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수리비 폭탄 애플, 보증수리 거부하면서 사유는 “대외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5면

지난해 4월 아이폰11 프로를 산 A씨는 다섯 달 뒤 휴대전화 하자를 발견해 애플 지정 서비스센터에 갔다. 그런데 애플 측은 “A씨가 단말기 내부를 임의로 개조했다”며 수리를 거부했다. 단말기를 임의로 개조한 적이 없는 A씨는 당황스러웠다.

하지만 애플은 이에 대해 “단말기 상태를 보고 개조로 판단했기에 보증수리를 수용할 의사가 없다”고 밝혔다. 어떤 근거로 그렇게 판단했는지는 “대외비에 해당한다”며 답변을 거부했다.

지난달 30일 김상희(더불어민주당) 국회 부의장이 한국소비자원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애플은 수리 여부 판단 기준에 일관성이 없고, 수리 거절 사유에 대해서도 근거 제시를 회피했다.

고가의 수리비도 문제다. 액정 파손의 경우 삼성은 평균 수리비용이 16만4000원인 반면 애플은 39만6000원이었다. 20만원 이상 비싸다. 배터리 교체나 메인보드 교체·리퍼 비용도 삼성은 각각 평균 4만3500원, 24만2500원이었다. 같은 수리를 맡겼을 때 애플은 8만8000원, 67만2500원이었다.

애플은 그동안 자사 제품의 AS를 공식 지정업체에서만 받을 수 있게 했다. 만일 소비자가 직접 수리하거나 사설 수리점을 이용할 경우 불이익을 줬다. 지난해 소비자 대상 정보통신정책연구원의 단말기 AS 실태조사에서 5점 만점 중 애플은 공식 서비스센터(2.44)가 사설(3.46)에 훨씬 못 미쳤다.

김상희 부의장은 지난달 휴대폰 제조사가 합리적 이유 없이 단말기 수리에 필요한 부품, 장비 등의 공급·판매를 거절하거나 지연하는 행위를 금하는 단통법 개정안을 발의했다. 임혜숙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지난 1일 국정감사에서 “법안의 취지에 공감하고 있다”며 “적극 참여하겠다”고 답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