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새 그림책 '연이와 버들도령' 낸 백희나 작가 "연이가 날 살렸죠"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작업실에서 포즈를 취하고 있는 백희나 작가. 권혁재 기자

작업실에서 포즈를 취하고 있는 백희나 작가. 권혁재 기자

 "눈 속을 연이가 헤매는 장면에 가장 끌렸던 것 같아요. "

3년만의 신작, 구전설화 새로운 해석 #"옛이야기는 여러사람 인생 녹아있어 #작은 코드에도 정말 많은 의미 담겨" #

 백희나(51) 작가가 돌아왔다. 새로 나온 『연이와 버들 도령』은 그의 3년 만의 신작. '구름빵'을 시작으로 '알사탕''달샤베트''장수탕 선녀님' 등 놀라운 상상력을 꾸준히 그림책에 펼쳐온 그에게 짧지 않은 공백이었다.

 그 사이 영광도, 시련도 컸다. '아동문학계의 노벨상'으로 알려진 아스트리드 린드그렌상을 수상했는가 하면, 오래 마음고생을 한 '구름빵'의 저작권 관련 소송에선 최종 패소했다. 마음도 몸도 지쳤을 터. 다시 창작에 나서는 게 쉬웠을 리 없다. 작업실에서 만난 그는 이렇게 말했다. "연이가 날 살려준 거죠." 몇 번이나 다른 이야기를 쓰려다 접었다면서다.

 그림책 '연이와 버들 도령'의 표지. [사진 책읽는곰]

그림책 '연이와 버들 도령'의 표지. [사진 책읽는곰]

『연이와 버들 도령』은 설화를 바탕으로 작가의 공들인 장면 연출과 새로운 해석이 눈길을 사로잡는다. 예컨대 연이에게 힘든 일을 시키는 설화 속 '계모'가 책에는 그저 '나이 든 여인'으로 나온다. 편견을 깨는 동시에 다양한 해석의 여지를 열어 놓았다.

 작가는 "각자 상황에 맞춰 바라보기를 바랐다"고 했다. "'나이 든 여인'이 언니일 수도, 선생님일 수도 있죠. 윗사람이나 힘이 있는 자, 혹은 보호자일 수도 있고." 그럼 이 여인이 악당인 건 아닐까. 작가는 이렇게 말했다. "(연이에게) 딱히 나쁜 짓을 했다고 나오지 않아요. 일을 많이 시키죠. 어떻게 보면 지금 우리가 애들에게 공부 등 많이 시키는 것들이 있잖아요. 이렇게 자라야 해, 이런 능력을 키워야 해, 이 정도 해내야 돼."

백희나 그림책 '연이와 버들 도령'의 한 장면. [사진 책읽는곰]

백희나 그림책 '연이와 버들 도령'의 한 장면. [사진 책읽는곰]

연이는 '나이 든 여인'이 시키는 대로 한겨울에 상추를 구하러 눈밭을 헤매다 추위를 피해 동굴에 들어간다. 그 안에는 꽃과 초록이 눈부신 무릉도원 같은 세상이 펼쳐져 있다. 풍경만 아니라 버들 도령의 마음씀도 예쁘다. 상추 걱정은 말라며, 쌀을 씻고 나물을 무쳐 연이에게 밥상부터 차려준다.
 흥미로운 건 도령의 얼굴이다. 가만 보면 연이와 똑 닮았다. 작가는 두 인형을 만들 때부터 얼굴을 같게 했다.  "그게 재미있을 거 같았어요. 어떻게 보면 연이 안의 남성성일 수도 있고, 또 다른 자아일 수도 있는 거고." 설화의 뒷부분에서 죽은 도령을 연이가 살려내는 점을 떠올리면 더욱 흥미로운 설정이다.

'연이와 버들 도령'의 한 장면. [사진 책읽는곰]

'연이와 버들 도령'의 한 장면. [사진 책읽는곰]

 이 새롭고 풍부한 해석을 작가는 오랜 세월 누적된 설화의 힘으로 돌렸다.

