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시진핑, 마오와 동급되나…11월 역사결의로 '3연임' 쐐기 박을 듯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중국 역대 국가지도자 마오쩌둥, 덩샤오핑, 시진핑(왼쪽부터) [중앙포토]

중국 역대 국가지도자 마오쩌둥, 덩샤오핑, 시진핑(왼쪽부터) [중앙포토]

중국공산당(이하 중공)이 오는 11월 제19기 6차 중앙위원회 전체회의(6중전회)를 열고 세 번째 ‘역사결의’를 채택할 전망이다.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은 이를 통해 과거 ‘역사결의’를 채택했던 마오쩌둥·덩샤오핑과 동급으로 당내 지위를 한층 격상시켜 내년 당 대회에서 세 번째 총서기 연임에 쐐기를 박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중공 당 기관지 인민일보는 1일 “중공 중앙정치국이 8월 31일 회의를 열고 올해 11월 베이징에서 당 19기 6중전회를 개최하기로 결정했다”며 “당의 100년 분투의 중대한 성취와 역사 경험 문제를 중점적으로 연구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중난하이(中南海·중국 수뇌부 집단 거주지) 동향에 정통한 중화권 매체 둬웨이(多維)는 1일 8월 정치국회의가 “중요한 정치적 신호”라며 “마오쩌둥과 덩샤오핑 이래 세 번째 ‘역사결의’가 임박했다는 의미”라고 풀이했다. 즉, 공식 당 역사에 ‘마오쩌둥·덩샤오핑·시진핑’으로 삼등분하는 개념이 정식으로 기재된다는 의미다. 둬웨이는 “중공의 정치 규범을 다시 만든 시진핑이 내년 20차 당 대회에서 연임할 수 있다”고 평가했다.

1945년 1차 ‘역사결의’ 마오쩌둥 시대 확립

중공은 지난 1945년과 1981년 두 차례 ‘역사결의’를 채택하며 각각 마오쩌둥과 덩샤오핑 시대의 개막을 알렸다. 먼저 1945년 4월 20일 옌안(延安)에서 중공 6기 7중전회를 소집, ‘약간의 역사 문제에 관한 결의’를 통과시켰다. 첫 번째 ‘역사결의’는 30년대 마오쩌둥과 경합했던 왕밍(王明)과 교조주의를 특징으로 하는 좌경 착오에 대한 자세한 결론을 내렸다. 마오쩌둥은 이를 바탕으로 당내 지위를 확립하고, 마오쩌둥 사상으로 중공의 인식을 통일하면서 마오쩌둥 시대를 확립하는 이정표로 삼았다.

중공당사출판사가 출판한 1945년 ‘약간 역사 문제에 관한 결의’와 1981년 ‘건국이래 당의 약간의 역사 문제에 관한 결의’를 합본한 책자 표지. 신경진 기자

중공당사출판사가 출판한 1945년 ‘약간 역사 문제에 관한 결의’와 1981년 ‘건국이래 당의 약간의 역사 문제에 관한 결의’를 합본한 책자 표지. 신경진 기자

덩샤오핑, 1981년 ‘역사결의’로 문혁 종결

두 번째는 1981년 6월 27일 11기 6중전회에서 통과된 ‘건국 이래 당의 약간 역사 문제에 대한 결의’다. 당시 ‘역사결의’ 27조는 “마오쩌둥은 비록 ‘문화대혁명’ 중 엄중한 잘못을 범했지만, 일생을 보면 중국 혁명에 대한 공적이 과실보다 훨씬 크다. 그는 공적이 제일이고 잘못은 두 번째”라고 결론지었다. 중공은 세 번째 ‘역사결의’를 통해 극좌 노선과 결별하고, 덩샤오핑이 확립한 개혁개방과 경제발전 노선을 인정하면서, 공식적인 덩샤오핑 시대를 시작했다.

오는 11월 열리는 19기 6중전회는 당 대회를 1년 앞뒀던 5년 전과 패턴이 비슷하다. 지난 2012년 총서기에 취임한 시진핑은 2016년 가을 18기 6중전회를 통해 ‘핵심’ 지위를 확립했다. 이 기세를 몰아 이듬해 19대에서 자신의 이름을 딴 ‘시진핑 사상’을 당의 헌법 격인 당장(黨章)에 기재하는 데 성공했다. 오는 19기 6중전회에선 40년 만에 세 번째 ‘역사결의’를 기반으로 내년 세 번째 총서기 연임을 거머쥔다는 계산이다.

시 주석은 이미 올 초 세 번째 ‘역사결의’를 암시했다. 3월 31일 당 이론지 ‘구시(求是)’를 통해 공개된 2월 20일 당사 학습 교육 동원대회 연설에서다. 시 주석은 “역사 문제에 대한 두 개의 결의와 당 중앙의 관련 정신을 근거로…(중략) 중요한 사건, 중요한 회의, 중요한 인물에 대해 정확하게 인식하고 과학적으로 평가해야 한다”고 역사 재평가를 언급했다.

89년 천안문 민주화운동 평가도 주목

세 번째 ‘역사결의’의 또 다른 관전 포인트는 논쟁적인 사건에 대한 재평가 문제다. 두 번째 ‘역사결의’가 평가한 반우파, 대약진, 문혁은 물론 1989년 천안문 민주화 운동에 대한 평가도 관심이다.
안치영 인천대 중국학술원 원장은 “개혁개방의 성과와 새로운 전환, 시진핑 신시대의 과제를 어떻게 서술하는 지가 포인트”라며 “역사 단계 문제와 연임 여부 등 시진핑 문제는 구분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역사결의’ 채택이 시진핑 연임을 보장하지는 않을 수 있다는 분석이다.
최근 중국이 강조하는 공동부유(더불어 잘살기)와 금세기 중엽 달성을 다짐한 ‘사회주의 현대화 강국’ 건설을 어떻게 언급할지도 주목된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