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명품 살 때 망설여도, '커피 한잔 값' 할부에 혹하는 까닭 [부모탐구생활]

중앙일보

입력

이웃집 아이는 주식 투자를 한다는데, 우리 집 경제교육은 “아빠 피곤하니까, 내일 설명해줄게”에 머물러있다고요? 건강한 부(富)의 사다리를 만들어주는 첫걸음. 부모가 먼저 읽고 아이들에게 전해주는 부모탐구생활로 시작해보세요. 부모를 위한 뉴스, 중앙일보 헬로!페어런츠가 전해드립니다. 이번 편은 돈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왜 '매일 커피 한잔 값’에 혹할까

동전 돈 비지니스 Miniature people : Businessman looking the profits from doing business, using as business concept. 셔터스톡

동전 돈 비지니스 Miniature people : Businessman looking the profits from doing business, using as business concept. 셔터스톡

멘탈 어카운팅(Mental Accounting)이란 말을 혹시 들어보신 적 있으신가요? 멘탈 어카운팅이란 2017년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 리처드 틸러가 만든 행동경제학적 개념입니다. 국내에서는 대체로 ‘심적 회계’라고 번역하는데, 그냥 ‘마음의 계좌’라고 부르는 것이 이해하기 쉬울 것 같습니다. 이 개념은 사람들이 경제적 의사결정을 할 때 마음속에 나름의 계좌들을 설정해놓고 이익과 손실을 계산하는 기준이 매우 주관적인 틀에 의해 작동한다는 것입니다.

이 개념에 대해 국내의 저명한 심리학 교수가 이해하기 쉽게 사례를 들어 설명한 적이 있습니다. 각각 10만원씩 갖고 있던 A와 B는 오늘 오후에 각자 영화를 볼 계획입니다. A는 미리 1만 원짜리 영화표를 예매했고, B는 현장 구매할 생각이었습니다. 그런데 오후에 A는 1만 원짜리 영화 예매표를 분실했고, B는 현금 1만원을 분실했습니다. 둘 다 1만원의 가치를 분실했는데, A는 화가 나서 집에 돌아가 버렸고, B는 계획대로 극장에서 표를 사서 영화를 보았습니다. 둘의 행동이 달랐던 이유는 무엇일까요?

돈에 대한 주관적인 입장

셔텨스톡

셔텨스톡

A의 마음속엔 현금 9만원이 든 계좌와 1만 원짜리 영화표 계좌가 분리되어 있었습니다. 그런데 표를 잃어버리자 영화표 계좌에서 100%의 손실이 일어난 셈입니다. 반면 B의 마음속 계좌는 10만 원짜리 하나입니다. 1만원을 잃어버림으로써 10%의 손실이 일어났다고 인지한 것입니다.

부자들이 통장을 여러 개 갖고 있는 이유도 비슷합니다. 각 통장의 적은 돈들의 변화는 큰돈처럼 체감되지만, 목돈이 담긴 통장의 증감에는 둔감하게 마련입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돈을 쉽게 모을 수 있는 방법은 돈의 목적에 따라 별개의 통장으로 돈을 쪼개서 관리하는 것입니다.

대부분의 사람은 B처럼 목적이 불분명한 하나의 계좌에서 일어나는 돈의 변화에 대해 잘 알고 있고 통제하고 있다고 착각합니다. 대개는 소비와 저축에 대해 지극히 비합리적이고 충동적이지만 정작 스스로 이를 인지하는 경우는 드뭅니다. 돈을 모으는 가장 기본적인 태도는 돈의 액면가치를 고려하지 않는 주관적 가치 판단(합리화)을 줄여나가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200만 원짜리 명품은 누구나 선뜻 목돈으로 사기 쉽지 않습니다. 하지만 홈쇼핑에서는 12개월의 할부를 내세우며, 하루 5000원 정도, 매일 마시는 커피 한 잔 줄이면 살 수 있는 가격이라고 강조합니다. 소비자의 머릿속에서는 매일의 커피 한 잔 값으로 계산되고, 신용카드로는 12번에 나눠서 결제되지만, 실제 소비자 입장에서는 연간 수입에서 예상 밖의 200만원이 그냥 지출되는 것입니다. 이는 현재의 지출을 미래로 유보해 심리 부담을 줄이려는 비합리적 소비 행동에 조삼모사의 합리화를 적용한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백화점의 세일 기간에는 어떨까요. 100만 원짜리 재킷을 90% 세일해서 샀다면 가성비 좋은 구매를 한 것일까요. 90% 세일하는 가격표를 보기 전에도 이 재킷이 10만원의 가치를 가졌다고 판단했는지 생각해봐야 합니다. 이런 폭탄 세일이 다신 오지 않을 기회라는 자기 합리화를 막으려면 할인율과 가격표를 보기 전에 그 물건에 대해 적당한 가격을 마음속으로 정해 보는 것이 좋습니다. 할인율이 아무리 높아도 미리 정한 가격보다 높으면 사지 말아야 합니다.

관련기사

주식투자에도 미치는 '비합리적 사고' 

소비 행동에만 주관적인 판단이 작용하는 것은 아닙니다. 냉철함이 더욱 필요한 주식투자에도 비합리적인 사고가 작용합니다. A는 1000만원을 투자했는데 주가가 50%가 상승해서 그 당시 평가금액이 1500만으로 조회가 됐습니다. 이를 본 A는 더 오를 것을 기대하고 기다렸지만 이내 매입가 기준 10%가 하락해서 손실 구간에 접어들었습니다.

이때 A는 100만원에 대한 손실을 감수하고 매도할지를 결정해야 하는데 실제 A가 느끼는 심리적인 손실변동폭은 더 큽니다. 한때 최고 평가금액이었던 1500만원이 자신의 원금이라고 생각해 40%가 하락했다고 느낍니다. 즉 손실금액이 600만원인 것처럼 생각되어 손실을 제한할 수 있는 구간에서의 매도 여부를 쉽게 결정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합니다.

현실에서의 손익과 본인의 주관적인 손익을 혼동할 경우 소액의 지출일 때는 큰 문제가 안 되겠지만, 목돈의 투자에서는 자칫하면 큰 손실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돈을 대하는 입장은 누구나 주관적일 수밖에 없다고 할 것입니다. 하지만 주관적인 가치에 대해 합리적 혹은 비합리적인 결과는 나눌 수 있습니다. 합리화가 아닌, 합리적인 경제적 의사결정을 위해 위의 행동경제학 사례에 비추어 자신만의 장치를 강구할 필요가 있겠습니다.

헬로 페어런츠를 배달합니다. 김주원 기자

헬로 페어런츠를 배달합니다. 김주원 기자

오만가지 고민을 안고 있는 대한민국 부모들을 위해 중앙일보가 준비했습니다. 부모가 먼저 읽고 밥상 머리에서 나눌 수 있는 뉴스부터 경제교육, 부모상담, 주말 체험까지 중앙일보 헬로!페어런츠(www.joongang.co.kr/parenting)에서 만나보세요. 풍성한 부모뉴스를 배달해 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