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오미크론발 대확산 시작…오늘 9000명 안팎 가능성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1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가 우세종으로 자리 잡으면서 확진자가 급증했다. 24일 0시부터 오후 9시까지 전국에서 7437명의 확진자가 발생했다. 전날 같은 시간대 5675명보다 1762명 많다. 같은 시간대 기준 역대 최다다. 25일 오전 발표될 자정까지 확진자 수는 9000명 안팎이 될 전망이다. 이 경우 역시 역대 최다다. 확진자 수 역대 최다는 지난달 15일의 7848명이다.

오미크론 변이가 우세종이 된 건 국내 상륙 55일 만이다. 문재인 대통령의 ‘신속한 대응체계 전환’ 주문에도 정부는 이달 말께야 고위험군 중심의 대응 전략을 전국으로 확대할 방침이다. 현장에선 새 체계 안착에 시간이 걸리는 만큼 빠른 대응이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전국적인 방역체계 전환에 앞서 당국은 우선 대규모 확진에 대비해 확진자와 밀접접촉자 관리기준을 26일부터 바꾼다. 밀접접촉자 중 접종완료자는 자가격리 대신 7일간 수동감시 대상이 된다. 수동감시 대상자가 되면 일상생활을 그대로 할 수 있다. 다만 실내활동을 가급적 줄이고 사적 모임을 제한해 달라는 주의사항을 안내받는다. 미접종자는 7일간 자가격리를 한다. 확진자 격리 기간도 달라진다. 접종완료자는 10일에서 7일로 줄이고, 미접종자는 종전대로 10일간 격리한다.

관련기사

24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지난주(16~22일) 국내 감염자의 오미크론 검출률은 50.3%로 나타나 오미크론 변이가 우세종이 됐다고 발표했다.

접종완료자 확진 땐 자가격리 7일, 미접종자는 10일

델타 변이가 우세종이 되기까지 14주 걸렸던 반면 오미크론은 8주로 확산 속도가 2배 가까이 빠르다. 오미크론 검출률은 1월 첫째 주 12.5%에서 둘째 주 26.7%로 올랐다가 셋째 주 50%를 넘어섰다. 이 속도라면 다음 주께 검출률 100%가 유력하다. 다만 오미크론 변이의 치명률이 0.16%로 델타 변이(0.8%)보다 5분의 1 정도로 낮게 분석됐다고 방역 당국은 밝혔다.

문 대통령은 이날 “정부가 선제적으로 준비해온 오미크론 대응체계로 신속히 전환하라”고 주문했다. 김부겸 국무총리는 설 연휴 특별방역 관련 대국민 담화문을 통해 “설 연휴 많은 사람이 지역 간 활발히 이동하고 서로 만나게 된다면 타오르는 불길에 기름을 붓는 것과 다를 바 없다”며 고향 방문 자제를 요청했다.

정부는 오미크론 대응체계 확대 시점을 여전히 저울질하고 있다. 정은경 질병관리청장은 24일 “1월 말, 2월 초 정도로 준비하고 있다”고만 밝혔다. 정부는 대응 여력이 빠듯하지는 않다고 본다. 현재 고령층 확진자 비중(8.6%)이 빠르게 증가하지 않아 위중증 환자 수가 당분간 완만한 속도로 늘 것으로 예측했다. 오미크론 대응 단계에선 오히려 저위험군 환자를 방역망으로 촘촘히 거를 수 없어 통제력이 다소 느슨해질 수 있는 점이 고민스럽다.

오미크론 변이 검출률 추이. 그래픽=신재민 기자 shin.jaemin@joongang.co.kr

오미크론 변이 검출률 추이. 그래픽=신재민 기자 shin.jaemin@joongang.co.kr

당초 정부 예상보다 오미크론 확산 속도가 더 빨라지면서 현장 준비가 미흡한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정부는 동네 병·의원 중심의 진단·치료 체계를 예고했으나 여전히 의료계와 협의 중이다. 중앙사고수습본부 관계자는 “전국적으로 대응체계를 확대할 땐 호흡기클리닉뿐 아니라 일반 병·의원도 진단에 참여하는 걸 포함해야 하는데 논의가 덜 됐다”고 했다. 서울 내과 개원의 A씨는 “마스크를 벗은 의심환자를 진료해야 하는데, 선별검사소처럼 실외도 아닌 상황에서 감염 관리에 자신이 없다”고 말했다.

정부는 현재 확진자의 50~60% 수준인 재택치료자를 앞으로 90%까지 늘릴 계획인데, 이들을 관리할 의료기관, 외래진료센터도 확충 속도가 더디다. 지방자치단체 관리의료기관을 이달 말까지 400개 수준으로 늘려 최대 6만 명의 재택치료자를 감당할 방침이다. 외래진료센터는 2월 중순에야 현재의 두 배로 확대된다.

엄중식 가천대 길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설 명절 전에 1만 명을 넘을 것이라는 예측이 지배적이다. 명절 후에는 2만 명 예측도 나오고 있다”며 “확진자 폭증 후에 대응체계가 전환되면 상당히 어려운 상황이 발생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천병철 고려대 의대 예방의학과 교수는 “환자가 급격하게 늘어나며 매일 상황이 바뀔 텐데 대처가 너무 느긋하다”고 지적했다.

사회 필수시설 내 집단감염이 잇따르는 것도 문제다. 이대로는 의료·행정 서비스가 마비될 수 있다고 우려한다. 중수본은 24일 오전 10시 기준 정부 세종청사 내 보건복지부 직원 24명이 확진돼 재택치료 중이라고 밝혔다. 복지부는 전체 직원의 30% 이상을 재택근무자로 전환했다. 경기도 시흥경찰서에서도 집단감염이 발생해 이날까지 직원 30명이 확진됐다. 충북 증평군에서도 소속 공무원 17명이 확진됐다.

정부는 열흘 전 사회 필수시설 분야별 업무지속계획(BCP)을 수립하겠다고 발표했지만, 진전이 없다. 김우주 고려대 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대규모 확진자가 나오면 군대부터 시작해 경찰, 소방, 병원 등에 비상이 걸릴 것”이라며 “상황에 따른 프로토콜을 가지고 있어야 기능 마비 없이 사회가 유지될 수 있다”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