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2주만에 北에 손 내민 文 "대립할 이유 없다…함께 번영해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문재인 대통령은 5일 남북 분단 상황과 관련 “(남북이) 대립할 이유가 없다. 이제 함께 번영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문재인 대통령이 5일 서울 그랜드 워커힐호텔에서 열린 제15회 세계한인의 날 기념식에참석 유공자 포상및 기념사를했다. 청와대사진기자단

문재인 대통령이 5일 서울 그랜드 워커힐호텔에서 열린 제15회 세계한인의 날 기념식에참석 유공자 포상및 기념사를했다. 청와대사진기자단

문 대통령은 이날 서울 그랜드워커힐 호텔에서 열린 제15회 세계 한인의날 기념식에서 “우리는 아직 분단을 넘어서지 못했다. 재외동포들의 시각에서 보면 남북으로 나눠진 두개의 코리아는 안타까운 현실일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문 대통령이 한반도 상황에 대해 언급한 것은 지난달 22일 유엔총회 연설과, 연설 직후 귀국 비행기에서 가진 기내 간담회 이후 처음이다.

문 대통령은 지난 1일 국군의날 기념식에서 “국군 최고통수권자의 가장 큰 책무는 한반도의 항구적 평화를 만들고 지키는 것”이라며 종전선언을 재차 언급하긴 했지만, 북한의 연이은 미사일 도발은 물론 아예 북한이라는 말조차 꺼내지 않았다.

문 대통령이 유엔총회에서 남·북·미·중 4자가 참여하는 종전선언을 제안한 뒤 2주 가까이 침묵하는 사이 북한은 김여정 노동당 부부장의 담화를 통해 남북정상회담 가능성을 언급한 데 이어, 통신선 재개를 직접 지시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최고인민회의 시정연설을 공개했다. 그리고 지난 4일 통신선을 통한 소통이 실제로 재개됐다.

그럼에도 문 대통령은 물론 청와대도 “통일부와 국방부 입장으로 갈음한다”며 직접 대응을 피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도 김 위원장의 발언을 직접 인용하진 않았다. 다만 문 대통령이 이날 “대립할 이유가 없다”며 “체제 경쟁이나 국력의 비교는 이미 오래전에 더 이상 의미가 없어졌다”고 한 것은 북한이 대화 재개의 전제조건으로 제시한 ‘적대시 철회’와 관련이 있다는 해석이 나온다.

김정은 북한 노동당 총비서가 29일 열린 최고인민회의 제14기 제5차 2일 회의에서 시정연설을 했다고 당 기관지 노동신문이 30일 보도했다. 연합뉴스

김정은 북한 노동당 총비서가 29일 열린 최고인민회의 제14기 제5차 2일 회의에서 시정연설을 했다고 당 기관지 노동신문이 30일 보도했다. 연합뉴스

김정은 위원장은 지난달 29일 시정연설에서 “타방에 대한 편견적인 시각과 불공정한 이중적인 태도, 적대시 관점과 정책들부터 먼저 철회돼야 한다는 것이 불변한 요구”라며 “우리는 남조선에 도발할 목적도 이유도 없고 위해를 가할 생각이 없다”라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또 이날 축사에서 “통일에는 시간이 걸리더라도 남과 북이 사이좋게 협력하며 잘 지낼 수 있다”며 “8000만 남북 겨레와 750만 재외동포 모두의 미래세대들이 한반도와 세계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공감하고 연대하는 꿈을 꾼다”고 말했다.

이 역시 “종전을 선언하기에 앞서 서로에 대한 존중이 보장돼야 한다”며 북한의 체제보장과 이에 대한 국제사회의 인정을 강조한 김 위원장의 요구에 대한 답변으로 해석될 소지가 있다.

문 대통령은 동포 사회를 향해 “한민족의 정체성을 갖고 있는 동포들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며 “남북을 넘어 하나의 코리아가 갖는 국제적인 힘, 항구적 평화를 통한 더 큰 번영의 가능성을 널리 알려달라”고 당부했다. 특히 “재외동포 정치인들은 한반도 평화의 굳건한 가교가 됐다”며 “지난해 동포 4명이 미국 연방 하원의원에 당선되고, 9월에는 한국계 최초의 독일연방 하원의원이 탄생한 것은 겨레 모두의 긍지”라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그러면서 “조국은 여러분이 어렵고 힘들 때 언제나 여러분 곁에 있다. 코로나 확산 속에서 동포들의 안전을 지키기 위해 최선을 다했다”며 지속적인 지원을 약속했다.

 문재인 대통령이 5일 서울 그랜드 워커힐호텔에서 열린 제15회 세계한인의 날 기념식에서 기념사를 하고 있다. 뉴스1

문재인 대통령이 5일 서울 그랜드 워커힐호텔에서 열린 제15회 세계한인의 날 기념식에서 기념사를 하고 있다. 뉴스1

온ㆍ오프라인을 병행해 열린 이날 기념식에는 세계한인회장단을 포함해 300여명이 참석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