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단독]軍이 감춘 진실…정상회담 그해 北잠수정 침투훈련 2배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0면

정부가 세 차례 남북정상회담을 열며 ‘한반도 평화’를 부각하던 지난 2018년 잠수정을 이용한 북한의 대남 침투훈련은 오히려 평년보다 2배 가까이 급증했던 것으로 4일 나타났다. 북한군은 지난 2010년 3월 잠수정을 천안함에 은밀히 접근시켜 어뢰로 폭침하는 등 대남 도발의 핵심 무기로 써왔다. 그런 만큼 북한 잠수정의 동향은 군 당국이 예의 주시하는 사안이다.

북한군 잠수정은 대표적인 대남 침투 수단이다. 사진은 지난 1998년 6월 강원도 속초시 동쪽 11.5마일 해상에서 어선 그물에 걸려 표류하다가 예인된 북한 특수부대 소속 잠수정의 모습. 중앙포토

북한군 잠수정은 대표적인 대남 침투 수단이다. 사진은 지난 1998년 6월 강원도 속초시 동쪽 11.5마일 해상에서 어선 그물에 걸려 표류하다가 예인된 북한 특수부대 소속 잠수정의 모습. 중앙포토

합동참모본부가 한기호 국민의힘 의원실에 보고한 내용에 따르면 북한군의 잠수정 동향은 최근 8년 중 2018년에 가장 활발했다. 주로 함흥 기지에서 출항한 잠수정들이 동해에서 대남 침투 훈련을 벌였는데, 120여회(2014년)→80여회(2015년)→90여회(2016년)→90여회(2017년)이던 훈련 횟수가 2018년에는 150여회로 늘었다.

북한 잠수정·반잠수정 대남 침투 훈련 횟수. 그래픽=신재민 기자 shin.jaemin@joongang.co.kr

북한 잠수정·반잠수정 대남 침투 훈련 횟수. 그래픽=신재민 기자 shin.jaemin@joongang.co.kr

2015년 이후 80∼90여회였던 침투훈련이 2018년엔 2배 가까이 급증했다. 2019년에 침투 훈련은 다시 90여회로 평년 수준을 유지했다.

"훈련 파악하고도 비공개" 

군 당국은 북한군이 침투용 잠수정 10여척과 반잠수정 20여척을 운용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이들을 활용한 침투 훈련은 통상 5~9월에 집중되는데, 정밀도가 높은 미군 위성으로 동향을 파악한다.

군 소식통은 “우리 위성으로는 북한군이 기만용으로 갖다놓은 더미(모형 잠수정)를 식별하기가 어렵다”며 “정확한 출항 움직임은 전적으로 미군 자산에 의존하고 있다”고 귀띔했다.

지난 2018년 9월 19일 문재인 대통령(왼쪽)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평양 백화원 영빈관에서 당시 송영무 국방부 장관과 노광철 인민무력상의 '4·27 판문점 선언' 이행을 위한 군사분야 합의문 교환을 지켜보며 박수를 치고 있다. 평양사진공동취재단

지난 2018년 9월 19일 문재인 대통령(왼쪽)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평양 백화원 영빈관에서 당시 송영무 국방부 장관과 노광철 인민무력상의 '4·27 판문점 선언' 이행을 위한 군사분야 합의문 교환을 지켜보며 박수를 치고 있다. 평양사진공동취재단

한ㆍ미 군 당국은 이런 잠수함정의 동향에 대해선 거의 실시간으로 정보를 공유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 때문에 “정부가 잠수정의 동향을 알면서도 정상회담 분위기 조성에만 골몰했다”는 비판이 나온다.

익명을 요구한 군 관계자는 “최근 들어서도 북한이 대놓고 미사일을 쏴도 ‘종전선언’을 외치는 상황이니, 이런 수면 아래 위협을 공개했겠느냐”며 “정상회담의 공과를 제대로 평가하지도 않고 임기 말 정상회담을 또 추진하는 건 납득이 안 간다”고 말했다.

한·미 연합 대잠훈련은 축소  

상황이 이런 데도 북한군 잠수함정 침투에 대응한 한ㆍ미 해군의 대잠(對潛) 연합훈련은 2018년부터 축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2016년 16회(훈련일 34일), 2017년 13회(31일)이던 것이 2018년에는 8회(14일)로 줄었다.

또 1994년부터 해마다 실시하던 한ㆍ미 연합 대잠 해양탐색훈련(SHAREM)은 2018년 이후 중단된 상태다. 그간 해군은 이 훈련에 대해 “한ㆍ미 연합 대잠 작전 능력을 끌어올리는 훈련”이라며 “북한 잠수함 침투 위협이 높은 동해상에서 실시한다”고 설명해왔다. 이를 위해 훈련 때마다 대규모 전력이 투입돼 일주일 정도 고강도 훈련을 했다.

지난 2017년 1월 2일 해상기동훈련에 참가한 초계함이 대잠수함 무기인 폭뢰를 발사하고 있다. 사진 해군

지난 2017년 1월 2일 해상기동훈련에 참가한 초계함이 대잠수함 무기인 폭뢰를 발사하고 있다. 사진 해군

이와 관련, 군 소식통은 “동ㆍ서ㆍ남해 모두 수중 환경이 각각 달라 북한군 입장에선 잠수함정을 은밀히 침투시키기에 유리하다”며 “그런 환경에 맞게 대잠 훈련을 해야 하는데, 특히 동해 상에서 중요한 연합훈련을 하지 않는 것은 치명적”이라고 우려했다.

3성 장군 출신인 한기호 의원은 “문재인 대통령의 종전선언 추진 의지와 달리 북한의 대남 침투 야욕은 계속되고 있다”며 “그런데도 가장 중요한 한ㆍ미 연합훈련을 축소하는 것은 결정적인 순간 정보 실패와 파국으로 이어질 수 있는 위험한 행동”이라고 비판했다.

“북 훈련 막은 건 코로나19”

한편 군 당국은 북한군이 지난해부터 잠수정ㆍ반잠수정 침투 훈련을 하지 않은 것으로 파악했다. 이는 코로나19 전파를 우려한 조치로 관측된다.

군 소식통은 “밀폐된 잠수정 특성상 전염병이 급속도로 퍼질 수밖에 없다”며 “대남 침투의 핵심 특수자산인 잠수정 병력에 타격이 안 가도록 조심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북한이 경제제재로 어려움을 겪으면서도 국경 봉쇄를 감행했을 만큼 코로나19에 민감하게 반응했던 것과 비슷한 조치라는 관측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