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북극 통하면 유럽까지 열흘 단축…‘2050 북극 전략’ 본격화

중앙일보

입력

정부가 북극을 활용한 경제활동에 본격적으로 뛰어든다. 기후위기 대응 등 북극과 관련한 현안을 해결하는 데 한국의 기여도를 높여서 북극 경제에서의 ‘지분’을 늘리는 계획이다. 북극 진출을 위해 북극권 국가와의 협력 관계도 강화할 방침이다.

북극을 항해하는 쇄빙선 아라온호 앞에서 연구원들이 연구 활동을 하는 모습. 해양수산부

북극을 항해하는 쇄빙선 아라온호 앞에서 연구원들이 연구 활동을 하는 모습. 해양수산부

해양수산부는 30일 이러한 내용을 담은 ‘2050 북극 활동 전략’을 수립했다고 밝혔다. 지금까지 정부의 북극 활동은 주로 과학 연구 중심이었다. 앞으로는 북극에서의 경제활동을 확대해 2050년까지 북극 거버넌스(협치)에서 선도 국가 역할을 맡겠다는 게 정부의 목표다.

해수부는 우선 한국의 조선‧해운 기술을 활용해 북극항로 개척에 나선다. 북극 해빙(解氷)이 가속화하면서 부산항에서 네덜란드 로테르담항까지 북극 항로(25일 1만4300㎞)를 이용하면 수에즈 운하 항로(35일 1만9900㎞) 운항 거리와 일수를 약 3분의 1 단축할 수 있다. 정부는 러시아와 북극항로 항만 개발 가능성을 타진하고 있다.

러시아의 북극 액화천연가스(LNG) 사업에도 국내 기업의 참여를 추진한다. 러시아 LNG 사업에 지분을 투자하거나 LNG 선박 건조를 통한 운송에 참여하는 등 해운‧조선‧물류‧에너지 분야 기업이 동반 진출하는 방식이다.

송상근 해수부 해양정책실장은 “러시아는 이미 일본‧중국 등과 협력해 LNG 개발을 서두르고 있다”며 “수소‧암모니아 등 친환경 연료가 상용화하기 전 징검다리 연료로 LNG가 주목받고 있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쇄빙연구선 아라온호가 북극 바다를 항해하고 있다. 해양수산부

쇄빙연구선 아라온호가 북극 바다를 항해하고 있다. 해양수산부

정부는 앞으로 5년 동안 2774억원을 투입해 아라온호에 이은 차세대 쇄빙연구선을 건조하고 , 위성·고위도 관측센터를 활용한 북극권 종합 관측망과 극지 데이터댐을 구축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북극의 환경변화에 따른 국내 한파‧집중호우 등 이상 기후를 예측할 수 있는 능력을 2035년까지 선진국 수준으로 높이고, 기후 위기 관련 국제 공동연구에도 참여한다. 또 북극해 가상 재현 시뮬레이션 개발을 통해 해양 쓰레기‧미세먼지 등 북극 해양환경 보호 기술을 확보한다.

미국·러시아·노르웨이·덴마크 등 8개 북극권 관문 국가와는 협력사업인 ‘Arctic(북극) 8 프로젝트’를 추진한다. 각국이 가지고 있는 관심 사항을 한국의 강점인 에너지‧선박 등 분야와 결합해 협업하는 사업이다.

문성혁 해수부 장관은 “2050 북극 활동 전략은 우리나라가 북극 선도국가로 도약하기 위한 앞으로 30년 동안의 방향을 제시한 계획”이라며 “기후변화 대응, 북극 해양생태계 보전 등 그동안 우리가 깊게 살피지 못한 북극 현안 해결에 기여하고, 북극권 국가 등과 굳건한 신뢰를 형성해 앞으로 다가올 북극 시대에 적극적으로 동참하겠다”고 밝혔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