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1차 접종률, 미·일 제쳤지만…2차 접종만큼 큰 문제 또 있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화이자와 모더나사의 코로나19 백신. [로이터=연합뉴스]

화이자와 모더나사의 코로나19 백신. [로이터=연합뉴스]

국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접종에 속도가 붙으면서 1차 접종률이 미국과 일본을 앞질렀다. 지금 추세라면 정부가 공언한 대로 추석 연휴 전까지 전 국민 70% 1차 접종 완료 목표도 달성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다만 일각에선 아직 39%에 머무는 2차 접종률 제고에 보다 힘써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또 대규모 접종 시작 이후 늘어나고 있는 이상 반응 신고 건에 대한 관리·보상 문제도 해결해야 할 과제로 남아있다고 지적했다.

코로나19 예방접종대응추진단(추진단)에 따르면 12일 0시 기준 국내 백신 1차 접종자는 3313만333명인 것으로 집계됐다. 전체 인구의 64.5%에 해당한다. 1차 접종률은 지난 7일 오전 10시 30분쯤 60%를 넘은 이후 일별로 61%→61.8%→62.6%→63.9%→64.5%로 하루에 약 1%p씩 상승하고 있다.

美·日 따라잡은 한국…추석 전 70% 1차 접종 '청신호'

일별 누적 백신 1차접종 인원. 그래픽=김은교 kim.eungyo@joongang.co.kr

일별 누적 백신 1차접종 인원. 그래픽=김은교 kim.eungyo@joongang.co.kr

1차 접종률만 놓고 보면 한국은 먼저 접종을 시작한 미국과 일본을 앞섰다. 국제 통계 사이트 '아워 월드 인 데이터'의 집계에 따르면 이미 지난 9일(현지시각) 기준으로 1차 접종률(62.66%)이 미국(61.94%)과 일본(62.16%)을 넘어섰다. 미국은 한국보다 두 달 빠른 지난해 12월 14일(현지시각), 일본은 9일 앞선 2월 17일 첫 접종에 들어갔다. 권준욱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 제2부본부장은 10일 브리핑에서 “백신 접종 개시는 미국에 비해 늦었지만 백신에 대한 거부감보다는 신뢰, 호응도에 따라 1차 접종률이 미국과 유사한 수준에 다다른 상황”이라고 평가했다.

이 속도라면 추석 전에 전 국민 70%인 3600만명 1차 접종 목표도 달성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하루에 약 41만명씩 일주일 동안 287만명에 대한 1차 접종을 이어가면 된다.

접종 완료율은 美·日에 뒤진 39%

9일 오전 서울 서대문구 북아현문화체육센터에 마련된 코로나19 예방접종센터에서 시민들이 백신 접종 후 대기하고 있다. 연합뉴스

9일 오전 서울 서대문구 북아현문화체육센터에 마련된 코로나19 예방접종센터에서 시민들이 백신 접종 후 대기하고 있다. 연합뉴스

다만 전문가들은 실질적으로 예방 효과를 보려면 접종 완료율을 높이는 게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미국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11일(현지시각) 한국의 접종 완료율은 38.3%로 일본 50%, 미국 53.7%보다 낮다. 12일 국내 방역 당국이 집계한 기준으로 봐도 39%에 그쳐 50% 이상 접종까지는 시간이 더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

최재욱 고대 의대 예방의학과 교수는 현재 6주로 늘려놓은 화이자ㆍ모더나 백신의 접종 간격을 원래 권고 기간인 3주ㆍ4주로 돌려놔야 한다고 지적했다. 최 교수는 “정부가 말한 대로 정말 백신 수급이 제대로 이뤄지고 있다면 접종 간격을 당겨서 2차 접종률을 높이는 것에 집중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재훈 가천대 의대 예방의학과 교수 역시 “여건이 된다면 접종 간격은 권고대로 당기는 게 좋다”고 동의했다.

백신 이상 반응 관리, 열린 자세 필요

코로나19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 현황 그래픽 이미지. [자료제공=질병관리청 (사망 사례 등은 접종과 인과관계 확인 필요)]

코로나19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 현황 그래픽 이미지. [자료제공=질병관리청 (사망 사례 등은 접종과 인과관계 확인 필요)]

전문가들은 백신 이상 반응에 대한 관리를 강화하는 것도 반드시 해결해야 할 과제라고 말했다. 최근 대규모 접종이 시작되면서 백신 이상 반응 신고가 속출하고 있는데 정부의 미흡한 대처로 백신 신뢰도 자체가 떨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실제 지난 3일까지 29차례의 예방접종피해조사반의 회의 결과 평가를 마친 2117건 중 인과성이 인정된 건 252건에 불과하다. 이 외에 사망 3건, 중증 31건은 인과성 근거가 불명확한 사례로 분류됐다.

최재욱 교수는 “모든 이상 반응을 정부가 보상해야 한다는 건 아니지만 백신 접종 부작용에 대한 평가·심의 시스템이 열려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특히 세계보건기구(WHO)나 미국 식품의약국(FDA), 유럽의약품청(EMA) 등 해외에서 인정한 부작용 리스트에 지나치게 의존하고 있는 점을 지적했다. 최 교수는 “기존의 리스트에 의존하는 게 아니라 언제든 이상 반응 질병 목록이 추가될 수 있다는 열린 자세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진단서를 끊는 등의 입증 책임 역시 국민에게 떠넘기는 게 아니라 국가가 나서서 소명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천은미 이대목동병원 호흡기내과 교수도 해외에 없는 이상 반응이 국내에서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천 교수는 “한국 정부는 해외에서 나오지 않았던 부작용의 경우 인과관계가 설명되지 않는다며 인정을 안 해주는데 이런 태도는 잘못됐다"고 지적했다. 심근염, 심낭염의 경우 한국보다 해외에서 발생 빈도수가 높았듯 해외에서 나오지 않은 부작용이 한국에서 나올 수 있다는 것이다. 그는 이어 “국내에서 빈도가 높게 발생하는 이상 반응의 경우 정부가 사례를 모아 백신과의 인과성을 조사하고 국민에게 투명하게 공개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