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北 "잠수함 '영웅함'서 SLBM 쐈다"…김정은 발사 현장 불참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북한이 19일 발사한 미사일이 ‘신형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이라고 노동신문이 보도했다.

북한이 전날(19일) 동해상으로 발사한 탄도미사일을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이라고 20일 확인했다. [노동신문]

북한이 전날(19일) 동해상으로 발사한 탄도미사일을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이라고 20일 확인했다. [노동신문]

신문은 20일 “국방과학원은 19일 신형잠수함발사탄도탄 시험발사를 진행했다”며 “노동당 중앙위원회 부장 유진동지, 당중앙위원회 군수공업부 부부장 김정식과 국방과학원 지도간부들이 시험발사를 지도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국방과학원은 5년전 첫 잠수함발사전략탄도탄을 성공적으로 발사하여 공화국의 군사적강세를 시위한 ‘8.24영웅함’에서 또다시 새(신)형의 잠수함발사탄도탄을 성공시킨 자랑과 영광을 안고 당중앙에 충성의 보고를 드렸다”고 덧붙였다.

북한은 그러나 미사일 발사 장소와 비행거리 등 구체적인 제원과 관련해선 공개하지 않았다. 김정은 국무위원장도 발사현장을 찾지 않았다.

북한이 전날(19일) 동해상으로 발사한 탄도미사일을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이라고 20일 밝혔다. [노동신문]

북한이 전날(19일) 동해상으로 발사한 탄도미사일을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이라고 20일 밝혔다. [노동신문]

당국은 북한이 19일 오전 10시 17분쯤 함경남도 신포 인근에서 SLBM으로 추정되는 탄도미사일을 발사했고, 미사일은 60㎞고도로 590여㎞를 비행한 것으로 보고 있다.

북한이 11일 국방발전전람회에서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오른쪽)을 전시했다. 오른쪽 작은 미사일이 19일 발사한 신형SLBM으로 추정된다. [조선중앙통신 캡처]

북한이 11일 국방발전전람회에서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오른쪽)을 전시했다. 오른쪽 작은 미사일이 19일 발사한 신형SLBM으로 추정된다. [조선중앙통신 캡처]

북한은 이번 미사일 발사가 ‘8.24영웅함’이라는 잠수함에서 이뤄졌다며 5장의 발사 장면 자신을 공개했다. 이날 SLBM을 쏜 8.24영웅함이 물위로 부상하는 사진도 포함됐다. 8.24영웅함은 2016년 북한이 첫 SLBM 발사에 동원했던 잠수함이다.

정부 당국자는 “북한은 2016년 SLBM 수중발사실험을 시작했다”며 “북한은 그동안 주로 수중바지선을 이용해 미사일 발사실험을 하곤 했는데, 잠수함에서 미사일을 쏜 건 SLBM의 실전배치가 임박했다는 의미”라고 말했다. SLBM은 육상 실험→바지선 실험→잠수함 탑재 실험 등의 순서로 진행하는데 북한이 SLBM 개발의 막바지 단계에 접어 들었다는 뜻이다.

특히 북한이 정지상태가 아닌 이동하는 잠수함에서 미사일을 쐈다면 은밀성을 이용해 기습적인 미사일 공격이 가능해 졌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북한은 공중으로 날아가는 미사일 사진도 공개했는데, 이는 지난 11일 당창건 기념일을 기해 진행한 국방발전전람회에서 공개한 신형 SLBM과 유사한 것으로 파악됐다.

신문은 “국방과학원은 측면기동 및 활공도약기동을 비롯한 많은 진화된 조종유도기술들이 도입된 새형의 잠수함발사탄도탄은 나라의 국방기술고도화와 해군의 수중작전능력향상에 크게 이바지하게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측면기동 및 활공도약 기동을 했다"는 북한의 주장이 사실대로라면 이 미사일은 상하, 좌우 기동을 하며 요격을 회피하는 기능을 탑재한 것으로 추정된다.

북한의 미사일 발사 직후 한반도를 담당하는 미군 인도태평양사령부와 국무부는 동시에 북한을 규탄하는 입장을 내고, 유엔안보리 결의를 위반한 행위라고 지적했다. 유엔은 북한의 탄도미사일 기술이 적용된 발사실험을 금지하고 있다. 이에 따라 국제사회가 유엔 안보리를 통해 북한의 미사일 발사 문제를 논의할 가능성이 크다.

단, 안보리 이사국인 중국과 러시아가 대북 추가제재에 미온적인 데다 미국도 북한과 대화를 지속적으로 강조하고 있다는 점에서 추가 대북제재로 이어질 지는 미지수라는 지적이 많다. 젠 사키 백악관 대변인도 이날 브리핑에서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와 관련한 질문에 “이번 발사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다수 결의안 위반이자 역내 위협”이라며 규탄 입장과 함께 추가 도발 자제를 촉구하고, 전제조건 없는 만남을 강조하며 북한이 비핵화 협상의 장에 복귀할 것을 촉구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