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최고존엄 지침 극초음속미사일, '김정은 신무기' 더 나온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북한이 새로 개발했다는 극초음속미사일의 시험발사 장면을 29일 공개했다. 북한은 28일 자강도용림군 도양리에서 발사한 미사일을 '화성-8'이라고 밝혔다. [뉴스 1]

북한이 새로 개발했다는 극초음속미사일의 시험발사 장면을 29일 공개했다. 북한은 28일 자강도용림군 도양리에서 발사한 미사일을 '화성-8'이라고 밝혔다. [뉴스 1]

북한이 29일 극초음속미사일(화성-8)을 공개했다. 전날(28일) 자강도 용림군 도양리에서 진행한 미사일 시험발사 소식을 전하면다.

극초음속미사일은 지상에서 탄도미사일 탄두 부분에 활공체(Glide Vehicle)를 장착해 지상에서 발사한 뒤 공중에서 분리된 활공체가 대기권 하강단계에서 초속 1/7㎞이상의 속도로 풀업(상하)ㆍ트러스트(좌우) 기동을 하며 공격하는 전략무기다. 상대의 요격을 피하기 위해 개발됐으며 미국ㆍ러시아ㆍ중국 등 극소수의 국가들만 보유하고 있다.

북한 극초음속 미사일 발사. 그래픽=박경민 기자 minn@joongang.co.kr

북한 극초음속 미사일 발사. 그래픽=박경민 기자 minn@joongang.co.kr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지난 1월 열린 8차 당대회에서 극초음속미사일의 개발을 지시했다. 북한 매체들은 이날 “극초음속미사일연구개발사업은 당 8차 대회가 제시한 국방과학발전 및 무기체계개발 5개년계획의 전략무기부문 최우선 5대 과업에 속한다”며 “당중앙(김정은)의 특별한 관심속에 최중대사업으로 간주돼 왔다”고 설명했다.

북한의 이번 미사일 발사가 김 위원장의 ‘1월 지시’ 이행 차원에서 이뤄졌다는 얘기다. 북한이 “첫 시험발사”라는 표현을 사용했고, 이날 시험발사가 미사일의 활공체 부분 작동에 주안점을 두고 진행됐다는 점에서 북한이 추가로 이 미사일을 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춘근 과학기술정책연구원 명예연구위원은 "극초음속 미사일의 정상적인 작동 성능을 확인하기 위해선 300㎞이상(사거리 1000㎞ 기준)으로 올라가야 한다"며 "당국이 관측한 것으로 알려진 고도 30㎞ 안팎이라면 발사에 실패했거나 활공체 특성만 파악하기 위한 것으로 추가발사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지난 1월 열린 8차 당대회에서 연설하고 있다. [뉴스1]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지난 1월 열린 8차 당대회에서 연설하고 있다. [뉴스1]

무엇보다 북한이 최근 당 대회 결정의 이행을 강조하고 있어 김 위원장이 제시한 나머지 전략무기 개발에도 박차를 가할 것이란 우려도 나온다. 김 위원장은 지난 1월 다탄두개별유도기술과 군사정찰위성 설계를 끝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핵선제 및 보복타격능력 고도화”를 위해 전술핵무기 개발, 초대형핵탄두 생산, 극초음속활공비행전투부 개발 도입, 수중 및 지상 고체 엔진 대륙간탄도로켓 개발, 핵잠수함ㆍ수중발사핵전략무기 보유를 강조했다. 이른바 국방부문 ‘최우선 5대 과업’이다.

전현준 국민대 겸임교수는 “북한은 최고지도자의 지시를 무조건 이행해야 할 초헌법적인 사안으로 여기고 있다”며 “국제사회의 대북제재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 19), 자연재해 등으로 인해 경제와 농업분야에서 지시 이행에 한계가 있는 만큼 대내외에 가시적인 성과를 시각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 무기 개발 및 과시에 집중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지난 11일과 12일(신형 장거리 순항미사일)에 이어 15일 열차에서 발사한 미사일이 핵탄두 소형화를 통해 전술핵무기 탑재용으로 사용할 수 있어 이 역시 김 위원장의 1월 지시(전술핵무기)의 일환일 수 있다는 뜻이다. 이에 따라 북한이 3000t급 핵추진 잠수함, 핵탄두 탑재가 가능한 신형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 군사정찰위성 발사를 명분으로 한 장거리 로켓 발사 등의 카드를 꺼낼 수 있다는 지적이다.

단, 추가 실험 및 공개 시기는 북한이 필요에 따라 속도를 조절할 것이란 전망이 많다. 국방분야의 노력을 본받아 다른 부문에서도 박차를 가하라는 대내 메시지와 동시에 한국 및 미국과의 협상을 앞두고 몸 값 높이기 등 협상 전술의 일환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다. 북한 매체들이 이전과 달리 발사 지점을 공개하면서도 고도나 비행 거리 등을 공개하지 않은 역시 시험발사였다는 점 이외에 한ㆍ미 당국의 방패(요격) 무력화 시위 차원일 수 있다.

전직 정부 고위 당국자는 “북한은 관영메체들을 자신들의 의도에 따라 활용하는 측면이 강하다”며 “발사 장소를 ‘내륙’ 등으로 표시하며 구체적으로 밝히지 않았던 북한이 구체적인 발사 지명을 공개했다는 건 발사장소를 알고도 요격하지 못할 것이라는 시위의 일환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