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구지역 찾아가는 학교 단위 백신 접종이 처음 시작된 16일 오전 대구의 한 학교에서 학생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을 맞고 있다.연합뉴스
정부가 12~17세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접종에 속도를 내고 있다. 하지만 교육부가 추진하는 학교 방문 접종, 학원 방역패스는 학부모의 외면을 받고 있어 정책 전환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나온다.
17일 질병관리청·교육부에 따르면 전날 0시 기준 12~17세 청소년의 코로나19 백신 1차 접종률은 55.9%를 기록했다. 절반이 넘는 청소년이 1차 접종을 마친 셈이다. 2차 접종을 마친 청소년의 비율도 40.1%로 집계됐다.
이달 들어 정부가 청소년 접종을 기존에 '자율 선택'에서 강력 권고하는 방향으로 바꾸면서 접종률은 빠르게 오르고 있다. 지난 1일 청소년 2차 접종률은 24.9%에서 보름여 만에 15.2%p 증가했다. 이 기간 동안 42만 778명의 청소년이 접종을 마쳤다.
교육부 관계자는 "감염률이 떨어지면 내년 1학기에는 전면 등교를 재개할 수 있다고 기대한다"며 "또 성인보다 낮은 청소년 접종률이 올라가면 교육 현장의 안정성도 확보될 것"이라고 말했다.
학교 방문 접종 참여 저조..."압박으로 비쳐"
![16일 오후 광주 광산구 모 중학교 강당에서 방역당국이 '찾아가는 학교단위 백신접종'을 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112/17/9c0084c9-466b-4331-9ac1-12548297d666.jpg)
16일 오후 광주 광산구 모 중학교 강당에서 방역당국이 '찾아가는 학교단위 백신접종'을 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
청소년 접종이 본격화하고 있지만, 교육 당국이 추진하는 접종 장려 대책은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비판이 나온다.
접종 확대를 위해 교육부가 추진한 학교 방문 접종은 학생·학부모로부터 외면받고 있다. 교육부에 따르면 지난 6일부터 12일까지 '건강상태 자가진단' 앱을 통해 조사한 결과 미접종 청소년 중 6.9%(8만3928명) 만이 학교 방문 접종에 참여하겠다고 답했다. 교육부가 대대적으로 홍보한 데 비해 저조한 반응이다.
방문 접종을 신청한 학교 대부분이 접종자가 소수에 그쳐 실효성에도 의문이 제기된다. 서울시교육청은 방문 접종을 신청한 1154개 학교 가운데 82.4%가 신청자가 10명 이하라고 밝혔다. 한 학급 규모에도 미치지 않는 학생 접종을 위해 보건소 인력이 출장을 가야 하는 상황이다.
교육계에서는 시행 전부터 학교 방문 접종에 대한 비판이 잇따랐다.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한국교총) 관계자는 "접근성을 높인다는 취지지만, 학생 간 접종 여부가 드러나 위화감을 조성하고 접종을 압박하는 것으로 비칠 수 있다"며 "접종 후 부작용에 대한 신속한 대응도 어렵다"고 말했다.
"편의성보다 신뢰 줘야"...교육부 속도 조절

유은혜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이 15일 오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사회관계장관회의에서 모두 발언을 하고 있다. 뉴스1
접종 접근성보다 신뢰 확보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백신 접종에 참여한 보건소 관계자는 "접종 의지가 있는 학부모는 병원에서 접종하지 학교에서 맞게 하지 않는다"며 "백신을 맞기 편하게 하는 정책보다 안전성을 강조하며 학부모를 설득해야 한다"고 말했다.
학부모 반발이 이어지고 오히려 접종에 대한 불신을 키운다는 비판이 이어지면서 교육부도 속도 조절에 나섰다. '사실상 접종 강제'라는 비판을 받은 학원 방역패스 적용은 연기를 검토하고 있다. 지난 15일 유 부총리는 "청소년 방역패스제의 적용은 원칙을 지키면서도 현장의 의견을 반영해서 보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