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오피니언 디지털 세상 읽기

인터넷 양극화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1면

박상현 오터레터 발행인

박상현 오터레터 발행인

지난주 나이지리아 정부가 지난 7개월 동안 계속된 트위터 접속 금지를 해제했다. 이 나라가 소셜미디어 중에서도 트위터를 지목해 자국인이 사용하지 못하게 한 건 지난해 6월 트위터가 모하마두 부하리 대통령의 트윗을 삭제한 후에 취한 조치다. 부하리 대통령은 트윗에서 자국 내 반정부주의자들을 겨냥했다. 1960년대에 100만 명이 사망한 내전을 언급하면서 무력 진압을 암시했는데, 이는 회사 정책에 반한다는 게 트위터의 입장이었다.

부하리 대통령은 그 트윗을 삭제당하고 12시간 동안 계정 사용정지 처분을 받았다. 그는 트위터가 “국가 전복과 범죄 행위”에 사용된다며 자국 내 트위터 접속을 막아버렸다. 물론 가상사설망(VPN)을 통해 접속하는 방법은 있었지만 국민 대부분은 트위터를 사용할 수 없었고, 트위터는 인구 2억 명이 넘는 아프리카 최대시장을 놓칠 위기에 놓였다. 결국 나이지리아에 사무실을 설치하고, 세금을 내고 국내법을 준수해야 한다는 나이지리아 정부의 요구사항을 받아들인 뒤에야 트위터 사용금지가 해제됐다.

부하리 대통령의 입장에서는 외국 빅테크 길들이기에 성공한 것이지만, 비민주적 국가들의 인터넷 간섭이 늘어나는 추세를 다시 한번 확인시켜준 셈이다. 최근 캄보디아는 아예 모든 인터넷 트래픽을 정부가 관리하는 포털을 통하도록 하는 조치를 발표했고, 뉴욕타임스는 이를 인터넷 관리의 ‘중국식 모델’을 따르는 것으로 평가했다. 인터넷 선진국에서는 ‘웹3’라는 블록체인과 분산기술에 기반을 둔 탈중앙화 인터넷을 논의하고 있다. 이런 시대에 다른 한쪽에서는 많은 나라가 인터넷을 강력한 국가 통제 아래에 두려는 시도가 이어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