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방역 풀어도 조여도 '꽁꽁'…위드 코로나 때 소비 되레 꺾였다

중앙일보

입력

현행 사회적 거리두기가 2주 연장된 가운데 2일 서울 명동 거리가 주말임에도 한산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뉴스1

현행 사회적 거리두기가 2주 연장된 가운데 2일 서울 명동 거리가 주말임에도 한산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뉴스1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확산세와 정부의 방역 조치가 경기에 주는 영향이 점점 줄어들고 있다. 코로나19 확진자가 늘어도 경제 지표가 전처럼 요동치지 않고, 단계적 일상회복(위드 코로나)을 시행해도 시장 분위기는 냉랭하다. 코로나19가 2년째 장기화하며 이른바 ‘학습효과’ 현상이 벌어지고 있다는 분석이 지배적이지만, 경제 주체의 심리가 아예 얼어붙을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

3일 통계청에 따르면 정부가 위드 코로나를 시행한 지난해 11월 각종 경제 지표 개선 흐름이 꺾인 것으로 나타났다. 우선 민간 소비를 나타내는 소매판매가 전월 대비 1.9% 감소했다. 국내 코로나19 2차 대유행 직전인 7월(-6.1%) 이후 가장 크게 줄어든 수치다.

산업활동 지표 추이. 그래픽=김경진 기자 capkim@joongang.co.kr

산업활동 지표 추이. 그래픽=김경진 기자 capkim@joongang.co.kr

당시 방역 조치가 완화하면서 서비스업 등 생산이 반등했는데도 소비가 줄어든 이유는 경제 주체가 ‘소비 평준화’에 들어갔기 때문이라는 게 전문가의 분석이다. 김상봉 한성대 경제학과 교수는 “코로나19의 지속 기간이 짧았다면 일시적으로 보복소비의 형태가 나타날 수 있지만, 지금처럼 장기화하는 상황에서는 안정적인 생활을 위해서 소득이 생겨도 기존의 소비 수준을 유지하는 행태가 일어난다”고 설명했다.

과거 ‘n차 확산’ 상황을 돌이켜보면 2차 유행이 시작한 뒤인 2020년 7월 소매판매는 전월 대비 6.1% 급감했고, 3차 유행이 한창이던 지난해 2월에도 0.9% 감소했다. 4차 대유행이 본격화한 지난해 7월(-0.5%)과 8월(-0.8%) 소비가 또 줄었지만, 9월(2.4%)과 10월(0.1%)에는 오히려 늘었다. 위드 코로나 중인 11월에 소비 흐름이 오히려 꺾였다는 의미다.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경제 심리는 점점 더 단단하게 얼어붙는 양상이다. 앞으로의 경기 국면을 예고하는 선행지수 순환변동치는 지난해 11월(101.3) 전월 대비 0.4포인트 떨어져 5개월 연속 하락을 기록했다.

고용시장도 마찬가지다. 고용 지표는 2020년 내내 내리막을 이어가다 지난해 다시 반등했다. 지난해 9월엔 취업자 수가 전년 동월 대비 67만1000명 증가하며 연중 최고 증가 폭을 기록하기도 했다. 그러나 위드 코로나 당시인 지난해 11월에는 55만3000명이 늘며 증가 폭이 둔화했다. 도·소매업과 숙박·음식점업에서만 20만9000명이 감소하며 위드 코로나의 혜택을 받지 못했다.

전반적인 경제 상황은 코로나19의 충격으로부터 덤덤해지고 있지만 도·소매업, 숙박·음식점업 등 소상공인·자영업자와 중소기업은 여전히 살얼음판을 걷고 있다. 노민선 중소벤처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앞서 올해 중소기업 전망을 발표하면서 “중소기업 경영 활동은 위드 코로나와 포스트 코로나 사이에서 불확실성이 심화할 것”이라며 정부와 통화 당국 등이 “물가 급등과 금리 인상에 따른 원가 상승과 대출 상환 부담 정도를 세밀하게 살필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