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오피니언 분수대

정치 인플루언서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3면

강기헌 기자 중앙일보 기자
강기헌 산업1팀 기자

강기헌 산업1팀 기자

선거관리위원회는 선거의 공정한 관리를 위한 헌법상 유일한 기관이다. 선거관리위원회가 헌법기관으로 발돋움한 건 1960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1960년 6월 헌법은 중앙선거관리위원회를 헌법기관으로 규정했다. 한국공법학회는 『선거관리위원회의 헌법적 역할과 과제에 관한 연구』에서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헌법에 규정된 것은 3·15 부정선거를 겪고 그에 대한 반성적인 의미였다고 할 수 있다”고 적었다.

3차 개헌으로 선거관리위원회의 위상은 어느 때보다 높아졌다. 1960년 헌법은 중앙선거관리위원회를 헌법 6장에 편제했다. 5장 정부와 7장 사법부 사이에 둬 격을 높였다. 이는 중앙선거관리위원회의 독립성을 높여 선거 관리의 공정성을 높이기 위함이었다.

공정한 선거관리는 민주주의의 뿌리지만 선거관리기구가 헌법기관으로 독립하기까지 순탄한 길을 걸어온 건 아니었다. 해방 후 최초의 선거관리기구는 1947년 남조선과도입법의원이 제정한 법률 5호 입법의원의원선거법(立法議院議員選擧法)에서 처음으로 규정했다. 행정 수반이 선거일 80일 전에 중앙선거위원회를 조직하도록 했으나 이는 작동하지 못했다. 제2차 미소 공동위원회와 남북 협상이 결렬된 후 남한 지역에서만 총선거를 치렀고 단독정부를 수립해서다.

제헌의회는 국회법·정부조직법 등 여러 법률을 제정했는데 국회의원 선거법도 이 과정에서 만들었다. 법에 따라 내무부 산하에 중앙선거위원회가 설치됐다. 내무부 소속 선거관리위원회가 헌법기관으로 독립하는 데 10년이란 세월이 걸린 셈이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인터넷선거보도심의위원회가 지난 15일 진중권 전 교수가 쓴 이재명 후보 관련 페이스북 글을 인용해 보도한 7개 매체에 ‘주의’와 ‘공정보도 협조요청’을 결정했다. ‘이분이 실성하셨나’ 등이 특정 후보자에게 유·불리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봤다. 유튜브·SNS와 같은 개인 미디어 발전으로 정치 인플루언서의 영향력이 확장하는 가운데 선거관리위원회의 고심도 클 것이다. 그럼에도 결정은 성급했다. 주의 조치한 글보다 훨씬 더 감정적인 네거티브 정당 논평이 줄을 잇고 있어서다. 나아가 정치 인플루언서의 의사 표현 자유는 직업 정치인의 그것과 동등하다. 자유롭게 보도할 수 있는 언론의 자유도 마찬가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