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신생아 똥귀저기 찾아 냉동보관" 그렇게 만든 음료 1억개 팔렸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평범한 직딩들의 특별한 직장 이야기, '잡썰'(Job說)

김주연 hy 프로바이오틱스팀 책임연구원이 12일 hy 중앙연구소에서 균주를 배양 중인 접시를 살펴보고 있다. [사진 hy]

김주연 hy 프로바이오틱스팀 책임연구원이 12일 hy 중앙연구소에서 균주를 배양 중인 접시를 살펴보고 있다. [사진 hy]

hy(구 한국야쿠르트) 중앙연구소의 김주연(41) 프로바이오틱스팀 책임연구원은 매일 0.1㎜ 이하의 미생물과 씨름하며 유익균을 찾는 일을 하고 있다. 우리 몸 속에는 수많은 미생물이 있고, 자연·음식 지구상 거의 모든 곳에도 미생물이 살고 있다. 김 책임연구원은 발효음식 등에 있는 유산균처럼 우리 몸에 이로운 유익균을 찾는 게 주요 업무다.

[잡썰35]김주연 hy 프로바이오틱스팀 책임연구원

12일 김 책임연구원이 근무 중인 경기도 용인시 hy 중앙연구소를 찾았다. 프로바이오틱스팀 연구실 책상엔 균주가 자라고 있는 배양접시가 한가득이었다. 김 책임연구원은 “새로운 프로바이오틱스 균주를 발굴하는 게 우리 일과”라며 “연구원들이 전국 시장을 돌며 된장·젓갈 등 전통 발효식품에서 균주를 추출하기도 하고, 건강한 성인이나 신생아의 분변에서도 균주를 추출해 들여다본다”고 말했다.

특히 건강한 신생아의 분변은 유익균이 많을 가능성이 커 예전에는 산후조리원에서 신생아의 첫 똥귀저기를 수거하는 게 유산균 연구원의 중요 임무였다고 한다. 김 책임연구원은 “이젠 그렇게는 못하고, 지인 등 주변에서 아기가 태어나면 기저귀를 받아 냉동보관 후 나중에 실험에 쓰곤 한다”고 웃으며 말했다.

인체 건강에 도움을 주는 것이 과학적으로 검증된 유산균을 통상 프로바이오틱스라고 부르는데, 이 프로바이오틱스 시장은 갈수록 세분화되는 추세다. hy만해도 윌을 시작으로, 쿠퍼스, MPRO3(엠프로쓰리) 등 기능성 프로바이오틱스 음료를 계속 출시하고 있다. 2년 전 출시된 MPRO3는 김 책임연구원이 프로바이오틱스 발굴부터 임상시험, 상품화까지 4년을 매달려 특히 애착이 가는 제품. 출시 2년 만에 1억 개가 팔리며 hy에서도 윌 이후 최고 히트작으로 자리매김했다.

왼쪽부터 윌, 쿠퍼스, MPRO3 제품. [사진 hy]

왼쪽부터 윌, 쿠퍼스, MPRO3 제품. [사진 hy]

김 책임연구원은 “윌·쿠퍼스·MPRO3 모두 장 건강을 기초로 한 제품인데 윌은 위, 쿠퍼스는 간 기능에도 효과가 있는 부재료가 들어갔다”며 “MPRO3는 철저히 장 건강에만 집중해 만들어보자는 기획에서 시작했다”고 말했다. 그는 hy가 보유한 4800여종 균주 중 특허받은 유산균 3종(HY2782·HY7712·HY8002)을 혼합해 장 건강에 특화된 복합 프로바이오틱스 균주를 발굴했다. 이어 대장암 수술을 앞둔 환자들을 대상으로 임상시험을 진행, 유익균이 늘며 장 회복을 돕는 연구결과를 얻었다. hy는 MPRO3 연구결과를 SCI급 국제 학술지(journal of clinical medicine)에 게재했다.

김 책임연구원은 “MPRO3의 M은 마이크로바이옴(microbiome·미생물총합)을, PRO3는 hy의 프로바이오틱스 3종으로 장내 마이크로바이옴을 개선하는 프로바이오틱스란 의미에서 프로젝트명을 지었다”며 “이게 그대로 제품명으로 이어졌다”고 말했다. MPRO3가 나온 후 친구 등 주변에서 “효과를 봤다”고 연락해올 때 ‘괜찮은 제품을 내놨구나’ 싶어 뿌듯했다고. 김 책임연구원은 “변비로 고생하는 한 친구가 15년 만에 정상변을 봤다고 하더라”고 웃었다.

김주연 hy 프로바이오틱스팀 책임연구원이 hy 중앙연구소에 냉동보관 중인 균주를 살펴보고 있다. [사진 hy]

김주연 hy 프로바이오틱스팀 책임연구원이 hy 중앙연구소에 냉동보관 중인 균주를 살펴보고 있다. [사진 hy]

그는 “프로바이오틱스 시장은 계속 진화를 거듭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프로바이오틱스가 장 건강뿐 아니라 트리거(연쇄작용)가 돼 다른 면역·대사 등에 영향을 주는 연구들이 해외에서 진행되고 있다”면서다. 문제는 프로바이오틱스가 어떤 기제로 인체 건강에 긍정적 효과를 주는지 과학적으로 입증하는 일이다.

김 책임연구원은 “프로바이오틱스의 기능을 발굴하는 것도 의미가 있지만 과학성이 확보돼야 하기 때문에 연구결과를 특허 및 논문으로 쓰는데도 공을 들인다”며 “이 과정이 가장 힘들고 고통스럽다”고 했다. “하지만 잘 됐을 때 제품 성공에서 나아가 국민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생각하면 뿌듯한 작업”이라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