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구로공단 역사부터 미래까지···산업유산 품은 G밸리산업박물관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G밸리산업박물관을 찾은 한 관람객이 구로공단의 역사를 압축한 영상을 보고 있다. 권혁재 사진전문기자

G밸리산업박물관을 찾은 한 관람객이 구로공단의 역사를 압축한 영상을 보고 있다. 권혁재 사진전문기자

토요일인 지난달 20일 오후 2시. 서울 지하철 2호선 구로디지털단지역 앞에 열댓 명의 사람들이 모여들었다.  20대 초반 여성부터 60대 남성까지 다양한 이들을 한자리에 모은 것은 '도시해설사와 함께 걷는 G밸리 투어' 프로그램. G밸리는 1960~80년대 전자·섬유공장이 '수출 한국'을 이끌던 구로·금천구 일대를 가리킨다. 과거 수출산업단지였던 이 동네는 2000년 12월 서울디지털산업단지로 명칭이 바뀌었고 현재는 G밸리로 불린다.

국내 최초 산업박물관 사전개관 #3D, 인터랙티브 콘텐트 등 구축 #산업유산 보존, 미래산업 체험 #

앞서 SNS에 올라온 투어 참가자 모집 공고를 보고 신청했던 이들은 이날 전문가 설명을 들으며 두 시간에 걸쳐 옛 구로공단 일대를 답사했다. 공단 투어인 만큼 코스도 남달랐다. BYC-써니전기-새마을연수원-대한광학-수출의 여인상 등 15곳 탐방으로 이어진 여정은 G밸리산업박물관을 둘러보며 마무리됐다. 참가자들은 "그동안 경험했던 그 어느 문화유산 투어와 비교할 수 없을 만큼 색다르고 유익했다"고 입을 모았다.

서울 구로동에 설립된 G밸리산업박물관(MUSEUM G)이 내년 상반기 정식 개관을 앞두고 지난달 11일부터 사전 개관해 관람객을 맞고 있다. 1960년대 구로공단부터 21세기 G밸리에 이르기까지 반세기 넘는 구로공단의 역사를 기념하기 위해 서울시가 설립한 국내 최초의 산업박물관이다. 과거 수출용 인형과 가발, 전화기와 텔레비전을 생산하던 공장의 흔적은 사라지고 IT관련 기업 집약지로 변모한 이곳에서 옛 구로공단의 역사는 어떻게 기록되고 기념되고 있을까. 7일 현장을 직접 찾아봤다.

39층짜리 빌딩 3층에 산업박물관

지난달부터 사전 개관해 관람객을 맞고 있는 서울시립 G밸리산업박물관.[사진 G밸리산업박물관]

지난달부터 사전 개관해 관람객을 맞고 있는 서울시립 G밸리산업박물관.[사진 G밸리산업박물관]

박물관이 자리한 곳은 39층 규모의 G타워 3층. 이곳에서 제일 먼저 관람객을 맞은 것은 1968년 제1회 한국무역박람회를 실감 나게 재구성한 영상이다. 전시장 3면을 채운 흑백 영상은 마치 타임머신처럼 관람객을 태우고 1968년 박람회역으로 내달린다. 수많은 기업과 공단 근로자들이 허허벌판에 수출증진의 꿈을 위해 뿌리를 내렸던 구로공단의 시작점이다. 당시 제1회 한국무역박람회를 위해 설치한 임시 역사였던 박람회역은 현재 지하철 1·7호선 가산디지털단지역의 기틀이 됐다.

못난이 인형이 '유물'로 남은 곳

옛 구로공단 입주기업에서 생산한 못난이 인형 삼형제. . [사진 G밸리산업박물관]

옛 구로공단 입주기업에서 생산한 못난이 인형 삼형제. . [사진 G밸리산업박물관]

과거 구로공단에서 생산됐던 금성사 라디오. [사진 G밸리산업박물관]

과거 구로공단에서 생산됐던 금성사 라디오. [사진 G밸리산업박물관]

구로공단의 산업유물로 전시된 옛 다이얼식 전화기. [사진 G밸리산업박물관]

구로공단의 산업유물로 전시된 옛 다이얼식 전화기. [사진 G밸리산업박물관]

지난 11월부터 사전 개관해 관람객을 맞고 있는 G밸리산업박물관 전시장. [사진 이은주]

지난 11월부터 사전 개관해 관람객을 맞고 있는 G밸리산업박물관 전시장. [사진 이은주]

이어 또 다른 전시장에선 인형과 가발, 금성사 라디오와 대한전선 텔레비전, 모피공장(태림모피)에서 사용하던 낡은 미싱 등이 관람객을 맞는다. 50·60세대에게 향수를 불러일으키는 이 전시품은 과거 공단 입주기업들이 박물관에 기증한 산업 유물들이다. 유물 수집을 담당한 홍명화 학예연구사는 "구로공단은 60~70년대 봉제산업부터 가발제조, 70년대 전자제품 등 노동집약적인 경공업에서 순식간에 디지털 산업 공간으로 급격한 변화를 겪었다"며 "이 산업의 역사를 '기업'과 '노동'이라는 두 중심축으로 압축해 보여주는 데 초점을 맞췄다"고 말했다.

