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105개국 “2030년 벌채 중단” 러시아·브라질도 동참했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2면

제26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COP26) 참여국 정상들이 1일(현지시간) 영국 글래스고 켈빈그로브 미술박물관에서 열린 정상 리셉션에서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제26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COP26) 참여국 정상들이 1일(현지시간) 영국 글래스고 켈빈그로브 미술박물관에서 열린 정상 리셉션에서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전 세계 삼림의 85%를 아우르는 105개국 지도자들이 2030년까지 황폐해진 삼림을 복원하고, 늦어도 2030년엔 삼림 벌채(deforestation)를 전면 중단하기로 뜻을 모았다. 삼림 벌채는 탄소 포집 기능이 있는 나무를 대량으로 없애는 탓에 지구온난화의 주범 중 하나로 꼽힌다.

1일(현지시간) AP통신·BBC에 따르면 한국을 포함해 브라질·러시아·캐나다·중국·인도네시아·콩고민주공화국(민주콩고) 등 105개국 관계자들은 영국 글래스고에서 열린 제26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COP26)에서 이런 합의문에 서명하기로 했다. 보리스 존슨 영국 총리는 이번 협정이 “지구의 숲을 보호하고 복원하기 위한 이정표”라고 평가했다.

영국 정부가 대표로 발표한 ‘새 글래스고 지도자 선언문’에 따르면 국가들은 삼림을 복원하고 삼림 벌채를 중단하기 위해 192억 달러(약 22조5000억원)의 공공·민간 기금을 모으기로 했다. 기금은 삼림 벌채를 통해 농지를 확보하는 개발도상국을 지원해 벌채와 농업의 연결고리를 끊는 데 주로 쓰이게 된다. 또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열대우림인 콩고분지 보호를 위해 11억 파운드(약 1조7000억원)의 기금도 조성된다. 이번 합의문에 해당하는 삼림 면적은 총 3360만㎢ 이상으로 한반도 면적(22만748㎢)의 1477배가 넘는다.

관련기사

이번 합의에 동참한 브라질·러시아·캐나다·인도네시아 등은 주요 삼림 보유국이다. 특히 ‘지구의 허파’로 불리는 브라질 아마존 열대우림에서는 지난해 12년 만에 최대 규모 삼림 벌채가 이뤄져 우려를 샀다. 지구 전체 나무의 20% 이상 보유한 러시아의 참여도 중요 성과로 꼽힌다. 러시아의 자연림은 연간 15억t 이상의 탄소를 포집한다.

외신들은 이번 합의가 2014년 40개국이 합의했던 ‘뉴욕 삼림 선언’보다 나아간 합의라고 평가했다. 뉴욕 선언은 지난해 삼림 전용률을 절반으로 낮추고, 2030년까지 350만㎢의 삼림을 복원하는 것을 목표로 설정했다.

뉴욕타임스(NYT)는 뉴욕 선언 등이 실천을 위한 구체적 이행사항이 빠져 삼림 벌채를 줄이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유니버시티칼리지런던의 기후·산림 전문가 사이먼 루이스 교수는 BBC 인터뷰에서 “이번에도 구체적인 행동 없이는 선언적 합의에 그칠 것”이라고 우려했다.

전 세계 나무는 매년 배출되는 이산화탄소의 3분의 1가량을 흡수해 지구온난화를 막는 자원으로 꼽힌다. 하지만 2017년 글로벌 위성 조사 결과 세계적으로 축구장 27개 크기의 숲이 1분마다 사라지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