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구급차서 중환자 10시간 대기...병상 없어 다시 집 가기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0면

119 구급대원들이 확진자를 이송하고 있다. 뉴스1.

119 구급대원들이 확진자를 이송하고 있다. 뉴스1.

"구급차 안에서 10시간 기다리는 건 기본이에요. 병원에 병상 찾는 전화를 20통씩 돌리죠."

25일 오후 서울의 한 대형병원 앞에서 만난 119구급대원 A씨는 이렇게 말했다. 그는 하얀 방호복을 머리까지 덮어쓰고 마스크, 페이스 실드를 착용한 채였다. A씨는 이날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고 병상 배정을 기다리던 확진자를 이송했다. 이 환자는 집에 머물던 중 산소포화도가 급격히 떨어지는 등 상태가 악화하자 119로 신고를 했다. 이날은 환자를 태운지 7시간 만에 병상이 나왔는데, 그나마 빨리 나온 편이라고 전했다.

코로나19 중증 환자 병상이 부족해지며 119구급차들이 환자를 떠안고 있다. 확진 이후 집에서 병상을 대기하던 환자나 재택치료 도중 상태가 나빠져 병원으로 옮겨가야 하는 환자들이 구급차에 실린 채 병상이 나기만을 기다리는 현상이 발생한 것이다. A씨는 "지금 출동한 구급차도 우리가 3대째"라며 "구급차 내에 준비된 산소가 다 떨어져서 3대가 교대해가며 7시간 동안 산소를 공급했다"고 말했다. 이전에는 119 구급대가 '환자를 데리고 간다'고 병원에 통보하고 몇분내 실어날랐지만, 이제는 환자를 받아주는 병원을 찾으며 기약없이 기다려야 한다.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에 따르면 28일 0시 기준 전국 코로나19 병상 대기자는 총 1265명이다. 이중 70세 이상 고령 환자가 486명이다. 27일 오후 5시 기준으로 수도권 중증 환자 병상 가동률은 85.4%로, 이미 포화 상태다. 특히 서울에는 병상이 48개밖에 남지 않았다.

중수본 병상배정반에서 병상을 배정해준 경우라면 119는 이송만 하면 된다. 그러나 응급 출동은 이야기가 다르다. 중증 환자 가용 병상이 줄어들어 환자들은 우선 출동한 구급차에서 대기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대전의 한 예방접종센터에 119구급차가 비상 대기하고 있다. 프리랜서 김성태.

대전의 한 예방접종센터에 119구급차가 비상 대기하고 있다. 프리랜서 김성태.

또 다른 대형병원에서 만난 119 구급대원 B씨는 "중증으로 나빠져서 신고를 받고 이송하는 경우, 병원에 계속 전화를 하면서 가지만 확진자를 잘 받아주지 않는다"며 "6시간 이상씩 구급차가 교대를 하며 대기한다"고 말했다. 위중증 환자의 병상 대기가 '구급차 대기'로 이어지는 것이다.

"우린 의사도 간호사도 아닌데"...구급대에 맡겨진 위중증 환자

대기 시간 동안 계속 환자 곁을 지켜야 하는 구급대원들은 불안을 호소한다. 구급차 안에서 할 수 있는 의료 행위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A씨는 "구급차는 환자를 관찰하거나 치료하는 곳이 아니라 이송하는 곳"이라며 "환자에게 산소만 계속 주면서 '조금만 더 있어 보시라'는 등 책임질 수 없는 말들을 해야 하는 상황이 너무 화가 난다"고 토로했다.

119 구급대원 C씨는 "심지어 기다려도 병상이 안 나서 상태가 위중한 환자를 댁에 도로 모셔다드리고 오는 경우도 있다"며 "대기 상태에서 환자 상태가 나빠지면 그냥 지켜보는 수밖에 도리가 없다"고 말했다.

발 묶인 구급대에 '이송 공백' 우려도

119 구급대가 중증 환자 병상 대기에 꼼짝없이 잡혀 있어야 하는 상황이라 일반 환자에 대한 이송 공백 우려도 나온다. A씨는 "구급차는 한정되어 있으니, 구급차가 잡혀 있는 동안 그만큼 일반 응급 환자들을 살피지 못할 수밖에 없다"며 "환자 한 명 때문에 구급차가 먼 거리를 움직일 수 없어, 우리가 환자를 봤을 때 중하지 않으면 '이만하면 괜찮다'고 말하고 돌아서는 실정"이라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병상 대책이 시급하다고 지적한다.  김우주 고대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병상 대기 상황에 대해 "확진자가 줄어들지 않는 한 중증 환자 병상을 1200개 만든다 한들 그 인원이 입원하고 나면 2000명이 대기 중일 것"이라며 "거리두기를 강화하고 부스터샷 접종을 서두르는 게 답"이라고 말했다. 또 "더군다나 앞으로 들어올지도 모를 '오미크론'은 전염도 3~5배 빠르고 백신 효과도 떨어질 가능성이 있다"며 빠른 대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김윤 서울대 의대 의료관리학실 교수는 "'응급환자를 먼저 본다'는 지금까지 지켜왔던 원칙대로 병상을 배정해야 모든 부담이 줄어든다. 병원에서 더 위급한 코로나19 환자들에게 중환자실을 내줘야 한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환자가 소수라면 음압 격리실에서 볼 수 있겠지만, 지금은 인력을 확충해서 병동 하나를 비워 코로나 환자만 봐야 할 때"라고 말했다.

김동현 한림대 의대 사회의학교실 교수는 "행정명령으로 십시일반 조금씩 모아서 하는 병상 확보는 이제는 어려울 것 같다. 5~10병상 나와도 인력 배치가 어렵고 환자 치료에 효율적이지 않다"며 "중소병원이나 시립병원, 공공의료원을 활용해 병원 전체를 코로나 중증 환자 전담 병원으로 지정해서 지원해줘야 한다"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