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의 모든 것] 6. 코로나19 백신 국내 접종 현황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중앙일보 코로나19 아카이브 ‘코로나19의 모든 것’

코로나19 팬데믹 정보를 한 곳에 모았습니다. 2019년 12월 31일 중국 우한에서 첫 확진자가 보고된 이후 1년 9개월 동안 국내외에서 발생한 발자취를 담은 중앙일보만의 ‘백과사전’입니다. 코로나19 기원부터 사회적 거리두기 변화, 백신 접종 현황까지 우리가 어떻게 코로나에 대응해왔는지 한눈에 보기 쉽게 정리했습니다. 방역을 둘러싼 논란과 사회ㆍ경제ㆍ문화적 변화까지 총 12개의 주제로 나눠 코로나19의 모든 것을 담았습니다. 더 궁금한 내용은 댓글로 남겨주시면 확인 후 빠르게 답변 드립니다.

1) 국내 백신 접종 계획  


○초기 미온적 대응

일찍부터 코로나19 백신 선구매에 나섰던 서구권 국가와 달리 한국은 초반 백신 확보에 미온적인 태도를 보였다. 보건당국은 접종을 먼저 시작한 국가들의 이상반응 상황을 살피면서 국내 접종 전략을 짜겠다는 신중론을 내세웠다. 실제 질병관리청은 화이자 백신의 임상 3상 중간 결과가 나왔던 2020년 11월에도 “예방 효과가 90%에 이르는 건 고무적”이라면서도 “아직 섣부른 기대”라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백신 안전성을 꼼꼼하게 살펴 2021년 2분기 이후 접종을 진행하는 것을 목표로 준비하고 있다고 입장을 밝혔다.

당시 미국은 대규모 백신 투자를 바탕으로 이미 2020년 7월에 화이자 1억 회분, 8월에 모더나 2억 회분의 백신 구매 계약을 맺은 상태였다. 이스라엘은 자국 내 해외 정보·공작 기관인 모사드의 정보망까지 동원하며 글로벌 제약사들이 개발 중인 백신의 효능과 안전성을 파악하기 위해 열을 올리던 상황이었다.

관련기사

○치료제에 대한 과도한 집착
일각에선 정부가 표면적으로 신중론을 내세웠던 건 국산 치료제·백신 개발에 기대를 걸었던 탓이라고 분석했다. K-방역에 이어 국산 치료제와 백신 개발 성과를 기다리다가 해외 백신 구매 타이밍을 놓쳤다는 지적이다. 3차 대유행 여파가 한창이던 2021년 1월 5일, 첫 국무회의를 주재한 문재인 대통령은 “이 고비를 잘 넘기면 다음 달부터는 백신과 치료제를 통해 보다 공격적인 대응이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 “국산 치료제 개발도 조건부 사용승인을 신청하는 등 가시권에 들어섰다. 치료제가 상용화된다면 대한민국은 방역·백신·치료제, 세 박자를 모두 갖춘 코로나19 극복 모범국가가 될 수 있다”며 장밋빛 전망을 내비쳤다. 하지만 셀트리온이 개발한 치료제 ‘렉키로나주’는 기대만큼 게임체인저가 되지 못했고 국산 백신 상용화의 길은 여전히 요원한 상황이다.

관련기사

2) 백신 구매

우여곡절 끝에 현재 한국 정부가 계약을 맺은 코로나19 백신 제약사는 화이자와 모더나, 아스트라제네카(AZ), 얀센, 노바백스 등 총 5곳이다. 9월 기준 계약된 백신 물량은 총 1억9490만 회분이다. 백신별로는 ▶AZ 2000만회 ▶화이자 6600만회 ▶모더나 4000만회 ▶얀센 600만회 ▶노바백스 4000만회다. 여기에 백신국제공동구매 프로젝트인 코백스(COVAX)에서 들어오는 물량 2000만회와 한미정상회담의 후속 조치로 6월에 미국으로부터 공여받은 얀센 백신 약 140만회도 있다. 9월에는 루마니아와의 백신 협력을 통한 도입 물량(화이자 105만3000회분, 모더나 45만 회분)도 더해졌다.

