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접종 70%, 일상회복만 남았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1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접종 완료율이 지난 23일 오후 전체 인구의 70%를 넘었다. 2월 26일 접종을 시작한 지 239일 만이다. 70%는 당초 정부가 집단면역 달성을 위한 목표로 잡은 수치다.

24일 코로나19예방접종대응추진단(추진단)에 따르면 전날 오후 2시 기준 백신 접종 완료율은 전체 인구(지난해 말 기준 5134만9116명)의 70%를 넘어섰다. 23일에만 33만2557명이 2차 접종을 마쳐 24일 0시 기준 접종 완료율은 70.1%로 집계됐다.

정부도 이에 따라 단계적 일상회복(일명 위드 코로나) 전환을 추진할 수 있게 됐다. 위드 코로나는 기존 확진자 감소 중심의 방역체계를 중증환자·치명률 감소 쪽으로 전환하는 것이다. 현재에도 델타 변이의 감염속도가 빨라 집단면역에 이르렀다고 말하기는 어렵다. 다만 감염돼도 중증 악화나 사망 위험은 낮출 수 있다. 코로나19를 덜 위험한 질병으로 관리할 수 있다는 의미다.

관련기사

정부는 25일 위드 코로나 시행방안 초안을 공개한다. 위드 코로나로 전환은 이르면 1일부터 가능하다. 정부는 연착륙을 위해 지난 18일부터 2주간 사적모임 제한과 영업시간 규제를 일부 완화했다. 위드 코로나 전환을 눈앞에 둔 시점에서 전문가들은 해결해야 할 여러 과제를 지적했다. 특히 먼저 빗장을 푼 백신 선진국에서 확진자와 사망자가 일제히 큰 폭으로 늘어난 점을 반면교사 삼아 시스템을 정비하라고 조언했다.

가장 우려하는 점은 국내 백신 미접종자가 여전히 1000만 명에 육박한다는 점이다. 24일까지 3598만 명이 접종을 마쳤다. 1500만 명이 남았지만, 이 중 500만 명은 1차 접종을 완료한 인원이다.

겨울철 확진자 폭증 우려 “부스터샷 50세 이상으로 늘려야”

정기석 한림대 성심병원 호흡기내과 교수는 “남은 1000만 명 중 18세 미만 소아·청소년을 제외하면 백신 거부자는 500만 명”이라며 “이들을 설득해 접종률을 끌어올려야 한다”고 주장했다. 특히 60대 이상 고령층 중 접종을 거부한 약 126만 명이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코로나19 백신 연령별 접종 현황. 그래픽=신재민 기자 shin.jaemin@joongang.co.kr

코로나19 백신 연령별 접종 현황. 그래픽=신재민 기자 shin.jaemin@joongang.co.kr

실제 방역 당국은 최근 코로나19 사망자 중 대다수가 미접종 고령층이라고 설명했다. 24일 0시 기준 신규 사망자 21명 중 미접종자는 13명이었다. 1차 접종자가 5명, 2차 접종자가 3명이다. 사망자의 86%가 미접종 또는 접종 미완료의 경우였다. 김우주 고대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접종 거부 이유는 대부분 이상반응 우려 때문”이라며 “정부가 부작용 보상 범위를 넓히는 등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으면 이들의 마음을 돌리기 어렵다”고 말했다.

김우주 교수는 부스터샷(접종 완료자 추가 접종) 대상도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현재는 접종 후 6개월이 지난 60세 이상 고령층과 면역저하자, 코로나19 치료병원 종사자를 대상으로 부스터샷 접종을 시행 중이다. 김 교수는 “다른 나라보다 너무 보수적으로 접근하고 있다”며 “18세 이상 기저질환자까지 포함하고, 고령자 범위도 50세 이상 정도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방역 완화 후 확진자가 폭발적으로 증가했던 이스라엘은 12세 이상 전 국민을 대상으로 부스터샷을 진행 중이다. 지난 8월 1만 명 이상이던 이스라엘의 하루 확진자 수는 부스터샷 접종 후 1000명대 아래로 감소했다. 정기석 교수도 “이스라엘을 보면 6개월 후 (백신) 효과가 떨어진다는 걸 확인할 수 있다”며 “18세 이상을 대상으로 부스터샷을 접종해야 한다”고 말했다.

코로나19 재택치료 절차. 그래픽=신재민 기자 shin.jaemin@joongang.co.kr

코로나19 재택치료 절차. 그래픽=신재민 기자 shin.jaemin@joongang.co.kr

전문가들은 재택치료 등 의료시스템 정비도 시급하다고 말했다. 김우주 교수는 최근 재택치료 중 사망한 서울 서대문구의 60대 환자 사례를 거론했다. 지난 20일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고 재택치료 중이던 환자 A씨(68)는 다음 날(21일) 상태가 악화해 병원으로 이송되던 중 사망했다. 이 과정에서 확진자 정보 공유와 전담 구급차가 제대로 준비되지 않아 이송이 지체됐다.

김우주 교수는 “재택치료 대상자 범위 선정부터 잘못됐다”고 지적했다. 지금은 백신 접종 여부와 상관없이 입원 요인이 없는 70세 미만 무증상·경증환자가 대상이다. 김 교수는 “(A씨는) 68세로 고령이고 백신 미접종자였기 때문에 언제든 상태가 악화할 가능성이 높은 환자였다”며 “코로나19는 상태가 갑자기 악화되는 경우가 많다. 이 기준을 위드 코로나 이후에도 그대로 가져가면 재택치료하다가 사망하는 분이 많아질 것”이라고 꼬집었다.

최재욱 고려대 의대 예방의학과 교수도 위드 코로나에 맞는 시스템 도입을 당부했다. 최 교수는 “(A씨는) 코로나19 환자이기 때문에 전담 구급대원과 병원을 기다리다가 (이송이) 지체된 것”이라며 “위드 코로나는 코로나19를 다른 감염병처럼 다루겠다는 거다. 동네의원부터 종합병원까지 각자 역할에 맞게 코로나19 환자를 진료할 수 있는 의료체계를 마련해야 하는데 지금 대책에는 이 부분이 빠졌다”고 지적했다.

전문가들은 통상 바이러스가 확산하는 겨울철이 다가오는 점도 걱정스러운 대목이라고 말했다. 겨울철에는 실내 활동도 늘어난다. 정기석 교수는 “지난해 12월 3차 대유행도 겨울철이라는 계절적 원인이 컸다”며 “지금 확진자가 폭증하는 영국도 이미 추운 날씨가 영향을 미친 듯하다. 위드 코로나 전환 시점이 좋지 않은 만큼 개인이 방역 수칙을 엄격하게 지켜야 한다”고 조언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