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오피니언 사설

각 정당, 청년 정치인 육성 시스템 만들어야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0면

온라인 커뮤니티 및 국민의힘 당원 게시판에 올라온 '탈당 인증'. [온라인 커뮤니티 캡처]

온라인 커뮤니티 및 국민의힘 당원 게시판에 올라온 '탈당 인증'. [온라인 커뮤니티 캡처]

세대갈등 줄이려면 청년 목소리 담는 정치 필요  

유럽 30대 리더, 10대부터 정당활동 경험 쌓아  

대선후보를 선출한 국민의힘이 2030 세대 탈당 후유증을 겪고 있다. 국민의힘 당원으로 가입한 젊은층 가운데 지지하던 홍준표 의원의 탈락에 반발하는 이들이 온라인에 탈당 서류를 올리고 있다. 다른 당원들로부터 “어차피 여당에 유리한 후보를 고르려는 ‘위장당원’이었다”는 맞대응이 나오면서 공방이 벌어졌다.

탈당 논란의 실체가 무엇인지와 별개로, 이번 갈등은 국민의힘만의 문제가 아니다. 2030 세대는 대선 여론조사에서 무당층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다. 이를 단순히 기성 정치권에 대한 비토 정서라고 넘겨선 안 된다. 이번 논란의 와중에 젊은층은 중장년 세대가 자신들은 누리지 못한 성장의 과실을 누리고선 연금 등에서 짐을 떠넘긴다는 불만을 드러냈다. 일자리와 부동산, 소득 등 삶의 조건을 둘러싼 세대 갈등이 여야를 막론하고 정치 이슈로 본격화하는 신호일 수 있다.

전체 유권자 중 청년층의 비중은 크다. 지난해 4·15 총선 당시 만 18~19세와 20~30대를 합한 유권자가 1500만 명에 육박해 1200만 명가량인 60세 이상보다 많았다. 지지 후보를 못 정한 청년층을 잡으려고 대선후보들은 앞다퉈 공약을 내고 젊은이들과의 접촉을 늘리고 있다. 하지만 2030은 이념 성향이 다양하고, 젠더별로도 이슈에 대한 입장이 달라 선거 때만 반짝 매달려선 “우리가 주름살 가리는 위장용이냐”는 핀잔을 들을 뿐이다.

각 정당은 젊은 세대의 정치권 진출을 활성화할 시스템을 갖추는 게 급선무다. 기성세대와 이해가 엇갈리는 청년 스스로 의사 결정 과정에서 목소리를 내게 해야 한다.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는 국회의원·지방자치단체장 피선거권을 만 18세 이상으로 낮추자고 제안했다. 이미 이런 주장을 했던 더불어민주당에서도 송영길 대표가 환영의 뜻을 밝혀 실현될지 주목된다.

국내 정당은 청년 정치인을 육성하기보다 선거철에 몇 명을 반짝 발탁하는 생색내기를 해 왔다. 일부 정당이 ‘청년당’ 운영 등 시동을 걸었지만 걸음마 단계다. 이와 달리 유럽의 30대 정치 리더들은 대부분 10대나 20대 초반에 정당 활동을 시작했다. 최근 사임했지만 35세의 제바스티안 쿠르츠 오스트리아 총리는 17세 때 국민당 내 청년당에 들어가 2013년 외교장관을 맡는 등 경력을 쌓았다. 36세인 산나 마린 핀란드 총리도 21세 때 당 청년조직에 들어갔다.

상향식 공천 제도를 정착시켜 출마로 이어지게 하는 것도 중요하다. 국내 정당은 후보자 공천 때 당 대표나 대통령 당선인, 당협위원장 등과의 친분이 작용하다 보니 자신들이 내건 청년 공천 목표도 지키지 못해 왔다. 2030 정치인을 체계적으로 육성해 ‘40대 기수’조차 찾기 힘든 한국 정치를 바꾸는 계기가 돼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