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새 일자리 절반 이상은 ‘노인 일자리’…지난해 38만개 늘어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난해 늘어난 60대 이상 일자리가 38만개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규 일자리의 절반이 넘는 규모다. 경제활동을 시작하는 나이인 20대에서 일자리가 2만개 늘어나는 동안 60대 이상에서 증가한 일자리는 그 19배에 달했다. 정부가 ‘공공일자리’라는 이름으로 노인 일자리를 늘린 영향이다.

53.5%가 60대 이상에서 늘어

지난달 29일 경기도 수원시 화성행궁 광장에서 열린 '제10회 수원시 노인일자리 채용한마당'에서 구직자들이 입장 순서를 기다리고 있다. 연합뉴스

지난달 29일 경기도 수원시 화성행궁 광장에서 열린 '제10회 수원시 노인일자리 채용한마당'에서 구직자들이 입장 순서를 기다리고 있다. 연합뉴스

7일 통계청은 2020년 일자리행정통계 결과를 발표하고 지난해 전체 일자리가 2472만개로, 전년보다 71만개 늘어났다고 밝혔다. 263만개의 일자리가 소멸하는 동안 333만개가 새롭게 늘어난 영향이다. 일자리 증가분 중 38만개(53.5%)가 60세 이상의 이른바 ‘노인 일자리’이다. 일자리 총량은 늘었다지만, 정부의 노인 일자리 사업이 이를 주도하면서 고용의 질은 후퇴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60세 이상에서 1년 새 38만개에 달하는 일자리가 늘어난 건 역대 처음이다. 2019년에도 공공일자리 정책의 영향으로 이 나잇대에서 34만명이 늘어 역대 최대였지만, 지난해는 이 기록도 깼다. 60대 다음으로 일자리가 늘어난 연령은 50대다. 50대에선 18만개의 일자리가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해 증가한 일자리는 40대(10만개), 30대(6만개), 20대(2만개) 등으로 연령이 낮아질수록 줄었다.

60세 이상 절반 넘은 연령별 일자리 증가폭.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60세 이상 절반 넘은 연령별 일자리 증가폭.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부모·자식 일자리 수 역전

근로자 지위에 있는 노인이 20대보다 많은 부모‧자식 간 역전 현상은 심화했다. 지난해 20대 일자리는 총 344만개로, 60세 이상(395만개)보다 50만개 이상 적었다. 저출산 고령화로 인구구조가 변화하고 있다지만, 은퇴 계층의 일자리가 취업 연령보다 월등히 많은 건 기형적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산업별로 봐도 공공일자리의 영향이 두드러졌다. 지난해 일자리가 가장 많이 늘어난 산업은 보건‧사회복지업과 공공‧사회보장행정업으로, 공공일자리가 집중된 분야다. 보건‧복지업에선 13만개의 일자리가 늘었고, 공공‧행정업에서 12만개의 일자리가 늘었다. 산업별로 분류했을 때 증가 폭 1위와 2위다. 통계청 관계자는 “젊은층은 줄어들고 고령 인구는 늘어나는 인구 변화에 따라 나타나는 현상”이라면서도 “정부의 공공일자리 사업 영향도 크게 미쳤다”고 설명했다.

강성진 고려대 경제학과 교수는 “공공일자리는 결국 정부 재정이 계속 나갈 수밖에 없는 구조”라며 “경기 활성화를 통해 기업을 중심으로 한 민간일자리를 늘려야 지속가능성이 있는데 지금은 반대로 가고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지난 3월 3일 서울 종로구 탑골공원 인근에서 어르신들이 장기를 구경하고 있다. 뉴스1

지난 3월 3일 서울 종로구 탑골공원 인근에서 어르신들이 장기를 구경하고 있다. 뉴스1

한편 지난해 코로나19 확산에도 불구하고 통계상 전체 일자리 수가 증가로 나타난 건 경제활동조사와는 인원이 아닌 일자리 수를 기준으로 해서다. 지난해 부업자가 역대 최대로 늘어난 만큼 1명의 취업자라도 복수의 일자리 통계로 잡힌다는 의미다. 또 가입된 4대보험 수를 기준으로 해 정부의 가입조건 완화도 일자리 증가에 영향을 미쳤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