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전두환 저승서라도 사죄를" vs "경제치적 인정" 네티즌 공방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23일 전두환 전(前) 대통령의 사망 소식이 전해지자 각종 온라인 커뮤니티에선 네티즌들의 다양한 반응이 쏟아졌다. 5·18 광주 민주화운동 강제 진압 등 고인의 과오를 비판하는 싸늘한 반응이 주를 이루는 가운데 경제 안정 등 치적을 재평가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왔다.

전두환 전 대통령이 향년 90세로 사망한 23일 서울 마포구 세브란스병원 신촌장례식장에 마련된 빈소 앞 전광판에 전 전 대통령의 사진이 나오고 있다. 뉴스1

전두환 전 대통령이 향년 90세로 사망한 23일 서울 마포구 세브란스병원 신촌장례식장에 마련된 빈소 앞 전광판에 전 전 대통령의 사진이 나오고 있다. 뉴스1

네티즌 갑론을박 “씁쓸함 앞선다”

클리앙·MLB파크·보배드림·FM코리아 등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네티즌들은 고인에 대한 평가를 쏟아냈다. 한 네티즌은 “자신의 잘못에 대해 인정하지 않고 세상을 등져 아쉽다”며 “그곳에서 자신의 죄에 대해 반드시 사죄하시길”이라고 글을 남겼다.

‘드디어 한 시대가 끝났습니다’라는 제목의 글을 올린 한 네티즌은 “박정희부터 시작하는 전두환, 노태우 여기에 3김(김영삼·김대중·김종필)까지 모두 갔다”면서 “정말 파란 많았던 한 시대가 끝났다. 새로운 시대의 서막인 것 같다”고 적었다.

전두환 전 대통령이 별세한 23일 오후 서울 서대문구 연희동 자택에서 고인이 운구차로 향하고 있다. 뉴스1

전두환 전 대통령이 별세한 23일 오후 서울 서대문구 연희동 자택에서 고인이 운구차로 향하고 있다. 뉴스1

네티즌들은 대체로 12·12 군사쿠데타와 5·18 광주 민주화운동 진압과 등 고인의 과오를 비판했다. 커뮤니티 게시판에는 “광주에서 전두환에게 학살당한 분들에게 위령제를 열어야 한다” “사죄는커녕 진실 고백도 없었다는 점에서 기쁨보다는 씁쓸함이 앞선다” “억울하게 죽임당한 영혼들에 위로가 되길 바란다” 등의 글들이 올라왔다.

한 네티즌은 ‘죽은 전두환에게 편지를 써봤습니다’라는 제목의 글에서 “지옥에 도착했으면 거기서라도 광주에 용서를 구하라”는 편지 내용을 올렸다.

뉴욕타임스는 22일(현지시간) '한국의 전 군사 독재자인 전두환이 90세로 사망하다'란 제목의 기사를 올렸다. 홈페이지 캡처

뉴욕타임스는 22일(현지시간) '한국의 전 군사 독재자인 전두환이 90세로 사망하다'란 제목의 기사를 올렸다. 홈페이지 캡처

“경제 치적은 재평가해야” “공보단 과가 너무 크다”

네티즌들은 전 전 대통령의 사망 소식을 다룬 뉴욕타임스를 ‘민족정론지’로 추켜세우기도 했다. 이날 뉴욕타임스는 “한국에서 가장 많은 비난을 받은 군 장성 출신 독재자가 서울 자택에서 90세를 일기로 숨졌다”며 전 전 대통령의 사망을 보도했다.

제목에서 ‘전 군부독재자(Ex-Military Dictator)’라고 지칭하며 죄수복을 입은 전 전 대통령의 사진을 사용한 뉴욕타임스는 “군부독재와 민간인 학살을 주도했던 그는 끝까지 역사에 대해 사죄를 하지 않고 한국의 장성 출신 대통령 3명 중 마지막으로 사망했다”고 설명했다. 이를 두고 네티즌들은 “뉴스 보도의 정석, 제목은 이렇게 달아야 한다” “아직도 공공연하게 독재자를 독재자라고 부르지 못하는 건 후진국” 등의 반응을 보였다.

반면 일부 네티즌은 “전두환의 경제 치적은 재평가가 필요하다”는 주장을 펼쳐 눈길을 끌기도 했다. 이 네티즌은 “7년이라는 임기 내내 물가를 꽉 잡아서 국민 생활을 안정시켰다”며 “군사력으로 정권을 잡은 인물인 것도 사실이지만, 한국 경제 안정에 큰 공헌을 한 인물이라는 점 역시 사실이다”고 주장했다.

또 다른 네티즌도 “관료들과 경제학 교수들이 한 것이긴 하지만 전두환이 거시경제 컨트롤과 산업정책을 매우 잘한 건 맞다”고 했다. 반면 이에 대해 “공으로 과를 덮기엔 과가 너무 크다” “당시 전 세계 경제가 호황이었고 우리나라만 경제성장률이 높은 건 아니었다” “산업화 시기엔 누가 대통령이 돼도 경제가 발전했을 것”이란 반박도 이어졌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