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우리말 바루기] 누구 겁니까?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4면

‘화천대유는 누구 거냐’에 대한 공방이 정치권을 휩쓸었다. ‘다스는 누구 거냐’에 빗댄 이 말은 또 다른 측면에서 입에 오르내린다. 곳곳에 내건 “화천대유는 누구 껍니까?”란 문구 때문이다.

맞춤법에 맞지 않는 표기임에도 그대로 옮기는 경우가 많아 혼동을 일으키고 있다. “누구 껍니까?”는 “누구 겁니까?”로 고쳐야 한다. ‘겁니까’는 ‘것입니까’를 구어적으로 표현한 말이다.

이러한 표기법 혼란은 인기를 끌었던 노랫말도 한몫했다. “내꺼인 듯 내꺼 아닌 내꺼 같은”이란 가사가 입에 익으며 ‘내꺼’라고 하는 경향이 두드러졌다. 발음에 이끌려 ‘거’를 ‘꺼’로 쓰기 쉽지만 우리말에 ‘꺼’란 단어는 없다.

‘내꺼’는 ‘내 거’가 바른 표기다. 습관적으로 앞말과 붙이는 것도 잘못이다. ‘것’을 구어적으로 이르는 말인 ‘거’는 의존명사다. 의존명사는 앞에 꾸며 주는 말이 있어야 하나 명사와 같은 기능을 한다. 앞말과 띄는 게 원칙이다.

‘꺼야’의 ‘꺼’도 된소리가 아닌 예사소리로 적어야 한다. “우릴 웬만해선 막을 수 없을꺼야” “이 정도면 충분할꺼야”처럼 쓰면 안 된다. ‘것’의 입말인 ‘거’에 어미 ‘야’가 붙은 형태다. ‘꺼야’가 아닌 ‘거야’로 사용해야 한다. ‘거’가 의존명사이므로 ‘없을 거야’ ‘충분할 거야’와 같이 앞말과도 띄어 쓴다.

‘꺼예요’도 마찬가지다. “우린 끝까지 완주할 꺼예요” “그들은 이 기회를 절대 놓치지 않을 꺼예요”처럼 표기해선 안 된다. 모두 ‘거예요’로 바루어야 한다. ‘거’는 ‘것’을 구어체에서 사용하는 말이고 ‘예요’는 ‘이에요’가 줄어든 것이다. ‘꺼예요’가 될 수 없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