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방역패스 갈등 확산…“오미크론, 교회서 퍼졌는데 왜 뺐나”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2면

7일 오후 2시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의 한 백화점 내 푸드코트 출입구. QR코드를 찍는 기계가 있었지만 5분 동안 고객 8명 중 1명 만이 ‘방역패스’(접종증명·음성확인제)를 인증했다. 출입구를 지키는 직원은 보이지 않았다. 일렬로 앉아야만 밥을 먹을 수 있는 한 식당은 13석 중 12석에 손님이 앉아있었다. 어깨가 스칠 정도로 가까웠지만, 절반 이상은 음식이 나오기 전부터 마스크를 벗고 있었다. 직원 송모씨는 “푸드코트에 입점한 가게들은 평수도 작고 사방이 다 뚫려 있다”며 “한 곳에서 감염되면 바이러스가 확 퍼질까 봐 걱정된다”고 말했다.

방역패스 예외 지역인 백화점·종교시설 등에서 방역 수칙이 제대로 지켜지지 않는다는 지적이 이어지고 있다. 백화점의 경우 푸드코트 등 내부 식당은 방역패스 대상이지만, 사실상 관리 사각지대였다. 실제 기자가 이날 둘러본 분당구 백화점 2곳의 푸드코트는 방역패스 없이 입장할 수 있었다. 한 푸드코트 직원은 “백화점 푸드코트는 감염에 취약한 지하에 있고, 손님 대부분이 마스크를 안 쓴다. 백화점이 왜 방역패스 대상에서 제외됐는지 모르겠다”며 인상을 찌푸렸다.

자영업자들도 형평성 문제를 제기한다. 백화점과 30m 떨어진 곳에서 중식당을 운영하는 장모씨는 “식당보다 관리가 더 안 되는 게 백화점이다. 오락가락 방역 정책 때문에 손해를 보는 건 자영업자밖에 없다”고 말했다. 전골 가게 업주 이모씨도 “오미크론 변이는 교회에서 퍼졌는데 왜 종교시설은 빼고 식당만 틀어막느냐”고 따졌다.

관련기사

일관성 없는 정책은 불신과 혐오로 이어지기도 한다. 백화점과 종교시설이 방역패스 대상에서 빠진 데 대해 “대기업 편의를 정부가 봐준 것” “종교계 눈치를 본 결정” 등 확인되지 않은 글이 인터넷에 퍼지고 있다.

구정우 성균관대 사회학과 교수는 “누구나 감염병에 걸릴 수 있고 백신을 안 맞을 수도 있는데 그것이 마치 공공복리 저해 요인인 것처럼 분위기가 조장되고 있다”며 “정부의 갈라치기 식 방역 정책이 이런 분위기를 만드는 데 일조했다고 본다”고 말했다. 임명호 단국대 심리학과 교수는 “자영업자의 화살이 정부가 아닌 교회 등으로 향하고 있는데 정부는 모른 척한다. 정부가 국민에게 짐을 전가하는 셈”이라고 분석했다.

이와 관련해 손영래 보건복지부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은 이날 “교회 등에 대한 방역 강화 필요성이 있는 상황으로 보고 있다”며 “문화체육관광부가 종교계와 함께 종교시설의 방역 강화 방안을 협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