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님의 침묵' 초판 사려 1100만원 청약 깼다, 책에 미친 이 남자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6면

지난달 신간 『운명, 책을 탐하다』(궁리·아래 사진)를 펴낸 장서가 윤길수씨를 12일 전화 인터뷰로 만났다. 근대문학 양장본 최초 등록문화재에 지정된 본인 소장 김소월 시집 『진달래꽃』(중앙서림본)을 안고 포즈를 취했다. [사진 윤길수]

지난달 신간 『운명, 책을 탐하다』(궁리·아래 사진)를 펴낸 장서가 윤길수씨를 12일 전화 인터뷰로 만났다. 근대문학 양장본 최초 등록문화재에 지정된 본인 소장 김소월 시집 『진달래꽃』(중앙서림본)을 안고 포즈를 취했다. [사진 윤길수]

“귀한 서책을 소장한 자부심은 대통령 자리와도 안 바꾸죠.”

국내 최초의 근대화 서적이라는 개화사상가 유길준의  『서유견문』(1895)부터 2011년 근대문학 첫 등록문화재로 지정된 김소월 시집  『진달래꽃』(1925)까지. 50년에 걸쳐 한국 근현대 문학 100년사의 유산을 수집한 장서가 윤길수(70)씨가 소장도서 2만여 권에 얽힌 이야기를 책으로 펴냈다. 지난달 나온  『운명, 책을 탐하다』(궁리)는 2011년 첫 책  『윤길수책』(도서출판b)을 잇는 두 번째 책이다. 2014년부터 6년간 문예지 ‘문학선’에 연재한 글 중 문외한도 재밌게 읽을 만한 것을 추렸다.

운명, 책을 탐하다

운명, 책을 탐하다

12일 전화로 만난 윤씨는 “영업직으로 평생 박봉이었지만 수입의 절반 이상을 쏟아부어 책을 모았다. 내가 즐거워서 했다”며 웃었다. “50년간 모은 책에 우리 근현대 문학사가 다 있다”며 “한마디로 양장본의 역사”라고 의미를 짚었다. 양장본(洋裝本)은 개화기부터 나온 서양식 장정 도서로, 한지로 엮은 한적본과 구분해 부르는 말이다. 그는 “장서의 가치는 얼마나 체계적으로 모았느냐가 중요하다”며 “개화기부터 1970년 이전까지 나온 양장본 초판의 약 80%를 소장하고 있다”고 자부했다.

먼저 “수집 초판본 중 보물 1·2·3호를 꼽는다면”이라고 질문했다. 윤씨는 “문화재로 지정된 김소월의  『진달래꽃』은 말할 필요도 없고, 『서유견문』은 근대적 국민국가를 염원한 유길준의 한글 사랑과 정치 개혁 사상이 담긴 민족 문화유산”이라며 “민족의 독립을 상징적으로 표현한  『님의 침묵』(1926)은 길이 보존해야 할 한용운의 역작이다. 이광수의  『무정』(1918)은 최초의 근대 장편 소설로 일제강점기에만 8판까지 찍었다. 모두 문화재로 지정해도 손색없다”고 대답했다.

귀한 책일수록 수집 과정도 극적이었다. 『진달래꽃』 초판본은 1994년 퇴근 후 서울 노량진 진호서적에서 운명처럼 만났다. 최초의 창작 시집으로 알려진 김억의  『해파리의 노래』(1923), 근현대시사에서  『진달래꽃』과 쌍벽을 이루는 만해 한용운의  『님의 침묵』 등은 고서점가에 한꺼번에 나온 것을 놓쳤다가, 1992년 작고한 한 대구 장서가의 유품에서 발견했다. 고인의 책 301권을 한꺼번에 인수해야 하는 탓에 청약저축까지 해지해 1100만원 목돈을 냈다고 한다. 서울에서 반지하에 전세 살던 시절이다.

이번 책에는 쉽게 접할 수 없는 근대문학 유물의 내용과 사진도 세세하게 실었다. 책 안팎의 아름다움에 대한 치밀한 묘사가 돋보인다. 작가 이상이 직접 편집·교정·장정까지 맡았다는 모더니즘 시인 김기림의 첫 시집  『기상도』(1936)에 대한 대목이 그 예다. “검은 바탕에 두 줄의 은회색 선을 내려그은 표지 장정은 지금 봐도 손색이 없을 정도로 모던하다. (중략) 특히 시집을 펼치면 ‘기상도’의 활자가 3페이지에 걸쳐서 점점 커지고 있는데 이는 마치 멀리서 태풍이 몰려오는 것 같은 착각을 일으키게 한다.”

장서가 윤길수씨가 한성중학교 시절부터 드나들며 문학과 책에 대해 배운 서울 인사동 고서점 ‘경문서림’ 주인 송해룡 선생. [사진 궁리]

장서가 윤길수씨가 한성중학교 시절부터 드나들며 문학과 책에 대해 배운 서울 인사동 고서점 ‘경문서림’ 주인 송해룡 선생. [사진 궁리]

작곡가 홍난파가 러시아 문호 도스토옙스키의 장편 소설  『가난한 사람들』을 국내 최초로 번역한 기록도 흥미롭다. 무성 영화시대 감독 겸 배우 나운규 등의 영화를 글로 옮긴 영화소설은 당대 인기스타의 사진과 함께 대중문화 유행을 보여주는 귀한 자료다.

근대문학 양장본 보존의 중요성도 강조했다. 윤씨는 “양장본은 연대로 따지면 100년 남짓밖에 안 되니까 아직 국보나 보물로 지정된 책이 없다”며 “『진달래꽃』『님의 침묵』은 현재 10권이 채 남지 않았다. 희소가치 때문에 근래 (시장에서는) 굉장히 높게 평가돼 백석의  『사슴』(1936), 미당 서정주의  『화사집』(1941) 같은 시집은 수억 원대를 호가한다”고 설명했다.

시중의 교재나 연구자료에 오류가 적지 않다는 게 윤씨 지적이다. “『운명, 책을 탐하다』에 실린 시는 전부 내가 가진 원전에서 정확히 옮겼다. 학자들 공부 좀 하라고 출처까지 써놨다”고 했다.  『진달래꽃』 문화재 지정 당시 총판매소가 다른 중앙서림본(1권)과 한성도서본(3권)이 동시에 등록 결정됐다. 모두 초판본인지 끝까지 진위를 따진 건 같은 이유에서다. 이번 책에도 그는 “부끄럽지 않은 문화재를 후손에게 물려주는 일”이야말로 “김소월 시인에게 해줄 수 있는 최선의 예우”라고 적었다.

평생 책이 “종신 학교였다”는 윤씨는 다음 저서도 준비 중이다. ‘문학선’ 연재글 중 월북문인 70여 명에 관한 주제만 엮을 예정이다. 그는 “월북문인이 해금(1988년)된 지 30년 가까이 돼가는데, 여전히 한국 문학사는 반쪽이다. 한국문화사가 다시 쓰이려면 학자들이 원본을 갖고 있어야 한다”며 “그동안 단편적으로 관련 책이 몇 권 나왔는데 저자가 뒤바뀌는 등 기록이 정확지 않다. 잘못된 걸 재인용하는 경우도 있어 바로잡으려 한다”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