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한·미 관계 관심 1순위는 안보…"연합훈련, 왜 북한 눈치 보나"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8면

올 5월 출범하는 새 정부는 수많은 외교적 난제를 마주하게 된다. 해법을 모색하기 위해선 국민의 생각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국내적 지지 없이는 어떤 외교 정책도 지속 가능하지 않기 때문이다.

중앙일보는 서울대 아시아연구소와 공동으로 한국의 외교 환경에 대한 인식을 알 수 있는 '민심으로 읽은 새 정부 외교과제' 시리즈를 진행한다. 여론조사 결과(1회)와 빅 데이터 분석 결과(2회), 전문가들이 꼽은 올해 아시아 11대 이슈(3회) 등을 전한다.

2회 빅 데이터 분석은 지난해 1~11월 사이 한국어로 작성된 트위터 문서 40억 3702만 8316건과 포털사이트 네이버의 뉴스 851만 5358건을 대상으로 했다. 빅 데이터 전문기관 바이브 컴퍼니에 의뢰했다. 한‧미 및 한‧중 및 한‧일 관계와 관련한 트위터 언급량을 분석하고, 관심을 모았던 이슈를 추려내 구체적인 뉴스 댓글 내용을 파악했다.

특별취재팀

[민심으로 읽은 새 정부 외교과제-②] 

"한ㆍ미 연합훈련을 왜 북한 눈치 보면서 해야 하지?" "종전선언 같은 당근을 뭐가 아쉬워서 북한에 줘야 해?"

지난해 한ㆍ미 관계와 관련해 온라인 상에서 가장 많은 관심을 끈 이슈는 한ㆍ미 연합훈련을 비롯한 안보 관련 현안이었다. 빅데이터 여론 분석 결과 정부의 대북 저자세 외교를 지적하는 내용이 대다수였다. 오는 3월 대선을 앞두고 한ㆍ미 관계에 영향을 미칠만한 대선 후보의 발언도 온라인상에서 화제였다.

그래픽=김영옥 기자 yesok@joongang.co.kr

그래픽=김영옥 기자 yesok@joongang.co.kr

"北 눈치보며 훈련하나" 비판 여론

한‧미 관계와 관련한 분석 대상 기사 100건 중 43건이 한ㆍ미 연합훈련 관련으로, 해당 기사에 달린 댓글 수는 6만 6759건에 이르렀다.

공감을 많이 받은 댓글 상위 100건을 살펴본 결과 가장 많은 43건은 대북 대응과 관련한 정부 태도를 비판하는 내용이었다. "훈련을 북한 눈치나 보면서 한다", "북한에 대응하는 훈련을 북한한테 허락받고 한다는 게 말이 되느냐" 등이었다.

연합훈련 연기를 주장하는 국회의원들에 대한 비판 댓글도 29건이었다. 지난해 8월 범여권 의원 74명은 남북 관계 개선을 위해 훈련을 연기하자고 촉구하는 성명을 발표했다.

이를 비판하는 댓글은 "북한이 개성공단 (남북공동연락)사무소를 폭파했을 때는 북한을 비난했는가. 대한민국 국회의원이지 않나" 등이다.

그래픽=김영옥 기자 yesok@joongang.co.kr

그래픽=김영옥 기자 yesok@joongang.co.kr

“北 구애 한계” 종전선언 부정 반응도

한ㆍ미는 2018년 6월 싱가포르 북ㆍ미 정상회담 이후 연합훈련 규모를 줄이고 시뮬레이션을 통한 지휘소 훈련만 시행하고 있다. 지난해부터는 코로나19 여파로 훈련이 축소된 측면도 있다.

하지만 문재인 정부가 북한과 대화 재개만 바라보며 자꾸만 훈련 연기 카드를 꺼내든다는 비판은 꾸준히 제기됐다. 지난해 8월 한ㆍ미 연합훈련을 앞두고 통일부 고위 당국자는 "훈련을 연기하고 대북 관여를 본격적으로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문 대통령이 지난해 9월 유엔 총회를 계기로 종전선언을 제안한 데 대한 댓글은 5066건이었다. "뭐가 아쉽다고 (북한에) 당근을 주려 하느냐"거나 "국민 동의도 없이 (문 대통령) 혼자 하자는 건가" 등 부정적 여론이 많았다.

특히 공감을 많이 받은 댓글 상위 100건 중 26건은 종전선언을 할 경우 주한미군이 철수할 가능성을 우려하는 내용이었다. 정부는 종전선언이 법적 구속력이 없는 정치적 선언에 불과하기 때문에 주한미군 주둔 등 현재의 한ㆍ미 상호 방위 체제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고 강조하지만, 온라인 상 여론은 이와 괴리가 있는 셈이다.

이는 한·미 동맹을 중시하고 향후 더 강화하기를 바라는 인식이 여론조사에 이어 빅 데이터 분석에서도 일부 표출된 것으로, 온·오프라인상 여론에서 이와 관련한 일관성을 읽을 수 있다. 새 정부가 외교의 중심축을 어떻게 가져갈 지에 대해 시사하는 바가 있는 셈이다.

지난해 9월 문재인 대통령은 미국 뉴욕에서 유엔 총회를 계기로 종전선언을 제안했다. 청와대. 뉴스1.

지난해 9월 문재인 대통령은 미국 뉴욕에서 유엔 총회를 계기로 종전선언을 제안했다. 청와대. 뉴스1.

'가쓰라-태프트 발언' 역사의식 도마에

오는 3월 대선을 앞두고 각 당 후보들의 미 측 인사 면담, 방미 추진 등 뉴스도 주목을 받았다.

특히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통령 후보가 지난해 11월 존 오소프 미국 상원의원을 만나 "일본에 한국이 합병된 이유는 미국이 가쓰라-태프트 협약을 통해 승인했기 때문"이라고 말한 것과 관련한 보도에 대한 댓글은 6097건이었다.

오소프 의원은 미국의 대표적인 친한파 의원으로 꼽힌다. 당시 그는 한ㆍ미 동맹 강화 차원에서 상원의원에 당선된 뒤 두 번째 방문국으로 한국을 찾았는데, 이 후보의 발언이 외교 결례로 해석될 수 있다는 논란이 일었다.

이와 관련, 공감을 많이 받은 댓글 상위 100건 중 이 후보의 역사의식에 대한 비판이 가장 많았다. 총 62건으로 "그러면 6ㆍ25 전쟁은 뭐냐. 우리나라를 위해 목숨 바친 나라의 파병 군인은 뭐냐" 등이었다. 이 후보가 중국에는 할 말을 하지 못하는 편향적 태도를 보인다는 비판은 27건이었고, 외교 결례라는 점을 지적한 댓글도 10건이었다.

당시 논란에 대해 오소프 의원은 같은 달 중앙일보 인터뷰에서 "한ㆍ미 양국의 역사관을 서로 이해하는 것은 한ㆍ미 동맹은 물론 양국의 우정도 더욱 깊게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지난해 11월 여의도 더불어민주당사에서 존 오소프 미국 상원의원을 접견하는 모습. 뉴스1.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지난해 11월 여의도 더불어민주당사에서 존 오소프 미국 상원의원을 접견하는 모습. 뉴스1.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