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더오래]‘고독부’ 둔 선진국…나랏님이 노인 외로움 해결해준다?

중앙일보

입력

[더,오래] 한익종의 함께, 더 오래(79)

고독부? 영국이 2018년 새로 신설한 부처 이름이다. 고독부(Ministry for Loneliness), 뭐 세상에 이런 부처도 다 있나 싶었다. 일본도 2021년 2월에 고독담당 장관을 임명하고 고독의 문제를 국가적 과제로 삼고 있다. 세상에나, 고독의 문제가 얼마나 심각하고 그 폐해가 국가적으로 얼마나 심대하면 장관급 부처를 새로 만들었단 말인가? 실제로 고독부를 신설하면서 영국 정부는 ‘고독은 이제 개인의 문제를 떠나 국가가 해결해야 할 사회문제’라고 밝힌 바 있다.

고독은 연령과 성별에 상관없이 많은 사람이 겪고 있는 심리적 상태지만 특히 노년층이나 경제적이건 육체적이건 상대적으로 취약한 계층이 많이 겪고 있는 문제다. 경제적, 육체적 환경이 취약해지면 사회적 유대가 느슨해 지고 이런 경우가 심해지면 아무리 사회의 일원으로 존재는 하고 있지만 고독과 외로움에 따른 수많은 부작용에 노출된다. 미국의 사회학자 데이비드 리스먼이 오래전 지적한 소위, 군중 속의 고독이라는 현상이다.

소일거리 없이 무료한 시간을 보내는 노인. [사진 한익종]

소일거리 없이 무료한 시간을 보내는 노인. [사진 한익종]

은퇴 후 나이가 점점 들어가면서 느끼는 자존감의 결핍과 외로움은 인생 후반부를 괴롭히는 여러 요인 중에서도 가장 심대한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것은 의식주의 걱정이 어느 정도 사라진 우리 사회의 은퇴자가 모두 공감하는 사실이다. 단지 인정하기 싫어할 뿐이다. 당연한 얘기지만 은퇴 후 늙어 가면서는 주위와의 인간관계가 점점 소원해 지면(심지어는 가족까지) 그에 따라 대부분의 고령자가 고독을 느낄 수밖에 없다.

우리나라가 초고령사회로 이미 진입했다는 얘기는 이미 오래전 얘기다. 세계 최고의 고령화율을 보이는 일본이 2020년 기준 28.7%다. 우리나라는 현재 16.5%로, 일본에 비해선 그나마 낮은 수치를 보이지만 진행 속도를 보면 세계 최고수준이다. 우리나라도 고령화에 따른 사회적 고립과 그에 따른 고독을 예방하기 위해 ‘고독부’를 만들 때가 올 것 같다. 오래전 여가부(여성가족부)를 만들었을 때 농 삼아 “아니, 무슨 여가 선용을 위해 부처까지 만드나?” 했던 말이 생각난다. 이제 조만간 우리도 “아니 무슨 고독을 즐기기 위해 부처까지 만들어?” 할 날이 머지않았다. 슬픈 농담이다.

그런데 인생 후반부 고독의 문제를 정부가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을지 의문이 든다. 고독은 지극히 개인적인 문제다. 아무리 정부가, 사회가 나서도 개인 자신이 그를 해결할 의지가 없다면 ‘가난은 나랏 님도 어쩔 수 없다’는 자조적 표현처럼 ‘고독은 정부가 어쩔 수 없다’라는 말이 나올 수밖에 없다. 나귀를 강가로 끌고 갈 수는 있지만 물까지 강제로 먹일 수는 없다는 논리다.

내로라하는 기업의 대표까지 오래 했던 어느 인사의 사례를 보자. 과거의 황홀함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현재를 원망하며 자기 스스로 칩거 아닌 칩거에 든 사람이다. 심지어는 자녀와 부인까지도 소원해지니 거기서 오는 박탈감과 고독감은 이루 설명할 수 없다. 인생2막, 직장생활 시 상대적으로 높은 지위, 경제적 부를 이룬 대부분의 사람이 겪는 공통된 특징이다. 드러내 놓고 고민을 털어놓지 못하고 내적으로 분을 쌓아가며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찾기가 힘들다는 공통점도 안고 있다. 나이 들어가며 찾아오는 이는 없지, 갈 곳도 마땅치 않지, 할 일은 마뜩잖지, 어떻게 할 것인가.

앞으로는 노후 요양의 성격이 의식주의 해결 차원을 벗어나 외로움과 고독과의 싸움, 자존감의 박탈에서 오는 괴로움의 해소일 것이다. 과거의 지위나 경제적 여건, 명예에 매달려 새로운 인생 3막을 살아가지 않는 사람들이 느끼는 자존감의 박탈과 사회적 소원함의 해소는 앞으로 우리 세대가 안고 가야 할 숙명이다. 한때 우리나라 경제 발전의 주춧돌이 됐고, 눈부신 현대를 이룩한 일등공신이라는 존경을 받았던  베이비부머 세대가 일선에서 완전히 물러서는 시간이 왔다.

이들이 우리 사회의 가장 큰 모집단이 된 이들이 노후 ‘고독’(정신적, 경제적 의미도 포함)의 문제를 스스로 풀지 않는다면 우리나라의 앞날이 어떨 것인가는 명약관화하다. 어떻게 할 것인가? ‘살 것인가 죽을 것인가 그것이 문제로다’가 아니라, ‘고독의 구렁텅이에 빠져 삶의 후반부를 허송할 것인가, 과거의 사고와 행태에서 벗어나 함께 사는 길을 택할 것인가 그것이 문제로다’이다. 자기 스스로 고독에서 탈출하는 것이 가장 현명한 방법이다.

독거노인을 대상으로 하는 취미교실. 봉사와 경제활동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발룬티코노미스트적 삶이다.

독거노인을 대상으로 하는 취미교실. 봉사와 경제활동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발룬티코노미스트적 삶이다.

서서히 다가오는 존재감의 박탈과 고독을 방지하는 유일한 방법이 있다. 바로 자기 스스로 사회적 필요성을 유지하면서 찾아갈 곳, 찾아오는 이를 만드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발룬티코노미스트 적(봉사+경제활동) 삶이 해답이다. 과거의 욕심을 내려놓고, 자기만 살겠다고 허우적거리던 시간에서 빨리 벗어나 이웃과 사회에 봉사하고 기여하면서 스스로의 자존감을 유지하면서 일의 보람도 찾는 것이다.

은퇴 후, 지난 10여년의 날들을 회상해 본다. 인생 후반부를 살아가는 내가 도대체 어떤 자신감에 이런 글을 쓰고 동시대를 살아가는 베이비부머 세대에게 이런 삶을 강조할까? 역시 봉사와 경제적 활동을 동시에 할 수 있는 발룬티코노미스트적 삶을 지향한 것이 답이었다. 아직도 은퇴 후의 삶을 과거와 비교해 경제적 부를 쫓으며 자신만 잘살면 된다고 할 태세인가? 명심할 점이 하나 있다. 그런 자세에는 반드시 고독과 외로움이라는 친구가 함께 한다는 사실을. 내 인생 후반부의 삶을 고독부에 의지할 것인가. 그것이 문제로다.

관련기사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