 쪽으로 이동했다. 문재인 정부의 비정규직의 정규직화 정책의 반향으로 보인다.
박태인 기자 park.taein@joongang.co.kr

난 진보? 보수? 중도? 1분이면 알수 있습니다 (https://www.joongang.co.kr/digitalspecial/462)

어떻게 조사했나

정책이념은 ▶외교안보 ▶경제 ▶사회(물질/탈물질주의) 3개 차원의 영역으로 분석했다. 외교안보는 오랜 기간 한국 사회에서 가장 치열하게 정치·사회적 갈등을 구성했던 영역으로 대체로 한·미 관계 등 전통적 관계를 중시하는 게 보수, 변화와 다각화를 중시하는 게 진보로 여겨진다. 경제 영역에선 시장의 자율성과 효율을 중시하는 게 보수, 기업에 대한 규제와 복지를 강조하는 게 진보로 이해된다. 사회 영역에선 개인의 자유와 권리를 강조하는 것이 진보, 전통적 가치·질서를 우선하는 것이 보수 쪽이다.
이번 대선후보와 국민 대상 조사에선 3개 영역에서 현안을 대표하는 14개 쟁점을 선택했고, 쟁점별로 가장 진보(0)부터 가장 보수(10)까지 네 개 층위의 답변을 제시했다. 후보들에겐 현안에 대한 6개의 추가 질문도 했다.

중앙일보가 엠브레인퍼브릭에 의뢰해 지난해 12월 26~29일 전국 18세 이상 유권자 2014명을 대상으로 무선(84%)과 유선(16%) 전화면접조사 실시, 표본은 2021년 11월 말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 기준으로 성·연령·지역별로 할당 추출했으며, 인구 비례에 따른 가중치(셀 가중)를 부여했다. 신뢰수준 95%에 표본오차 ±2.2%포인트, 응답률은 12.1%다. 상세 자료는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참조.

※정당학회 연구진이 조사·분석에 참여했습니다.

관련기사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