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뉴스분석] 코로나에 꺾인 3분기 성장률, 올해 4% 달성도 물음표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2면

갈 길 바쁜 한국 경제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재확산과 공급망 병목현상에 발목이 잡혔다. 3분기 한국 경제는 0.3% 성장하는 데 그쳤다. 올해 성장률 목표치(4%) 달성에도 ‘빨간불’이 커졌다. 다음 달 추가 기준금리 인상을 시사한 한국은행의 셈법도 복잡해질 전망이다.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그래픽=김은교 kim.eungyo@joongang.co.kr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그래픽=김은교 kim.eungyo@joongang.co.kr

26일 한은에 따르면 올해 3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속보치)은 0.3%(전 분기 대비)다. 지난 1분기(1.7%)와 2분기(0.8%)보다 성장 속도가 둔화했다. 그동안 성장을 이끌었던 내수가 쪼그라든 영향이다. 소비 위축과 투자 감소 등으로 내수가 성장률을 갉아먹었다. 3분기 내수의 성장률 기여도(-0.5%포인트)는 마이너스를 기록하며 전 분기(2.5%포인트)보다 급감했다.

내수의 뒷걸음질은 민간 소비(-0.3%, 전 분기대비)의 위축 때문이다. 코로나19의 재확산으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 등의 여파로 1분기(1.2%)와 2분기(3.6%) 연속으로 늘어난 민간소비가 내림세로 전환했다. 음식료품 등 비내구재 소비는 늘었지만, 방역 정책 강화로 음식·숙박, 오락문화 등의 서비스 분야의 소비가 줄어든 영향이 컸다.

항목별 성장률. 그래픽=김은교 kim.eungyo@joongang.co.kr

항목별 성장률. 그래픽=김은교 kim.eungyo@joongang.co.kr

움츠러든 소비에 전 세계적인 공급망 병목현상으로 줄어든 투자도 성장률을 끌어내렸다. 건설투자(-3.0%)는 건설자재 수급 불균형 문제가 발생하며 지난 2분기(-2.3%)에 이어 두 분기 연속 뒷걸음질했다. 설비투자(-2.3%)는 차량용 반도체 수급 차질로 인해 운송장비 분야의 투자가 줄면서 하락세로 돌아섰다.

쪼그라든 내수 대신 성장률을 떠받친 것은 회복세로 돌아선 수출이다. 지난 2분기(-2.0%)에 감소했던 수출은 3분기(1.5%)에 플러스로 돌아섰다. 차량용 반도체 수급 난항에 따른 생산 차질 등의 영향으로 수입(-0.6%)은 감소했다. 그 결과 순수출(수출-수입)의 성장 기여도는 0.8%포인트를 기록하며 마이너스 성장을 막았다.

3분기에 다소 애매한 성적표를 받아들었지만, 한은은 올해 성장률 목표치(4.0%) 달성은 가능할 것으로 예상했다. 지난 7월 국회를 통과한 34조9000억원 규모의 2차 추가경정예산(추경) 편성에 따른 재난지원금 지급 효과가 오는 4분기에도 반영되고 다음 달부터 ‘단계적 일상회복(위드 코로나)’이 시행되면서 소비가 늘어 4분기 경제 회복 속도가 빨라질 것이란 전망이다.

황상필 한은 경제통계국장은 “백신 접종 확대, 국내 방역정책 전환, 2차 추경 효과 등이 민간 소비 등에 긍정적 요인으로 작용하면서 앞으로 경제 회복세는 이어질 전망”이라며 “산술적으로 4분기 성장률이 1.04%(전 분기 대비)를 넘으면 올해 4% 성장률 달성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하지만 낙관하기에는 변수가 많다는 게 시장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국제 유가 등 원자재 가격 상승과 공급망 병목 현상, 중국 경제의 불확실성 확대 등으로 성장 속도가 떨어질 수 있어서다.

오재영 KB증권 이코노미스트는 “70%를 웃도는 백신 접종 완료 비율과 사회적 거리두기 완화, 2차 추경 효과와 연말 소비 시즌 등에 힘입어 민간 소비가 회복하고 투자가 확대되며 4분기 성장률은 3분기보다 나아지겠지만, 연간 4% 성장률 달성은 어려울 것”이라고 지적했다.

임혜윤 한화투자증권 연구원도 “글로벌 제조업 경기 회복세 둔화 영향으로 수출 증가율 하락이 유력한 데다 가계의 구매력 회복이 더뎌 소비에서도 확연한 개선을 기대하기에 한계가 있다”고 말했다.

때문에 다음 달 기준금리 인상을 시사한 한은의 셈법도 복잡해지게 됐다. 급격하게 늘어난 가계 빚과 물가상승 압력 등을 감안하더라도 금리 인상이 경기 회복세에 찬물을 끼얹을 수 있어서다. 섣불리 기준금리를 올리면 경제 회복세에 찬물을 끼얹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하준경 한양대 경제학부 교수는 “코로나19 재확산으로 억눌렸던 민간소비의 4분기 회복 여부가 핵심 관건이지만, 연간 4% 성장률 달성은 쉽지 않을 것”이라며 “다만 가계 빚 증가세와 물가 안정 필요성 등의 요인을 감안하면 한은이 올해 안으로 기준금리를 인상하지 못할 상황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