 "옛이야기로 작업하는 게 처음엔 어렵다고 생각했는데, 재밌었어요. 여러 사람의 입을 통해 계속 살이 덧붙여지고 빠지면서 탄생한 이야기이기 때문에 정말 여러 사람의 인생이 녹아있다고 느꼈어요. 그래서 작은 코드 하나에도 많은 의미가 들어갈 수 있는 이야기더라고요. 제가 막 큰 의미를 부여해서, 작가가 숨은 이야기를 파내서가 아니라 보는 사람에 따라 이렇게도 저렇게도 생각될 수 있는 여지가 되게 많았어요. "

 이번 책은 그가 어린 시절 접한 세계명작동화집처럼 옛이야기를 시리즈로, 그 시작은 우리 얘기로 해보자는 구상에서 비롯됐다. 주변에선 연이의 처지가 작가와 비슷하다고도 했다지만, 사실 그는 이 설화에 처음부터 마냥 끌렸던 건 아니다.

 "생사를 오가는 대서사시인 데다, 끔찍한 장면도 있고, 이야기가 길어요. 또 제가 입체로 하는 걸 좋아하는데 자연경관이 나와요. 꽃, 나무, 산 이런 거를 입체로 표현했을 때 인공적이거나 촌스럽거나 둘 중 하나가 되기 쉽거든요."

 완성된 그림책을 보면 작가의 걱정은 대부분 기우다. 특히 연이가 눈 속에서 헤매는 장면은 실제 산에서, 눈이 온다는 예보를 좇아 강원도와 수도권의 여러 산을 오르내리며 찍었다. "눈 속에서 찍어보고 싶었거든요. 눈 오는 날 사진을 찍으면 약간 연보랏빛의 느낌이 있잖아요. 눈이 소리를 다 먹어서 고요해지는 분위기도 있고. "

작업실에서 인터뷰 후 포즈를 취하고 있는 백희나 작가. 권혁재 기자

작업실에서 인터뷰 후 포즈를 취하고 있는 백희나 작가. 권혁재 기자

 이 책은 연이의 성장 이야기라고도 할 수 있는데, 놀라운 것은 연이의 담담함이다. 일 할 때도 그랬지만, 동굴에 돌아와 모든 것이 잿더미가 된 모습을 봤을 때도 울음 대신 담담히 수습에 나선다.
 책에는 이렇게 쓰여있다.

"연이는 눈 앞에 펼쳐진 광경이 그리 슬프지 않았어. 오히려 버들 도령을 만나서 도움을 받았던 일이 이상하게 느껴졌어. 연이에겐 그동안 좋은 일이 하나도 없었거든. 그래서 이런 기막힌 일이 닥쳤어도 그래, 그러려니 싶은 거야." 

 연이는 설화에서처럼, 도령이 다시 살아난 뒤에야 비로소 울음을 터뜨린다.
 작가는 "연이는 눈밭에서 힘들다고, 책에서 슬프다고도 하지 않는다"며 이렇게 말했다. "삶의 과정인 거 같아요. 당연히 힘든 일도, 추운 날도 있고. 따뜻한 날, 꽃을 보고, 도령을 만나기도 하고. "

 하나 더 물었다. 이번 작품처럼, 어린이 그림책에 죽음이 나오는 게 괜찮을까.

 "경계가 어디냐, 언제까지 환상의 세계, 아이들에게 완벽하고 안전한 세계를 보여주고 언제부터 이 혹독한 현실을 보여줄 거냐죠. 어차피 알려줘야 하고 알 수밖에 없는 현실을 알려주는 가장 안전한 방법은 양육자가 읽어주는 책을 통해 간접 경험을 하는 거라고 생각해요. 아이들은 자신의 방식대로 보고, 그동안 살아온 인생을 토대로 해석할 거에요. "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