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李지지층엔 '도덕성' 안먹히고, 尹지지층은 '도덕성' 중시했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24일 서울 중구 포시즌스 호텔에서 '20대 대선, 대한민국의 미래를 묻다'를 주제로 열린 2021 중앙포럼에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왼쪽)와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후보가 기념촬영하고 있다. 장진영 기자

24일 서울 중구 포시즌스 호텔에서 '20대 대선, 대한민국의 미래를 묻다'를 주제로 열린 2021 중앙포럼에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왼쪽)와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후보가 기념촬영하고 있다. 장진영 기자

유권자들이 대선 후보 선택에 있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소는 무엇일까. 중앙일보가 여론조사 업체 엠브레인퍼블릭에 의뢰해 26~27일 진행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지지 후보 결정시 가장 중요한 변수'를 꼽아달라는 질문에 응답자의 34.4%가 ‘국정수행 능력’을 선택해 1위였다. 정책·공약(19.7%)이 뒤를 이었다.

눈길을 끄는 건 3위에 오른 도덕성(15.5%)이다. 여야는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의 대장동 개발 의혹, 윤석열 국민의힘 후보의 처가 의혹 등을 놓고 도덕성 공방이 한창이다. 선거가 다가올수록 네거티브 공방이 더 과열돼 후보의 도덕성이 더 중요시될 것이란 관측도 있다.

‘도덕성’ 꼽은 李 지지층 7.8% 그쳐  

'지지 후보 결정시 고려 변수'는 연령·지역별, 지지 후보별로 큰 차이를 보였다. 먼저 이 후보 지지층에선 최대 고려 사항으로 국정수행 능력(52.6%)을 꼽았다. 이후 정책·공약(16.1%), 소통·화합 능력(10.0%) 순이었는데 도덕성이라는 응답은 7.8%에 그쳤다. 민주당 지지자도 비슷한 양상이었다. 국정수행 능력(49.3%)에 응답이 몰리고 도덕성(8.4%) 응답은 한 자릿수에 그쳤다. 엄경영 시대정신연구소장은 “이 후보를 향한 도덕성 논란 공격이 이 후보 지지층에게는 웬만해선 잘 먹히지 않는다는 의미”라고 말했다.

지역별로는 호남(10.9%), 강원·제주(6.6%)에서 도덕성 응답 비율이 낮았다. 모두 이 후보 지지율이 윤 후보보다 더 높았던 지역이다. 반면 야당 지지세가 강한 대구·경북(27.5%) 지역 응답자들은 최대 변수가 도덕성이라고 응답했다. 연령별로는 50대(16.6%)와 60대 이상(21.3%)에서 평균보다 더 도덕성을 중시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 진보 성향 응답자(11.8%)보다는 보수(19.3%) 성향 응답자에서 도덕성을 선택한 비율이 더 높았다.

尹 지지층 응답 중 소속 정당(12.1%) 눈길

2021 중앙포럼이 24일 오전 서울 종로구 포시즌스호텔에서 열렸다. 이날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왼쪽)와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후보가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김경록 기자

2021 중앙포럼이 24일 오전 서울 종로구 포시즌스호텔에서 열렸다. 이날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왼쪽)와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후보가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김경록 기자

윤 후보 지지층은 이 후보 지지층과 달리 국정수행 능력(25.0%)에 이어 도덕성(19.4%)을 주요 변수로 꼽았다. 흥미로운 건 정책·공약(17.6%)에 이어 소속 정당(12.1%)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두 자릿수라는 점이었다. 국민의힘 인사는 “이 후보와 달리 윤 후보는 본인보다는 상대적으로 가족에게 도덕성 공격이 치중돼 있다는 점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며 “정권 교체 여론이 강한 분위기에서 국민의힘 간판도 윤 후보에게 플러스가 되고 있다는 의미”라고 주장했다.

한편 이번 조사에서 내년 대선에 투표하지 않겠다는 비 투표층 응답자들은 최대 변수로 도덕성(29.1%)을 선택해 눈길을 끌었다. 양강 대선 주자들의 도덕성 논란에 실망해 투표하지 않기로 마음먹었다는 해석이 가능하다.

여론조사 어떻게 진행했나


이번 조사는 중앙일보가 엠브레인퍼블릭에 의뢰해 지난 26~27일 전국의 만 18세 이상 남녀 1020명을 대상으로 유선 임의전화걸기(RDD, 비율 14.9%)와 무선(가상번호, 비율 85.1%)을 결합한 전화면접조사 방식으로 진행했다. 유ㆍ무선 평균 응답률은 13.8%며 2021년 10월 말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 기준으로 가중값을 부여했고 표본오차는 95% 신뢰 수준에서 최대 ±3.1%포인트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www.nesdc.go.kr) 참조.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