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대학 정시모집, 수도권·비수도권 격차 더 벌어지고 미달 늘었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올해 대입 정시모집에서 수도권과 비수도권 대학의 경쟁률 격차가 지난해보다 더 벌어졌다. 전반적인 경쟁률은 높아졌지만 비수도권 미달 대학이 늘면서 신입생 모집 '빈익빈 부익부'가 심화하고 있다.

지난달 17일 오후 서울 성동구청에서 열린 2022학년도 대입 정시 설명회에 참석한 학무보가 자료를 보며 설명을 듣고 있다. 연합뉴스

지난달 17일 오후 서울 성동구청에서 열린 2022학년도 대입 정시 설명회에 참석한 학무보가 자료를 보며 설명을 듣고 있다. 연합뉴스

4일 전국 168개 대학(교대 제외)의 2022학년도 정시모집 원서접수 현황을 조사한 결과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경쟁률 격차가 지난해보다 더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는 원서접수 대행사나 학교 홈페이지에 최종 경쟁률을 공시하지 않은 대학과 교육대학 등을 제외하고 집계했다. 제2캠퍼스는 분리 집계했다.

‘미달 위험’ 비수도권에 83% 몰려 

2022학년도 정시모집 경쟁률. 그래픽=박경민 기자 minn@joongang.co.kr

2022학년도 정시모집 경쟁률. 그래픽=박경민 기자 minn@joongang.co.kr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경쟁률 격차는 지난해보다 더 벌어졌다. 지난해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평균 경쟁률은 각 4.8대 1, 2.7대 1이었지만 올해는 수도권의 경쟁률이 6대 1, 비수도권의 경쟁률이 3.4대 1로 나타났다. 수도권과 비수도권 모두 경쟁률이 올랐지만 수도권 경쟁률이 더 가파르게 상승하며 차이를 벌렸다.

정시 경쟁률이 1대 1에 못 미친 미달 대학은 지난해 9개교에서 올해 18개교로 늘었다. 그중 15곳이 비수도권에 있다. 경쟁률 3대 1 이하인 ‘미달 위험’ 대학은 59개교로 전체의 35%에 달했다. 정시는 학생 1명이 3개 학교에 지원할 수 있기 때문에 경쟁률이 3 대 1에 못 미치는 학교는 사실상 미달로 간주한다. 미달 위험 대학 59개교 중 49곳(83%)이 비수도권 대학이다.

비수도권 대학 중에도 서울에서 멀수록 경쟁률이 낮은 경향이 뚜렷했다. 영·호남 지역은 경쟁률 3대 1 이하인 미달 위험 대학이 61%에 달했다. 충청 지역은 이 비율이 31%로 비교적 낮았다.

비수도권이라도 수도권 대학 ‘간판’을 가진 곳은 상대적으로 경쟁률이 높았다. 서울에 본교를 둔 분교 또는 이원화캠퍼스다. 예를 들어 건국대 충주캠퍼스는 8대 1, 홍익대 세종캠퍼스는 6.6대 1, 고려대 세종캠퍼스의 경쟁률은 6.1대 1을 기록했다.

권역별 경쟁률 미충족 대학 수. 그래픽=박경민 기자 minn@joongang.co.kr

권역별 경쟁률 미충족 대학 수. 그래픽=박경민 기자 minn@joongang.co.kr

“입학하면 아이패드 드려요” 광고에도 미달

일부 비수도권 대학은 장학금과 상품을 내걸고 지원자를 모집했지만 이렇다 할 효과를 보지 못했다. 광주의 한 사립대는 “○○대 가고 아이패드 받자!”라는 광고를 내걸고 학생 모집에 나섰지만 정시 경쟁률은 0.9대 1에 그쳤다. 부산의 한 사립대학교도 정시 합격자에게 학업 장려금 100만원을 현금 지급하겠다고 광고했지만 지원자 수가 정원을 간신히 넘으며 경쟁률 1.01대 1로 모집을 마쳤다.

광주의 한 사립대학이 정시 합격자 전원에 '아이폰'을 주겠다고 내걸었다. 홈페이지 캡처

광주의 한 사립대학이 정시 합격자 전원에 '아이폰'을 주겠다고 내걸었다. 홈페이지 캡처

전문가들은 학령인구가 줄어든 만큼 대학의 정원 미달 사태는 불가피한 면이 있다고 봤다. 송기창 숙명여대 교육학과 교수는 “지방대 학생 모집난의 근본 원인은 학령인구 감소”라며 “코로나19로 외국인 유학생도 받기 어려워져 전반적인 상황을 바꾸기는 쉽지 않다”고 말했다.

학령인구 감소세와 비교했을 때 고등 교육의 규모가 적정한지 따져봐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박남기 광주교대 교육학과 교수는 “4년제 대학에 가서 공부를 따라가지 못할 수준인 학생도 국가장학금 혜택 등으로 대학을 갈 수 있기 때문에 이런 학생들을 이용한 ‘좀비 대학’도 늘고 있다”며 “정부 차원에서 전문 직업 고등 교육을 활성화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대학 정책을 시장에만 맡기면 수도권으로 학생이 몰릴 수밖에 없는 만큼 고등 교육의 지역별 안배를 고민해야 할 때”라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