1960~80년대 지방에서 상경한 여공들이 거주했던 생활 공간 '벌집(쪽방)'을 소개한 자료 영상도 잠시 걸음을 멈추게 한다. 당시 여공들은 가리봉동에서 3~4명이 두 평 남짓한 방 한 칸을 빌려 썼고, 이 작은 방 20~30여 개가 밀집한 곳은 '벌집'이라 불렸다. 윤인향 학예연구사는 "박물관 개관을 준비하며 공단의 건축자산을 조사·연구하고 기록화하는 작업을 해왔다"며 "이 작업을 통한 영상으로 구로공단의 역사이자 이곳을 일군 사람들 이야기를 전하고 싶었다"고 소개했다.

300건의 구술 아카이브 구축 

G밸리산업박물관 미디어 라이브러리 전경. 권혁재 사진전문기자

G밸리산업박물관 미디어 라이브러리 전경. 권혁재 사진전문기자

G밸리산업박물관 디지털 수장고에서 자료를 찾아보고 있는 관람객. 권혁재 사진전문기자

G밸리산업박물관 디지털 수장고에서 자료를 찾아보고 있는 관람객. 권혁재 사진전문기자

현재 G밸리산업박물관 연례기획전 '구로, 청춘'의 첫 번째 이야기 '내 일처럼 ’ 에서 전시되고 있는 임흥순 작가의 영상 작품. 2014년작 '위로공단'의 서사적 흐름을 9개 채널로 나누고 파편화해 재구성했다. 권혁재 사진전문기자

현재 G밸리산업박물관 연례기획전 '구로, 청춘'의 첫 번째 이야기 '내 일처럼 ’ 에서 전시되고 있는 임흥순 작가의 영상 작품. 2014년작 '위로공단'의 서사적 흐름을 9개 채널로 나누고 파편화해 재구성했다. 권혁재 사진전문기자

진짜 볼거리는 미디어 라이브러리에 집중돼 있다. 구로공단의 역사를 디지털 영상으로 풀어낸 디지털 수장고와 G밸리 익스플로러가 박물관 역할을 다 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디지털 수장고 스크린에선 공단의 대표적 산업유산을 3D 이미지로 둘러보며 자료를 검색해 볼 수 있고, 익스플로러 터치스크린에선 7000건이 넘는 구로공단 관련 사진과 박물관 소장품 정보, 300건의 구술 아카이브, 건축자산 기록물 등을 탐험해 볼 수 있다. 언뜻 스크린만 덩그러니 놓여 있는 듯하지만, 이 디지털 자료야말로 공단 근로자의 구술 인터뷰부터 각종 사진, 심지어 행정문서까지 생생한 역사를 담은 '타임캡슐'인 셈이다.

G밸리산업박물관은 국내 최초의 산업박물관인 동시에 서울 서남권 첫 공공박물관이다. 독립적인 공간으로 설립되지 못한 것이 아쉽지만, 박물관은 이같은 물리적인 한계를 뛰어넘기 위해 조사·연구, 그리고 디지털 아카이빙에 특히 중점을 뒀다. 앞으로 운영의 성패는 공들여 축적한 디지털 자료를 관람객에게 어떠한 이야기로 효과를 극대화해 풀어낼 것인가에 달릴 듯하다.

현재 박물관에선 G밸리 청년의 일과 삶을 담아낸 연례기획전 '구로, 청춘'의 첫 번째 이야기로 '내 일처럼' (내년 2월 28일까지) 전시가 열리고 있다. 2015년 베니스비엔날레 은사자상을 받은 임흥순 작가를 비롯해 박한결, 우한나, 정만영 등 4인의 시각예술가가 박물관이 수집하고 소장한 아카이브를 바탕으로 제작한 영상과 설치 등 신작을 선보이고 있다.

이슬찬 학예연구사는 "내년에는 청소년과 직장인을 대상으로 교육과 G밸리 투어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정기적으로 열 계획"이라며 "12월 중 현장을 직접 방문할 수 없는 관람객을 대상으로 한 랜선투어와 비대면 교육 프로그램도 운영될 것”이라고 말했다.

황보연 서울시 경제정책실장은 "G밸리산업박물관은 우리 산업발전사를 압축해 보존하는 역사박물관이란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며 "이곳은 역사를 간직하는 것을 넘어서 미래 세대에게 무한한 가능성과 새로운 기회를 경험하는 공간으로 내년 중 공식 개관할 것"이라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