관건은 계약된 백신이 제때 국내에 도입되는지다. 정부는 2021년 2월 26일 백신 접종을 시작한 후 수급 불확실성이 커지자 4월 갑작스레 범정부 백신 도입 TF를 꾸렸다. 백신 계약부터 접종까지 모든 업무를 질병관리청에 일임했던 것에서 벗어나 각 부처 협력을 통해 타개책을 찾으려는 움직임이었다. TF는 크게 백신도입총괄(복지부), 실무지원(질병관리청), 신속허가ㆍ출하 승인(식품의약품안전처), 원료수급지원(산업통상자원부), 국제협력지원(외교부) 등 5개 분야로 구성됐으며, 관계부처 처ㆍ청장과 차관이 참여 중이다. TF 팀장은 보건복지부 장관이 맡고 있다.

3) 접종 레이스

2021년 2월 26일부터 시작된 한국의 코로나19 백신 접종 원칙은 치명률이 높은 고위험군ㆍ고령층을 우선 접종대상자로 선정해 백신을 맞추는 것이다. 1분기에는 ▶요양병원ㆍ요양시설 입원ㆍ입소자 및 종사자를 필두로 ▶고위험 의료기관 종사자 ▶코로나19 1차 대응 요원을 대상으로 AZ 백신 1차 예방접종을 시작했다. 2분기에는 ▶장애인, 노숙 등 감염취약시설 고위험군과 ▶60~74세 이상 고령층 ▶학교, 돌봄 공간 ▶만성질환자 ▶보건의료인과 사회필수인력 등에 대한 접종을 이어갔다. 3분기에는 50대 이하 일반 성인에 대한 대규모 접종이 이뤄지고 있다.

2021년 2월 26일 오전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사동 안산시립노인전문병원에서 윤정미 수간호사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아스트라제네카(AZ) 백신 접종을 받고 있다. 연합뉴스

2021년 2월 26일 오전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사동 안산시립노인전문병원에서 윤정미 수간호사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아스트라제네카(AZ) 백신 접종을 받고 있다. 연합뉴스

4) 잦은 혼선

○백신 접종 연령 논란
접종 레이스가 본격화하자 생각지 못한 문제가 터지며 혼선이 이어졌다. AZ 백신이 주로 사용됐던 상반기에는 세계적으로 혈소판 감소증을 동반한 희귀혈전증(TTS) 증상이 보고되면서 문제가 생겼다. 의료계에선 50세 이하에게서 주로 나타난다는 점을 근거로 접종 연령 기준을 높여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지만 방역당국은 수급 일정상 AZ 백신을 대체할 다른 백신을 구하기 어렵고, 매우 드물게 발생해 위험보다 접종 이득이 더 크다는 점을 들어 30세 미만에게만 접종을 금지했다. mRNA 백신이 도입되기 시작한 7월이 돼서야 50세 이상만 AZ 백신을 접종받도록 권고했다. 8월부터는 잔여백신의 경우 희망자에 한해 30~40대도 AZ 백신을 맞을 수 있도록 허용했다.

관련기사

2021년 9월 23일 오후 대전 서구 코로나19 예방접종센터에서 접종을 마친 시민들이 이상반응을 모니터링하며 휴식하고 있다. [프리랜서 김성태]

2021년 9월 23일 오후 대전 서구 코로나19 예방접종센터에서 접종을 마친 시민들이 이상반응을 모니터링하며 휴식하고 있다. [프리랜서 김성태]

○물량 부족
백신 물량 부족도 지속해서 발생했다. 코로나19 1차 누적 접종자가 300만명을 넘었던 4월 말 방역당국은 화이자 접종 대상자인 75세 이상 연령층의 신규 예약을 갑작스레 중단했다. 방역당국은 “2차 접종 수요가 큰 상황이기에 예약 자제를 요청했다”고 설명했지만, 접종 간격이 3주로 비교적 짧다는 것을 무시하고 무리하게 2차분을 1차분으로 당겨쓴 것이 화근이 됐다는 지적이 이어졌다.

