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10명중 1명 '가짜 음성' 나오는 신속항원검사, 정부가 도입하려는 이유

중앙일보

입력

정부가 오미크론 변이 맞춤형 방역전략을 다시 짜기로 했다. 검사량이 크게 늘 것에 대비해 PCR(유전자증폭) 검사의 보조 수단으로 신속항원검사를 병행하는 방식이 검토되고 있다. 그동안 방역당국은 정확도가 떨어진다는 이유로 신속항원검사를 배제해왔는데 오미크론 변이가 퍼지자 입장이 바뀌었다.

4일 박향 중앙사고수습본부 방역총괄반장은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브리핑에서 “오미크론의 확산 속도를 봤을 때 델타 변이 대응 방식으로는 속도를 따라가지 못할 거라는 예상들이 있다”며 “검사체계가 변화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향 반장은 “질병관리청을 중심으로 검사 방식, 검사 기관 등 여러 가지 논의들이 진행되고 있다”고도 했다. 전날 김부겸 국무총리도 “빠르고 강한 방역체계”를 주문했다. 김 총리는  “역학조사와 진단검사, 치료역량 전반을 더 빠르고 기민한 대응이 가능하도록 전면적으로 개편하는 일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지난달 20일 코로나19 거점전담병원인 충북 청주 오송 베스티안병원에서 의료진이 코로나19 의심환자 검체로부터 추출한 리보핵산(RNA)으로 PCR 검사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지난달 20일 코로나19 거점전담병원인 충북 청주 오송 베스티안병원에서 의료진이 코로나19 의심환자 검체로부터 추출한 리보핵산(RNA)으로 PCR 검사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오미크론 변이가 우세종으로 자리잡으면 현재의 검사 체계로는 감당하기 어렵다는 게 정부와 전문가 얘기다. 이상원 중앙방역대책본부 역학조사분석단장은 “전파력이 높기 때문에 더 많은 환자가 발생할 수 있다”며 “현재의 시스템만으로는 어려운 게 사실”이라고 말했다.

이혁민 세브란스병원 진단검사의학과 교수는 “현재 하루 최대 PCR 검사 역량은 70만, 80만건인데 최근 65만~70만 건 검사가 이뤄져 이미 한계에 다다른 상황”이라며 “오미크론이 확산하고 방역패스 목적의 검사가 늘면 검사량이 더 증가할 것”이라고 말했다. 오미크론이 확산하는 해외 현황을 보면 “100만명당 일일 확진자는 500, 2000명 수준으로 우리 인구에 대입하면 환자가 2만5000명에서 최대 10만명까지 늘 것”(김탁 순천향대 부천병원 감염내과 교수)이란 주장도 있다.

검사량이 급증하면 확진자 격리, 접촉자 추적 등 전체적인 감염병 대응에도 차질을 준다.

약국과 편의점 등에서 판매 중인 코로나19 자가검사키트. 뉴스1

약국과 편의점 등에서 판매 중인 코로나19 자가검사키트. 뉴스1

정부가 일단 검토하는 건 신속항원검사를 최대한 활용하는 방법이다. 항원검사로 우선 확진자를 가려내고 PCR로 재확인하는 식이다. 이상원 단장은 “항원 검사로 양성이 확인된 사람을 대상으로 PCR 검사를 하거나 다른 보조적인 수단으로 감염 여부를 확인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신속항원검사는 비인두에서 채취한 검체에서 단백질 등 코로나19 바이러스 구성 성분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는 검사법이다. 콧속이나 목 뒤 깊숙이 면봉을 넣어 검체를 채취한 뒤 리보핵산(RNA)을 추출, 증폭해 감염 여부를 가리는 PCR 검사와 비교해 결과가 빨리 나온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정확성이 떨어진다는 게 한계로 지적된다. 위음성률(양성인데 음성 값이 나오는 비율)이 10%로 높다. 100명 중 10명 정도는 거짓음성이 나온다는 얘기다. 위양성률(음성인데 양성 값이 나오는 비율)은 4% 정도다. 당국이 그간 요양병원 등의 감염취약시설에서 스크리닝(선별) 목적으로 신속항원검사를 활용해온 것도 이 때문이다.

이혁민 교수는 “신속항원검사는 정확도가 떨어져 안 쓸 수 있으면 안 쓰는 게 제일 좋다”면서도 “오미크론으로 환자가 급증해 써야 한다면 밀접접촉자나 유증상자는 PCR 검사를 하고 무증상자 위주로 신속항원검사를 하는 방식을 고려해볼 수 있다”고 말했다. 같은 항원검사라도 자가검사키트는 최후의 수단으로 써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교수는 “신속항원검사의 정확도가 낮다고 하지만 그나마 의료인이 비인두 검체를 채취하는 것인 반면 자가진단은 비강 검사나 구강검사라 정확도가 10% 더 떨어진다”며 “본인이 검체를 채취하기도 쉽지 않아 정확도가 더 낮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진단 방식에 더해 의원급 의료기관에서 경증, 무증상 환자를 볼 수 있도록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