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가장 고달픈 세대는 ‘삼대남’…2년 연속 일자리 최대 감소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5면

민모(32)씨는 대학에서 2년간 공인회계사(CPA) 시험공부를 했다. 졸업하고 2년을 더 공부했지만 합격하지 못했다. 지난해부터 일반회사 취업에 도전했는데 번번이 실패했다. 졸업한 지 3년이 지나 시기를 놓친 데다, CPA 공부만 해서 남다른 ‘스펙’이 없었기 때문이다. 민씨는 “블라인드 채용을 하는 공공기관 말고는 사실 대안이 없다. NCS(국가직무능력표준)를 공부하고 있는데 경쟁이 워낙 치열해 합격할 수 있을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이후 닥친 취업 한파는 이른바 ‘삼대남(30대 남성)’에게 제일 가혹했다.

17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을 통해 연간 성별·연령대별 고용 현황을 분석한 결과다. 지난해 30대 남성 취업자 수는 321만2000명을 기록했다. 1989년 이후 역대 최저다. 2020년 8만9000명 감소한 데 이어 지난해 6만1000명 더 줄었다. 2년 연속으로 전 연령대 남녀를 통틀어 30대 남성 일자리 감소 폭이 가장 컸다.

'삼대남’ 일자리 가장 많이 줄어. 그래픽=김현서 kim.hyeonseo12@joongang.co.kr

'삼대남’ 일자리 가장 많이 줄어. 그래픽=김현서 kim.hyeonseo12@joongang.co.kr

지난해 남자 20대(1만8000명), 50대(2만4000명), 60대 이상(20만1000명) 취업자 수가 늘어난 것과 반대였다. 40대 남성 취업자가 1만6000명 줄긴 했지만 30대만큼은 아니었다. 여자 중에서도 30대 취업난(-4만6000명)이 가장 심했다. 코로나19 고비가 지나가며 지난해 취업 시장에 조금씩 훈풍이 불기 시작했지만 30대는 예외였다.

코로나19 사태 전까지만 해도 ‘위기의 40대’란 말이 나올 만큼 40대 취업난이 가장 심했다. 40대 경제활동인구 자체가 많았던 데다 조기 실직 등 여파였다. 2016~2019년만 해도 취업자 수 감소 1위 연령대는 40대였는데 2020년 이후 30대에 자리를 물려줬다. 2000년대 초반 400만명을 넘나들었던 30대 남성 취업자 수는 이제 320만명 선에 불과하다.

고령층이 늘고 청년층이 주는 인구 구조 변화 탓만 할 수 없다. 인구 대비 취업자 수를 뜻하는 고용률도 전 연령대, 성별 가운데 30대 남성(2020년 88.1%→2021년 88%)만 줄었다. 코로나19 이후 30대가 선호하는 안정적 일자리 가뭄이 심해졌고, 정부가 만든 공공 일자리마저 20대와 50대 이상 연령층에 집중되면서다.

정재훈 서울여대 사회복지학과 교수는 “기업 체질 개선, 일자리 미스매치 해소 등 풀기 어려운 문제는 내버려 두고 고용률 수치만 끌어올리려 단순 일자리 공급에만 몰두한 현 정부 고용정책의 전반적 한계가 드러났다”고 지적했다.

한편 지난해 연평균 자영업자 수는 551만3000명으로 1년 전보다 1만8000명 줄었다. 자영업자 수는 코로나19 사태가 처음 엄습한 2020년에 7만5000명이나 줄었는데도 지난해에 또 감소했다. 전년의 상당한 기저효과가 있었음에도 또다시 감소 흐름을 이어갔다. 자영업자가 주로 포진한 대면 서비스 업종이 코로나19 여파로 지난해에도 부진을 이어갔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실제 도소매 업종의 취업자는 지난해 15만명, 숙박·음식업 취업자는 4만7000명이 줄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