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우리는 시만 쓰는 게 아니라 공도 찬다!

중앙선데이

입력

세계 최초·유일의 축구하는 시인들 모임 '글발'의 경기 모습. 축구는 이들에게 몸으로 쓰는 시다.

세계 최초·유일의 축구하는 시인들 모임 '글발'의 경기 모습. 축구는 이들에게 몸으로 쓰는 시다.

신준봉 전문기자/중앙 컬처&라이프스타일랩
inform@joongang.co.kr

세계 최초·유일 시인축구단 글발 30주년 #40명 참여 사화집 '두 발로 쓰는 시' 출간

이들의 불그죽죽한 유니폼은 맨체스터 유나이티드든 한국 국가대표팀이든 어쨌든 수준급의 축구팀을 연상시킨다. 축구를 통해 건강하고 튼튼해지는 만큼 더욱더 좋은 시를 쓰겠다고 하니 근대 올림픽 정신도 한 큰술? 마음의 노동, 그러니까 정신으로도 쓰지만 두 발로도 시를 쓴다고 자부하는 시인축구단 글발 얘기다.
 세계 최초·유일이라는 수식어(확인된 건 아니다)를 스스로 애용하는 시인축구단 글발이 창단 30주년을 맞았다. 1991년에 생겨나 지금까지 축구 동호회 활동을 하는 시인들 모임이다. 그런 연치(年齒)를 기념해 회원 시인들이 비장의 시 작품과 산문을 십시일반 모아 사화집을 냈다. 『두 발로 쓰는 시(詩)』(북인)다. 축구단 단장 김왕노 시인, 안방마님 김상미 시인, 총무 박지웅 시인 등 모두 40명이 글을 보탰다. 시뿐 아니라 그림에도 비상한 재능을 보이는 정병근 시인이 공중골을 경합하는 장면을 실감 나게 표현한 크레파스 표지화를 그렸다.

글발 창립 30주년을 기념해 제막한 사화집 『두 발로 쓰는 시(詩)』(북인).

글발 창립 30주년을 기념해 제막한 사화집 『두 발로 쓰는 시(詩)』(북인).

 오래돼 귀해진 것에 전설 같은 옛이야기가 없을 리 없다. 김중식 시인이 김요일 시인이 근무하는 문학세계사 출판사에서 바둑 두다 축구 얘기가 나온 게 뿌리 깊은 전통의 출발점이었다고 한다. 두세 팀이 함께 공을 찼지만 결국 글발만 살아남았다. 믿기 어렵지만 초창기 글발은 승률 높은 강팀이었다(김상미 '글발! 詩발! 파이팅!'). 불러주면 전국 어디라도 달려가 지역 문인이 관여하는 팀이나 국문과 혹은 문창과 학생팀과 일전을 벌였다. 하지만 일부 회원들이 들고나는 사이 핵심 회원들은 자연스럽게 노쇠해 요즘 글발 정신은 벅찬 상대 앞에서도 좌절하지 않고 최선을 다하는 문인의 기개를 발산하는 쪽으로 흐른다. 경기 도중 그라운드에서 흡연하는 '신기한' 사례는 사라졌지만, 경기보다는 응원석에서 술추렴에 매진하는 장면을 가끔씩 볼 수 있는 것도 글발이니까 가능한 일이다.
 사화집은 어느 쪽으로도 독자를 만족시킬 수 있을 듯싶다. 수준 높은 서정시도 만날 수 있고, 시와 축구의 아리송한 함수 관계를 엿볼 수 있는 시 작품과 산문도 들어 있다.
 김경주 시인은 슬픔 혹은 슬픔의 극복에 관한 환상적인 작품('메아리')를 선보였고, 고영민 시인은 길고 검은 사람의 그림자에서 뱀의 기분을 짐작하는 관찰력을 발휘한다('기어가는 기분'). 김지헌 시인은 전력 질주하는 손흥민의 발에서 80년 넘게 전력으로 달려온 어머니의 발을 떠올리고('뜨거운 발'), 박완호 시인은 축구공을 "모난 곳 하나 없는 둥근 성격"으로 그렸다('공에 관한 짧은 생각'). 박세라 시인은 산문 '글발 시인들은 마음의 밥이다'에서 여성 회원이라 공 찰 것도 아니면서 왜 글발 축구 모임에 참석하는지 스스로도 의아했으나 결국 글발 시인들이 책보다 더한 마음의 양식이라는 점을 깨닫게 됐다며 애정을 표현했다.

글발은 포항 연분홍축구단과 교류전을 갖는다. 연분홍축구단은 권선희·고영민·이종암 시인이 속해 있다.

글발은 포항 연분홍축구단과 교류전을 갖는다. 연분홍축구단은 권선희·고영민·이종암 시인이 속해 있다.

 이밖에 강수·김광호·김두안·김승기·김점미·김정수·문정영·박종국·백인덕·서수찬·석민재·신수현·우대식·이시백·이위발·이정주·이진욱·이창수·이철경·장종권·전윤호·조현석·차성환·최광임·최영규·최춘희·최치언·함기석·황종권 시인이 사화집에 참여했다.
 그러니까 결국 왜 시인들은 공을 찬다는 걸까. 김중식 시인의 레토릭이 설득력 있다. '축구 선수 모집 공고'의 한 대목이다.
 "'고통의 축제'를 즐기는 이유는 스포츠가 취미가 아니라 중독이기 때문일 것이다. 몸이 시가 되는 축제랄까. 그에 따른 희생이 만만치 않으니 카니발리즘 같기도 하다."
 더 설명이 필요한가?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