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도시화로 사라졌던 야생 물장군, 백령도에서 발견됐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백령도에서 발견된 물장군. 사진 국립생물자원관

백령도에서 발견된 물장군. 사진 국립생물자원관

최근 보기 힘든 멸종위기 야생생물인 물장군이 백령도에서 발견됐다. 물장군은 유해종인 황소개구리도 잡아먹을 수 있는 물속 최상위 포식자다. 과거 논이나 물웅덩이에서 흔히 볼 수 있던 곤충이지만, 도시화 이후 육지에선 서식지가 대부분 사라진 상태다.

국립생물자원관은 최근 서해5도 생물다양성 정밀 조사를 통해 물장군이 백령도에 서식하고 있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7일 밝혔다. 지난 2017~2018년 조사에서는 소청도와 연평도에서 물장군 서식지가 발견된 바 있다. 물장군은 2012년 5월 멸종위기종으로 지정된 이후 제주도, 강화도 등 섬 지역에서만 서식지가 발견됐다. 육지 서식지는 극히 적은 것으로 추정된다.

백령도 내 물장군 서식지. 사진 국립생물자원관

백령도 내 물장군 서식지. 사진 국립생물자원관

물장군이 육지에서 사라진 이유는 도시화로 인한 서식지 파괴와 농약 과다 사용 등이다. 물장군은 주로 농수로나 작은 연못, 저수지 등 고인 습지에서 산다. 농지가 사라져 서식할 수 있는 면적이 줄어들고, 농약 등 화학물질이 많이 쓰이는 탓에 번식이 어려워졌다. 또한 시골길 곳곳에 설치된 가로등 불빛에 끌려 나와 차에 밟히거나 살던 곳으로 돌아가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졌다.

이강운 홀로세생태보존연구소장은 "물장군은 서식지 외 보전기관에서 방사를 해도 도시화된 육지에선 복원이 힘든 종이다. 섬에서라도 자연적으로 서식하고 있다면 아주 반가운 소식"이라고 말했다.

몸길이가 최대 7cm에 달하는 물장군은 우리나라 노린재목 곤충 중에서 가장 크다. 유충은 약 40일간 성장 기간을 통해 5번의 허물을 벗고 자란다. 성충이 되면 여름부터 가을까지 작은 물고기나 올챙이 등 다양한 수생생물을 잡아먹고 산다.

박선재 국립생물자원관 연구관은 "물속 최상위 포식자인 물장군은 유해종인 황소개구리까지 잡아먹을 수 있다. 복원된다면 생태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고 했다.

백령도에서 발견된 물장군. 사진 국립생물자원관

백령도에서 발견된 물장군. 사진 국립생물자원관

한편 서해5도는 물장군 외에도 딱정벌레목의 소금잘록호리가슴땡땡이, 염전넓적물땡땡이, 가시점박이물땡땡이 등 수서곤충들의 주요한 서식지다.

박진영 국립생물자원관 생물자원연구부장은 “서해5도는 생물지리학적 뿐만 아니라 생태학적으로도 가치가 매우 높은 지역이다. 앞으로도 다양한 생물의 서식지가 건강하게 보전될 수 있도록 관련 연구를 지속해서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