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크라운 치료, 병원따라 5~360만원…의원급 비급여 진료비 첫 공개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건강보험 적용을 받지 못해 환자가 전액 부담해야 하는 크라운 치료(충치를 제거하고 이를 덮어씌우는 치료) 비용이 동네 의원별로 최저 5만원부터 최고 360만원까지 72배 차이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수치료 값도 최저 0원에서 최고 50만원까지 벌어졌다.

보건복지부는 29일 0시부터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홈페이지(www.hira.or.kr)와 모바일 앱 ‘건강정보’ 등에 공개하는 비급여 진료비용을 동네 의원 6만1909기관을 포함해 총 6만5696곳의 비급여 616개 항목으로 확대한다고 28일 밝혔다.

도수치료 장면. 중앙포토

도수치료 장면. 중앙포토

비급여 진료는 건강보험 급여 대상에서 제외된 진료 항목으로 병원이 자체적으로 금액을 정하기 때문에 편차가 크다. 심평원은 2013년부터 국민의 알 권리 및 병원 선택 기회 등을 위해 매년 공개 폭을 확대하고 있다. 2013년 상급종합병원 43곳의 비급여 29항목을 시작으로 지난해 병원급 이상 3915곳(564항목)까지 확대해왔다. 올해는 의원 비용이 첫 공개됐다. 4월 27일부터 8월 17일까지 약 110일간 의료기관이 제출한 비급여 정보를 심평원이 조사·분석해 확정한 것이다. 조사 대상 6만8344기관 중에 병원급 99.6%, 의원급 95.9%가 제출한 내용이다.

올해 새로 공개된 항목 중 비침습적 산전검사(NIPT)이 경우 적게는 13만7500원부터 많게는 132만원까지 받는 곳이 있었다. NIPT는 산전 기형 검사로 35세 이상 고령 산모나 기형아 출산 경력이 있는 산모의 염색체 진단 필요하면 시행한다. 병원 규모별로 나눠보면 상급종합병원(대학병원)의 경우 최저 13만7500원에서 최고 110만원으로 8배 차이 났다. 종합병원도 최저 14만8500원, 최고 132만원으로 8.8배, 병원 25만~100만원, 의원 29만9000원~110만원으로 4배가량 차이 났다. 보편적인 가격은 50만~60만원 선이었다.

도수치료 진료비 현황. 단위: 개소, 원, %. 자료 심평원

도수치료 진료비 현황. 단위: 개소, 원, %. 자료 심평원

근골격계 질환에 손 등을 이용해 신체 기능을 높이는 도수 치료의 경우 의료기관별 진료비 격차도 컸다.

상급종합병원은 최저는 1만4989원에서 최고는 15만8000원으로 약 15배 차이가 났다. 종합병원에서도 최저 3000원, 최고 26만원으로 86배 차이, 병원급에서는 2000~50만원으로 250배가량 벌어졌다. 의원에서는 적게는 아예 안 받는 곳이 있는 반면 많게는 50만원을 받는 곳도 있었다.

심평원은 “도수 치료는 모든 종별에서 전반적으로 최고·중간·평균 금액이 인상됐다“고 밝혔다.

크라운 진료비용 현황. 단위:원, %. 자료 심평원

크라운 진료비용 현황. 단위:원, %. 자료 심평원

크라운 치료도 최저 5만원부터 최고 360만원까지 천차만별이었다. 상급종합병원 38배, 종합병원 21배, 병원 13배, 치과병원 23배, 치과 의원 72배 차이났다. 보편적인 금액은 40만~50만원 수준이었다. 대상포진 접종비는 의원 내에서도 최저 7만원부터 23만원까지 차이가 있었다. 평균 금액은 15만~16만원 선이었다. 자궁경부암 예방을 위해 맞는 사람유두종바이러스(HPV) 백신은 최저 5만7450원, 최고 30만원이었다.

백내장 수술 시 수정체를 대체해 시력을 교정하는 조절성 인공수정체는 의원 최고 금액이 831만2880원으로 병원 최고(581만950원)보다 높았다. 같은 상품인데도 병원마다 최저, 최고 금액이 6배 이상 차이 났다.

제증명수수료 상한금액을 초과한 곳은 병원 26곳(0.7%), 의원 3622곳(6.7%)으로 조사됐다. 이들 기관에는 추후 해당 지자체를 통한 행정지도(계도)를 실시한다고 복지부는 밝혔다.

치과 이미지 사진. pxhere

치과 이미지 사진. pxhere

비급여 진료비는 심사평가원 홈페이지의 ‘비급여 진료비 정보’나 모바일 앱에서 29일 0시부터 확인할 수 있다. PC 이용이 어렵다면 고객센터(1644-2000)으로 전화해 안내받을 수 있다.

공인식 복지부 의료보장관리과장은 “동네 의원급 의료기관이 이번 공개에 포함됨으로써 지역주민이 자주 이용하는 비급여에 대해보다 적정한 진료를 합리적으로 선택할 수 있을 것”이라며 “국민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정보발굴 등 비급여 가격 공개제도 개선을 위해 계속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