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82만원짜리 먹는 코로나 치료제, 인도선 2만원에 판다는데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미국 제약사 머크가 개발중인 먹는 코로나19 치료제. AP

미국 제약사 머크가 개발중인 먹는 코로나19 치료제. AP

먹는 코로나19 치료제에 대한 지식 재산권 보호를 면제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현재 미국 제약회사 머크앤컴퍼니(MSD)의 경구용 코로나19 치료제 ‘몰누피라비르’가 개발속도가 가장 빠르다. 하지만 한 세트가 700달러(약 82만원)에 달할 정도로 고가다. 특허 독점을 풀면, 여러 제약사가 복제약을 생산할 수 있다. 그럼 훨씬 저렴한 가격에 공급이 가능해진다. 빈국의 코로나19 중증화율이나 치명률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하지만 제약사들이 특허를 내려놓을지는 확실치 않다.

인도에만 제한적으로 복제 허용 

27일 국경없는의사회 등에 따르면 머크의 몰누피라비르는 한 세트가 하루 두 번 복용, 5일 치다. 한 세트의 가격은 700달러(약 82만원)로 책정됐다. 하지만 원가는 20달러(2만3000원) 정도로 추산된다. 35분의 1수준이다. 머크가 세계 독점 판매·생산권을 갖고 있다. 머크는 인도 내 복제약 제조사에게만 치료제를 생산할 수 있도록 제한적으로 허용한 상태다. 인도에서 긴급 사용승인이 떨어지면, 20달러 이하로 판매될 것으로 예상된다.

국경없는의사회는 “몰누피라비르가 경구용 코로나19 치료제로 처음 승인된다면, 백신 미접종자가 수억 명을 웃도는 저소득국가에서 코로나19 환자의 생명을 살리는 획기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몰누피라비르의 접근성을 확대하고, 가격은 인하해야 한다”며 “먹는 치료제는 합리적인 가격만 보장된다면, 현재 사용 중인 치료제보다 쉽게 쓰일 수 있다. 투약범위도 확장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코로나19 단계적 일상 회복을 앞두고 25일 오후 대구 달서구보건소에서 달서구청 재택치료관리 전담팀 관계자들이 자가치료키트 구성품을 확인하고 있다. 뉴스1

코로나19 단계적 일상 회복을 앞두고 25일 오후 대구 달서구보건소에서 달서구청 재택치료관리 전담팀 관계자들이 자가치료키트 구성품을 확인하고 있다. 뉴스1

글로벌 제약사 특허 내려놓을까 

경구용 치료제는 ‘게임 체인저’로 불리며 주목받았다. 현재 승인된 코로나19 치료제인 렘데시비르(길리어드사)나 렉키로나(셀트리온) 모두 정맥주사형이기 때문이다. 병원에서 맞아야 하는데, 경구용 치료제는 장소에 구애받지 않는다. 간편하다. 경구용 치료제를 두고 각 국간 확보전이 치열한 이유다. 이런 현실에서 머크를 비롯한 경구용 치료제 개발사들이 자발적으로 라이센스를 풀 가능성은 희박해 보인다. 백신 개발사들도 기술공유에 인색하다.

물론 선례는 있다. 앞서 지난해 5월 길리어드는 127개국에서 복제약 생산이 가능할 수 있도록 라이센스를 개방했다. 심지어 가격도 해당 국가가 책정할 수 있도록 했다. 국경없는의사회는 “코로나19 관련 기술의 법적 제약을 없애고 지재권을 면제해 각국의 코로나19 관련 제품의 생산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며 “(그래야) 더 많은 생명을 살리는 데 박차를 가할 수 있게 될 것이다”라고 말했다.

정은경 코로나19 중앙방역대책본부 본부장(가운데)이 25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단계적 일상회복 이행계획 공청회'에서 발표내용을 듣고 있다. 우상조 기자

정은경 코로나19 중앙방역대책본부 본부장(가운데)이 25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단계적 일상회복 이행계획 공청회'에서 발표내용을 듣고 있다. 우상조 기자

韓 먹는 치료제 40만명분 계약임박  

한편 정부는 곧 40만명분의 경구용 치료제 선구매 계약을 맺는다. 발표 시점은 29일이다. 정부는 그간 복수의 제약사들과 협상을 벌여왔다. 먹는 치료제는 머크 외 독감 치료제 ‘타미플루’로 유명한 스위스 로슈, 미국 화이자 등도 개발 중이다.

정부는 당초 4만명분 구매를 계획했었다. 하지만 단계적 일상회복(위드 코로나) 시행 이후 코로나19 확진자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는 만큼 물량이 더 필요하단 지적이 꾸준히 제기되자 정부는 결국 늘렸다. 이에 예산도 증액할 방침이다. 현재 마련한 예산은 362억원뿐이다. 먹는 치료제가 워낙 고가다 보니 단순 계산으로 3200억원가량이 더 필요하다.

정부 관계자는 “경구용 치료제 대상자라든지 처방, 확보 등과 관련한 내용은 29일 발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