관련기사

○사전예약 사이트 먹통 
50대 이하 일반 성인의 대규모 접종이 시작된 7월에는 사전예약 시스템이 말썽이었다. 55~59세를 시작으로 53~54세, 50~52세까지 예약 첫날마다 사전예약 홈페이지가 수 시간 먹통 되는 일이 반복됐다. 소위 백도어(뒷문)를 통해 사전예약에 성공한 이들까지 생기자 원성은 높아졌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당초 50대 성인 742만명에게 접종하기로 한 모더나 백신의 7월 물량 일부가 8월로 밀리면서 접종 계획 변경이 불가피하게 됐다. 추진단은 7월 예정된 모더나 물량을 화이자로 바꾸며 접종 날짜도 기존보다 1~2주 정도 미뤘다. 방역당국은 만18~49세 연령층의 사전예약 때에는 서버를 확충한 데 이어 처음으로 10부제를 도입해 날짜별로 인원을 제한했다.

관련기사

[사진 코로나19 예방접종 사전예약 시스템 화면 캡처]

[사진 코로나19 예방접종 사전예약 시스템 화면 캡처]

○모더나 물량 반토막
mRNA 백신을 중심으로 접종 계획이 짜인 하반기에는 모더나 사에서 계약 펑크를 내며 물량 부족 현상이 이어졌다. 모더나 사는 7월에 이어 8월에도 생산 차질을 이유로 약속된 물량 850만 회의 절반 이하만 공급할 수 있다고 통보해왔다. 이에 방역당국은 긴급하게 화이자, 모더나 백신의 접종 간격을 4주에서 6주로 한시적으로 늘렸다. 또 정부는 미 모더나 본사에 대표단을 보내 항의했고 9월 5일까지 701만 회분을 공급하는 것으로 협의했다.

관련기사

5) 국내 백신 부작용

코로나19 예방접종 시작 후 9월 27일까지 신고된 이상반응은 총 26만947건으로 신고율은 0.44%다. 백신별 신고율은 화이자 0.36%, 얀센 0.58%, AZ 0.51%, 모더나 0.53%다. 신고된 사례의 96%가 근육통이나 두통 등 경미한 이상반응이었고, 중대한 이상반응은 4% 정도다.

9월 23일 기준 예방접종피해조사반의 중증 이상반응 신고사례에 대한 인과성 평가 결과 사망 및 중증사례 1586건 중 백신 접종과의 인과성이 인정된 건 총 7건이다. 사망의 경우 2건으로 혈소판감소성 혈전증(TTS) 1건, 심근염 1건이다. 중증 사례 중에선 뇌정맥동혈전증 1건, 발열 후 경련으로 인한 혈압저하 1건, TTS 2건, 심낭염 1건이다. 이 외에 아나필락시스 의심사례 854건 중에선 297건이 인과성이 인정됐다.

관련기사

6) 변이 유행 후 백신 전략 논쟁

7월에는 델타 변이 바이러스 검출률이 증가하며 확진자가 가파르게 증가했다. 델타 변이는 알파 변이보다도 1.6배 전파력이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방역당국에 따르면 델타 변이 바이러스 검출률은 ▶7월 2주 33.9% ▶7월 3주 48% ▶7월 4주 61.5% ▶8월 1주 73.1%로 매주 10%p씩 증가했다. 9월에는 국내 감염 사례의 델타 변이 검출률이 98.2%(12~18일)까지 상승했다.

전문가들은 무엇보다 백신 접종 완료율이 낮은 상황을 우려했다. 정부가 백신 1차 접종률 70% 달성에만 열 올리기보다 고위험군을 비롯해 접종 완료자 비율을 늘려야 한다고 설명했다. 9월 27일 기준 백신 1차 접종률은 74.2%, 접종 완료율은 45.3%다. 일부 전문가들은 델타 변이가 확산하고 있기 때문에 기존 집단면역 달성 목표였던 ‘전 국민 70% 접종 완료’가 더는 의미가 없어졌다며 접종 완료 목표 기준을 더 높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관련기사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