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전술핵 탑재하면 답 없다"···마하5, 더 세진 北 극초음속미사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북한의 미사일이 날로 매서워지고 있다. 한ㆍ미의 미사일 방어망을 뚫을 수 있는 신무기인 극초음속 미사일 개발에서 한 발 더 나가는 데 성공했다.

북한 국방과학원이 5일 극초음속미사일 시험발사를 진행했다고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이 6일 보도했다. 뉴스1

북한 국방과학원이 5일 극초음속미사일 시험발사를 진행했다고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이 6일 보도했다. 뉴스1

조선중앙통신 등 북한 관영매체는 국방과학원이 5일 극초음속 미사일 시험발사를 진행했다고 6일 보도했다. 이날 시험발사엔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참석하지 않았다. 북한은 지난해 9월 28일 자강도 용림군 도양리에서 극초음속 미사일인 화성-8호를 처음 발사했다. 99일 만에 2차 시험을 한 것이다.

북한 매체에 따르면 미사일은 발사 후 극초음속 활공체가 분리돼 초기 발사 방위각으로부터 목표 방위각에로 120㎞를 측면기동해 700㎞ 떨어진 표적을 정확히 명중했다. 한ㆍ미 군 당국은 5일 미사일의 최대 속도가 마하 5(시속 6120㎞)를 넘은 것으로 분석했다. 극초음속은 마하 5 이상을 뜻한다.

지난해 9월 화성-8형의 속도는 마하 3 정도였다. 또 사거리가 200여㎞였다. 2차 발사에서 극초음속 미사일의 속도를 높이고 사거리를 늘린 것이다.

탄도미사일 vs 극초음속 비행체 지상기반 레이더 탐지

탄도미사일 vs 극초음속 비행체 지상기반 레이더 탐지

이와 관련, 북한 매체는 극초음속 미사일을 “5개년 계획의 전략무기 부문 최우선 5대 과업 중 가장 중요한 핵심과업”이라고 불렀다. 집중투자 때문에 기술적 진보가 있었다는 뜻으로 보인다.

북한 매체의 사진을 1차 발사 때와 비교한 결과 활공체의 날개폭과 길이가 기존 2.9대1에서 3.1대 1 정도로 더 길쭉해진 모습이다. 지난해 10월 북한이 국방발전전람회에서 공개한 신형 기동식 재진입체(MARV) 형상과 비슷하다. 신형 활공체 여부에 대해 한ㆍ미 정보당국에서 정밀 분석 중이다.

권용수 전 국방대 교수는 “일본은 사거리를 500㎞로 발표했는데 이는 직선거리로 보인다”며 “200㎞를 요격미사일을 피하기 위해 상하와 좌우로 회피기동한 셈”이라고 말했다. 북한 매체도 ‘다계단 활공 도약비행’과 ‘측면기동’했다고 설명했다.

북한의 화성-8형은 최대 사거리 5000㎞인 중거리탄도미사일(IRBM)인 화성-12형에 오징어와 비슷한 모양의 극초음속 활공체(HGV)를 탄두부대신 단 미사일이다. 정점고도를 지나면 활공체가 글라이더처럼 미끄러져 비행한다. 이때 물수제비처럼 통통 튀어 오르거나, 옆으로 휘어 날 수 있다.

포물선의 일정한 궤적을 그리는 일반 탄도미사일과 달리 극초음속 미사일의 요격이 어려운 이유다. 류성엽21세기군사연구소 전문연구위원은 ”현재 극초음속 미사일을 떨굴 수 있는 요격체계가 마땅한 게 없다.“면에서 ”요격을 하더라도 1번밖에 기회가 없을 것“이라고 우려했다.

문제는 북한이 극초음속 미사일에 전술핵을 탑재하는 상황이다. 권용수 전 교수는 ”중국ㆍ러시아는 재래식과 핵탄두를 모두 쓸 수 있는 극초음속 미사일을 개발하고 있다“며 ”북한도 이를 따라 할 것“이라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