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6만전자'에 뿔난 개미…"공매도 폐지" 부르짖기 시작했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한국거래소 공매도 종합상황실. [중앙포토]

한국거래소 공매도 종합상황실. [중앙포토]

개인투자자의 '공매도 폐지론'이 다시 고개를 들고 있다. 3000선을 내 준 코스피가 비실대자 시름이 깊어가는 '동학 개미'가 공매도를 향해 거센 불만을 쏟아내고 있는 것이다. 격앙된 개미들의 공매도 때리기에 정치권도 반응하고 있다. 금융당국은 코로나19 충격으로 증시가 흔들리자 지난해 3월 공매도를 중단했다가 1년2개월만인 지난 5월3일 공매도를 부분 재개했다.

14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 1~13일 공매도 거래 대금 상위 10개 종목 중 8개의 주가가 하락했다. 공매도 거래 대금이 가장 컸던 종목은 단연 삼성전자였다. 지난 1~13일 7거래일 동안 삼성전자의 공매도 거래대금(3457억원)은 2위 HMM(1666억 원)의 두 배를 웃돌았다. 같은 기간 7만3200원이던 삼성전자 주가는 6만8800원으로 6% 하락했다.

10월 공매도 상위 종목(1일~13일). 그래픽=박경민 기자 minn@joongang.co.kr

10월 공매도 상위 종목(1일~13일). 그래픽=박경민 기자 minn@joongang.co.kr

공매도 거래가 많았던 종목의 주가는 줄줄이 떨어졌다. 공매도 거래액 2위를 차지한 HMM(1666억원)의 주가는 7.8% 내렸고, 4위 셀트리온(1518억원)은 13.1%, 5위 SK하이닉스는 8% 하락했다. 카카오뱅크(6위, 1235억원)와 셀트리온헬스케어(10위, 928억)도 각각 14.66%와 15.63%씩 주가가 급락했다.

물론 '공매도=주가 하락'의 공식이 통하지 않은 경우도 있다. 공매도 거래대금 7위였던 LG화학의 주가는 77만원에서 80만8000원으로 5% 가까이 올랐다. 공매도액 거래 3위인 네이버(1615억원) 주가는 38만2000원으로 제자리걸음을 했다. 크래프톤과 LG전자는 각각 2%, 2.4% 하락하며 같은 기간 코스피 하락률(2.5%)보다 적게 빠지며 선방했다.

그럼에도 개미들이 공매도 때리기에 나선 건 공매도 거래 대금 상위 10개 종목 중 4개가 개인투자자 순매수 상위 종목과 겹쳤기 때문이다. 1~13일 개인투자자가 가장 많이 사들인 종목은 단연 삼성전자(1조7159억원)였다. SK하이닉스는 4위(1696억원)였고, 카카오뱅크는 6위(1262억원), 셀트리온은 7위(990억원)였다. 공매도가 가세한 주가 하락의 충격을 받아낸 셈이다.

공매도에 대한 개미의 분노는 청와대 게시판으로 이어졌다. 지난 7일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에는 “대한민국 주식시장에 공매도를 영원히 폐지해 주세요”라는 청원이 올라왔다. 14일 오후 3시 기준 5만 명이 넘는 동의를 얻었다.

지난 7일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에는 ″대한민국 주식시장에 공매도를 영원히 폐지해 주세요″라는 제목의 청원이 올라왔다. 온라인 캡처

지난 7일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에는 ″대한민국 주식시장에 공매도를 영원히 폐지해 주세요″라는 제목의 청원이 올라왔다. 온라인 캡처

'기울어진 운동장'이란 개인의 볼멘소리에 정치권도 반응했다. 홍준표 국민의힘 의원은 지난 7일 “주식 공매도 제도가 대부분 기관투자가만 이용하는 주식 외상 거래제도”라며 “동학 개미에겐 불리할 수밖에 없는 잘못된 주식 거래제도로 주식시장의 폭락을 더더욱 부추기는 역기능도 하기 때문에 주식공매도 제도는 폐지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한정 더불어민주당 의원도 “공매도 재개 후에도 거래 규모에서 외국인이 76%, 개인 1.9%에 불과해 공매도 시장 불균형이 여전하다”며  “외국인과 개인 차입 기간을 동일하게 60일로 일정 기간 만기연장을 제한하는 방식을 제안한다”고 밝혔다.

“공매도, 폐지보단 개선을”

개인투자자와 정치인들의 주장에도 전문가는 공매도 완전 폐지는 성급하다고 입을 모았다. 기업의 악재를 주가에 빠르게 반영해 시장의 신뢰성을 높이는 공매도의 순기능이 있기 때문이다.

황세운 자본시장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공매도로 인해 주가가 하락한다고 생각하기 쉽지만, 공매도 대상이 되는 기업은 대체로 전망이 좋지 않아 타깃이 되는 경우가 많다”며 “공매도의 순기능을 고려한다면 제도 폐지가 아닌 개인과 기관 참여를 늘릴 수 있도록 개선하는 방향을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경민 대신증권 투자전략 팀장은 “최근 외국인 공매도가 증가 추세라고 하지만 지난 5~6월 수준보다 규모가 크지 않다”며 “6월 코스피가 3300을 돌파하는 등 연고점을 경신한 것을 보면 공매도가 주가 하락의 직접적인 원인이라고 보기 어렵다”고 설명했다.

서상영 미래에셋증권 연구위원도 “삼성전자의 경우 반도체 업황이 꺾였다는 우려와 D램 가격 하락 공포 같은 악재의 영향으로 주가가 내렸다고 봐야 한다”며 “공매도 여부보다 기업의 본질을 살펴야 한다”고 조언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